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사정리

(19)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5. 도기와 자기 15장 도기와 자기 1. 도자기의 개념 v 도자기 = 도기(陶器) + 자기(磁器) - 자기를 가리켜 흔히 도자기로 지칭한다. 도기 자기 낮은 온도 유약을 씌워 높은 온도 단단하고 물이 표면으로 세어나오지 않음 연질(토기 중심) 과 경질(도기 중심) 청자, 분청사기, 백자, 흑자 v 도기와 자기의 분류 : 유럽방식 도 기 토기 (土器) -600~800℃, 적갈색 -노천요(露天窯)에서 생산 -태토를 수비하지 않음 w 수비-태토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흙을 물 에 넣고 저어 불순물은 가라앉히고 고운 흙만 떠오르도록 하는 것, 이런 과정의 반복을 통해 정제된 태토를 얻을 수 있음 -선사시대~삼국시대 토기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 토기 일부는 도기 단계에 해당) 도기 (陶器) -800~1,000℃, 환원 및 산..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4. 불교 14장 전통무기 1. 전통무기의 구분 v 무기는 당대 과학의 역량을 총결집시킨 최첨단 기술의 복합체 1) 무기의 분류 구분 정의 종류 예 냉병기 사람의 근력만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무기 투사병기 활, 노 장병기(격투병기) 창 단병기(호신병기) 칼 타격병기 곤봉 연병기 투승, 유성추, 다절곤 특수 범주 암기 화기 화약을 이용한 병기 개인용화기 소총통 여럿이 조작하는 화기 중, 대형 총통, 대포 1. 다음 전통무기 중에서 화기끼리 맞게 짝지은 것은? 3 ① 곤봉-투승 ② 총통-투승 ③ 총통-대포 ④ 곤봉-대포 2. 전통무기의 변화 1) 청동기 시대 - 본격적으로 무기가 등장 - 대표적 무기 : 중국에서 유입된 비파형동검과 이를 변형시켜 만든 한국식 세형동검 2.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무기가 등장한 시점은? 4..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3. 불교미술 13장 불교미술 1. 불상의 종류 v 불상 : 불교의 가르침과 신앙의 내용을 조각이라는 조형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종교적 예배 대상 1) 불상은 기원 후 1세기경 인도의 쿠샨시대부터 서북부 간다라와 중북부의 마투라 지역에서 제작되기 시작 -석가모니 열반 당시는 제작 안 됨 간다라 불상 마투라 불상 편암-회청색, 회흑색 사암-붉은색 입체적, 사실적 활달, 생동감 2) 굽타 시대에 융합되면서 이상적인 모습으로 표현 v 불교가 서역을 거쳐 중국->우리나라에 전래되면서 불상도 함께 전래 - 불교 성립당시 : 석가모니 불상 중심 -> 대승불교의 발전 : 깨달음을 얻는 자는 누구나 부처가 된다. 아미타, 약사, 비로자나, 미륵 1. 불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4 ① 불교의 가르침과 신앙을 상징적으로..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2. 한국의 금석문 12장 한국의 금석문 1. 금석문의 개념과 사료 가치 1) 금석문이란 (1) 금문(金文) + 석문(石文) - 쇠와 돌에 새긴 글이나 부호 (2) 문헌자료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문자 기록 - 명문 : 토기, 와당, 전돌 등 흙으로 빚은 재료에 기록 w 명문(銘文: 금석(金石)이나 기명(器皿) 따위에 새긴 글) - 목간 : 다듬은 나무 조각 - 칠기에 기록한 명문, 포기, 묵서명 2) 금석문의 사료 가치 (1) 1차 자료로 문헌자료의 공백을 메우거나 잘못을 바로 잡아 줌 (2) 누락 등의 불완전함, 사실의 과장과 왜곡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료 비판을 거쳐 역사를 복원하는 자료로 활용 - 광개토왕 중심의 사고방식이 깊게 깔려 있는 광개토왕릉비문의 기록 (3) 심한 훼손으로 글자 판독이 어렵다 - 광개토왕릉비문..