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사정리

(19)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7. 조선의 능묘제도 7장 조선의 능묘제도 능 묘 영분 원 왕, 왕비 왕릉을 제외한 무덤 일반무덤 왕세자비 조선 ,후기 왕의- 왕세자 사친 무덤 , 국장 예장 1. 고대~고려의 왕릉 1) 능 (1)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짐 (2) 시신 안치 방식 : 신전장만 우리나라에서 확인됨 - 굴신장 : 다리를 구부림 - 신전장 : 다리를 폄 (3) 태양숭배 의식 - 머리 : 동쪽(태양), 얼굴 : 하늘을 향함 2) 고대사회의 무덤 : 대부분 지배층의 무덤 (1) 청동기 시대 : 지석묘(고인돌-탁자 형) -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 - 석실에서 돌칼과 토기 등 유물 출토 - 죽은 자의 권위가 사후에도 지속된다고 믿음 v 석실 : 시신을 안치하는 공간. 개석 : 뚜껑돌 (2) 옹관묘 - 한반도 중남부 지방 - 흙으로 구운 대옹 2개의 아가리를 맞..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6. 성곽 6장 성곽 1. 성곽의 기원과 역사적 변천 1) 성곽의 개념과 기원 (1) 외적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인위적 구조물 - 어원 : 이중의 장애물로 둘러쳐진 성벽 시설 - 성 : 안쪽, 곽 : 성 바깥을 다시 둘러싼 벽 (2) 기원 : 청동기 시대 - 계급이 분화되고 지배가 등장 뒤 전쟁 시작 - 목책(성) : 마을 전체를 나무 울타리로 둘러 침, 환호(곽) : 그 바깥에 구덩이를 파서 만든 장애물 (3) 국가가 성립할 무렵 성곽도 발전 - 고조선도 성곽을 갖추고 있었음 1. 성곽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2 ① 자연적으로 형성된 석조 구조물이다. X 인위적 ② 방어를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쌓은 구조물이다. ③ 구석기시대부터 만들어진 방어시설이다. X 청동기 ④ 마을 방어에 쓰였으며, 국가 성립..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5. 주거건축 5장 주거건축 1. 한옥의 형성과정 v 한옥 - 한국인들의 고유한 주거양식 - 한반도의 생태환경과 역사적 과정에 의해 문화적 지식의 축적, 전수, 변화를 겪어 온 결과 1) 움집에서 지상주거로 시대 주거형태 구석기 인공주거 이동생활로 인한 일시적 야영지나 임시 파난처 -동굴이나, 바위그늘 신석기 움집 -외부 : 평면은 원형이나 정사각형, 수직기둥 -내부 : 집안에 화덕을 두고 불을 지핌 -암사동 신석기 시대 움집 청동기 반움집 농경정착생활시작(튼튼한 주택 건설 필요) -외부 : 직사각형 평면 -내부 환경 개선: 배수로와 화덕 설치 철기 지상주거 -중국 목조가구식 구조의 건축양식 영향 -시대의 흐름에 따라 중국과 다르게 발전 2) 온돌과 마루의 발달 v 한옥의 대표적 특징 : 온돌, 마루 구분 온돌(겨울)..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4. 사찰을 찾아서 4장 사찰을 찾아서 1.사찰의 형성과 전래 1) 인도에서의 사찰의 출현과 발전 (1) 승려들의 생활공간으로 출현 - 석가모니와 수행자들을 여러 곳을 떠돌아 다니며 생활 영위 - 안거 : 여름(우기)에는 함께 모여 살며 수행 전념(in 오두막) - 석가모니와 불교 교단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집과 원림 기증 (2) 기원정사(기수급고동원-祇樹給孤獨園) - 최초의 사찰, 이후 죽림정사 등 여러 지역에 사찰이 생김 (3) 정사(精舍) - 명상과 수도를 위한 장소를 뜻함(비하라 언어) - 원림이라는 뜻의 상가라마로도 불렸다. - 사찰이라는 의미의 가람은 상가라마의 한자 음역어 - 아란야(난야, 한역) : 산속에서 고요히 수행하는 승려들의 오두막 (4) 석가모니 사 후 추모, 예배 기능 추가 - 스투파(탑) : 석가모..