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1. 한국의 과학문화재와 천지관 11장 한국의 과학문화재와 천지관 1. 고대 한국의 천문학 1) 고구려 (1) 고분벽화에 그려진 별자리 그림 - 한반도에 살았던 고대인들의 삶과 별의 긴밀한 연관성 - 중국 고대의 천문관을 수용 및 천문관측 수행 관련 그림이 많음 (2) 고구려의 별자리 그림으로 추정된 유물이 최근 일본에서도 발견 - 일본 나라현 기토라 고분 - 좌표계를 갖춘 과학적인 천문도로서 아시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도 - 관측 연대 : 기원전 1세기, 관측 위도 : 고구려의 수도 평양 (3)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이어짐 1. 일본 나라현에 있는 고분으로서 좌표계를 갖춘 과학적 천문도가 아 있는 것은? 4 ① 무용총 ② 각저총 ③ 진파리 4호분 ④ 기토라 고분 2) 신라 (1) 첨성대 : 선덕여왕 때 세운 천문관측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0. 회화 10장 회화 1. 삼국과 고려시대의 화가와 회화 v 화공(畫工) : 전통시대의 화가는 국가기관에 소속된 관료로서 국 가의 필요에 따라 그림을 그림 v 삼국은 중국, 일본 등 이웃나라와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1) 신라 (1) 채전(彩典)이라는 도화 기구는 경덕왕 때에 전채서(典彩署)로 확대 (2) 솔거 : 신라의 대표적 화가 2) 백제 (1) 인사라아 - 백제의 화가로 463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활동 - 도부(都部), 금부(錦部) 등의 장인들과 함께 도일(渡日) (2) 송산리 6호분 - 전축분 형식과 벽돌에 새겨진 초서, 벽에 그려진 백호 등 사신 도는 백제가 6세기에 문화적 최전성기를 누렸던 중국 양나라와 의 교류가 통해 남조 문화를 공유한 양상을 보여줌 (3) 금동대향로, 산수문전에 도인된 그림 -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9. 조선 왕실문화 9장 조선 왕실문화 1. 국왕의 상징 v 국왕은 하늘의 명을 받은 초월적인 존재임과 동시에 모든 사람들 의 위에 있는 존재이며 조선의 주권자이자 대표자 1) 하늘과 땅의 상징 (1) 王 : 하늘과 땅, 사람을 각각 상징하는 세 개의 ‘ㅡ’에 ‘ㅣ’를 그어 하나로 연결하는 의미를 담고 있음 - 하늘과 땅, 사람을 연결시키는 존재 (2) 하늘의 아들 : 우주와 세계를 대신 하여 다스리는 자 (3) 조선시대에는 천자가 행사는 의례를 피했지만 하늘의 일을 살펴 서 백성에게 전달하고 하늘에 소원을 비는 의식은 국왕의 몫 (4) 천문역법 : 국왕이 하늘과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이 잘 드러난 사례 -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 천문 현상을 12개의 분야로 나누어 차례로 늘어놓은 그림으로 위로는 천시를 받들고, 아래로는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8. 유교문화의 유물유적 8장 유교문화의 유물유적 1. 유교문화와 유물유적 1) 유교 (1) 유학에 기반을 둔 생활이나 의례 (2) 유학 : 공자, 맹자의 학문 (3) 유교의 전래 삼국 조선시대 16세기 이후 전래 학문이나 가치체계로 정착 우리 삶에 내면화되고 생활화 (4) 유교문화 : 유교와 관련된 문화 일반 2) 유교문화 (1) 유학자들의 생활이나 학문적 실천에서 생산해 낸 다양한 형식의 산물 3) 유물유적 v 당시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만들었던 크고 작은 생활도구나 건축물 유물 유적 크기가 작고 쉽게 옮길 수 있는 것 상대적으로 커서 옮기기 어려운 것 화살촉, 그릇 등 무덤, 건물, 성벽 등 (1) 대상 - 조선시대 양반들이 유교적 가치와 형식에 따라 개인이나 가족, 종종 단위에서 만들어 낸 다양한 삶의 형태 - 동성마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