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3. 종묘와 사직 3장 향교와 서원 v 향교와 서원은 교육기관으로써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유교건축 향교(관학-지방) 서원(사학) 대상 중앙 귀족 자제중심-> 지 방에서도 교육이 이루어짐 선현 배향, 유생 교육 설립 설립: 고려-> 강화 : 조선 초 조선 목적 교화 과거시험->중앙관료-> 국가경영 (3) 세종-대부분의 향교 설치, 성종-고을까지 확장 - 학생 수와 향교전 등에 대해 경국대전에 수록 (4) 향교의 운영 부실, 교생 수준 저하-> 교육기관 역할 점차 쇠퇴 - 서원의 발달되면서 향교는 제향(祭享) 위주로 운영 (5) 향교의 교육 기능 회복 시도 - 영, 정조 : 읍, 면의 교육담당으로 도훈장과 면훈장 선출하여 평민도 향교교육 가능 (6) 정조 화성 행사시 첫 번째 공식행사가 화서향교 대성전 참배 (7) 양반사족들..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2. 종묘와 사직 2장 종묘와 사직 1. 조선을 대표하는 공간, 종묘와 사직 v 좌묘우사(左묘右사) : [종묘]-[경복궁]-[사직] -> 5묘 제도 종묘건물, 종묘제례, 종묘제례약 세계문화유산 등재 종묘제례 :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 1) 유교문화의 정수가 구현된 공간 2)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위상 구분 종묘(左) 사직(右) 대상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 봉안, 제사 사(社-토지) + 직(稷-곡식) -국가의 안녕, 농사 풍요 효(孝)-조상 농업-백성 공통 주관-국가 / 격-대사(大祀-가장 높음) / 음악-예,악 위상 국가의례 : 종묘사직 1. 동아시아 유교문화와 왕실문화, 농업사회적 특징이 종합적으로 깃 든 문화공간은? 1 가. 종묘 나. 사직 다. 사찰 라. 성곽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 궁궐 1장 궁궐 v 궁궐의 의미 : 정치 및 국가의례가 행해지는 곳으로 왕조국가의 시대정신과 정치행위를 볼 수 있는 장소 1. 어원과 제도 1) 어원 宮 궁, 상형문자로 건물 안에 방들이 있는 모습을 본 떠 만든 글자 - 중국에서 진한 이전에는 ‘집’이라는 뜻으로 두루 사용되다가 한(韓)대 이후 황제가 자신의 집을 ‘궁’이라고 칭한 이래로 권위 있는 건물에만 쓰임 闕 궐, 방어를 위해 설치한 높은 전각에서 비롯된 글자 - 궐의 잔영 : 경복궁의 동, 서 십자각과 창경궁의 홍화문 양 옆의 각루 (1) 고려 : ‘궁’, ‘전(殿)’ 혼용하여 사용 - 국왕 이외에 왕실 구성원의 거주처들도 궁이라고 호칭되기도 함 (2) 조선 : 국왕이 상시 거주하는 곳 외에 별궁이나 행궁, 사당도 ‘궁’ 이라고 칭함 (3) 궁궐의 ..
한 눈에 정리되는 한국사 정리 한능검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정리 4. 일제강점기 2 1. 1910년 대 무력통치 1)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 설치(일본 군인 출신을 총독으로 임명 > 입법, 사법, 행정 장악) - 중추원 설치 : 총독 자문기관으로 친일파 한국인 구성 - 헌병 경찰제 : 헌병이 일반경찰 업무까지 담당, 즉결처분권 - 조선태형령 : 곤장제도로 조선인에게만 적용 - 일반 관리와 교사도 제복을 착용하고, 칼 착용 - 언론, 출판, 결사, 집회 등의 자유 억압 - 삼림령, 광업령, 어업령 2) 회사령 (1910년) : 조선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아야 함 > 민족 자본 성장 억압 3) 1차 조선교육령 (1911년) · 보통교육, 실업교육 실시했으나, 일본어 위주의 교육과 초보적인 기술만 가르침 > 우민화 교육 · 일본보다 짧은 4년 수업 4) 토지조사사업 (1910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