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정리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4. 불교

728x90
반응형

14장 전통무기


1. 전통무기의 구분
v 무기는 당대 과학의 역량을 총결집시킨 최첨단 기술의 복합체

1) 무기의 분류

 

구분 정의 종류
냉병기 사람의
근력만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무기
투사병기 활, 노
장병기(격투병기)
단병기(호신병기)
타격병기 곤봉
연병기 투승, 유성추, 다절곤
특수 범주 암기
화기 화약을
이용한
병기
개인용화기 소총통
여럿이 조작하는 화기 중, 대형 총통, 대포

1. 다음 전통무기 중에서 화기끼리 맞게 짝지은 것은? 3
① 곤봉-투승 ② 총통-투승 ③ 총통-대포 ④ 곤봉-대포


2. 전통무기의 변화
1) 청동기 시대
- 본격적으로 무기가 등장
- 대표적 무기 : 중국에서 유입된 비파형동검과
이를 변형시켜 만든 한국식 세형동검
2.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무기가 등장한 시점은? 4
① 구석기시대 ② 중석기시대 ③ 신석기시대 ④ 청동기시대
【해설】 청동기 시대에는 농경의 발달과 농업생산량 증가는 경제생
활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에 따라 계급이 분화되고 지배가 등장하
면서 전쟁이 시작되게 되었다.


2) 고려 말
(1) 수차례의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많은 명장과 함께 무
기체계의 획기적 변화
(2) 중국의 화약 제조법을 체득하여 실전에 사용
(3) 1377년 화통도감을 설치와 최무선의 화약병기는 진포해전에서 왜
구 격퇴에 결정적 역할
- 고려 말 총통 사용은 안정적 화약정제 기술, 발사 도구와 발사
체를 제작하고 조작하는 기술이 뒷받침 되었음을 의미
3. 고려 말 우리나라 무기발달사에서 나타난 중요한 변화는? 2
① 한국식 동검 제작 ② 화약 제조와 사용
③ 환두대도 제작 ④ 갑옷류 제작


3) 조선
(1) 화약과 총통의 제조에 심혈을 기울였고 조선 후기까지 그 기조는 유지
(2) 문종 : 화차를 직접 제작
(3) 선조 :

인물 김지 이장손
무기 승자총통 비격진천뢰
사용 이탕개 난 집압,
여진족 토벌
임진왜란 시 경주성
탈환, 예안의 당교 전투

(4) ‘활’의 변화
- 활의 개량에 국가의 관심이 높아져 일본과 유구 등을 통해
물소뿔 수입, 뿔의 대체품으로 나무를 이용한 활의제작과 시험
- 통아를 이용하여 관통력이 높은 편전을 발사하는 전투력 배가
(5) 임진왜란 발발은 무기의 변화와 군사전략의 변화를 가져옴

 

- 일본과 명으로부터 화약병기의 신기술 도입
- 훈련도감을 설치하여 신기술을 익힌 포수 배출하고 조총을 본
딴 정철총통을 만듦
- 군대운영체제의 변화 : 포수(총) 중심-> 삼수병 체제 도입
w 삼수병 체제 : 사수(활)와 살수(근접무기)가 보조
- 불랑기포가 주가 되는 대형 화포부대 편성
- 기효신서를 근간으로 한 훈련체계와 새로운 개인 무기 도입
- 화약병기를 중심으로 군사들의 무장이 이루어진 반면 냉병기
중 칼과 활은 개인의 심신도야 수단으로 변모
5. 임진왜란 발발 이후 나타난 무기와 군사전력의 변화가 아닌 것은? 4
① 일본군과 명군이 보유한 화약병기의 신기술을 받아들였다.
② 군대 운영체계에서 삼수병 체제를 도입하였다.
③ 화약병기를 중심으로 군사들의 무장이 이루어졌다.
④ 칼과 활이 실용적 무기로서 더욱 각광받게 되었다.
X
【해설】 칼과 활은 개인의 심심도야의 수단으로 변모



3. 대표적 냉병기
1) 궁시류
(1) 각궁(角弓:쇠뿔·양뿔 따위로 장식한 활. 뿔활)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활
- 물소뿔, 쇠심줄, 민어부레풀, 참나무, 대나무
- 편전 : 짧고 작은 화살
(2) 쇠뇌
- 화살을 강하게 멀리 날려 보내기 위해 개발한 장거리 공격용 무기
- 조선 후기 장전과 발사가 쉽게 발사장치 개량
6. 궁시류 중에서 화살을 머릴 날려 보내기 위해 개발된 장거리 공격
용 무기는? 3
① 편전 ② 장전 ③ 쇠뇌 ④ 통아
【해설】 편전-짧고 작은 화살 / 장전-싸움에 쓰는 긴 화살
통아-활과 화살을 꽂아 넣어 등에 메고 다니는 통



2) 도검류

도(刀) 검(劍)
칼몸이 휘고 한쪽에만 날이 있음 칼몸이 곧고 양쪽에 날이 있음
선호 : 후대 선호 : 고대
점차 도와 검을 구분하지 않고 명칭을 혼용해 옴

(1) 구분
- 용도 : 전투용, 수렵용, 지휘 의례용, 장식용, 호신용
- 크기 : 장감
(장도, 대도), 단검(단도)
(2) 3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기 사이에는 고구려가 병기 발전 주도
- 기마병과 갑주가 등장했으며 이에 걸맞은 칼 사용 시작
(3) 삼국시대 : 오늘날 우리가 보는 형태의 실용적 무기로서의 검 등장
- 장식대도 : 권력과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칼로서 복식품의 구성 요소
- 심부대도 : 실용적 검으로 전쟁에서 직접 사용
(4) 조선시대의 대표 도검 : 환도, 예도, 인검, 운검
w 환도 - 군기감에 소속된 환도장 제작,
- 국가가 안정기로 접어들면서 의장용으로 변질
- 지방에서 제조된 환도는 병사들의 개인 휴대용 무기
- 중앙에 공납 품목으로 여러 고을에서 일정량 제작
- 문종 대에 규격 표준화로 50Cm 내외 설정
- 동래읍성 남문 밖 해자에서 출토된 칼은 조선 중기 지
방에서 제작된 환도의 전형적인 형태
w 예도 임진왜란을 계기로 일본 도검류의 제조법과 사용법 전
수에 노력을 기울여 개량

(5) 임진왜란 때 사용된 검은 현재도 다수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장검이 있다.
7. 도검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
① 동아시아에서의 칼은 ‘도(刀)’와 ‘검(劒)’으로 구분된다.
② 삼국시대 장식대도는 전쟁에 직접 사용되었다.
X
③ 환도(環刀)는 조선 전기를 대표한 도검이다.
④ 충무공 이순신의 장검 등 임진왜란 때 고급 지휘관의 검이 남아있다.
【해설】 권력과 권위를 상징하는 의례용 칼로서 복식품의 구성 요소


4. 대표적 화기
1) 소형 총통
v 고총통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화기
(1) 삼총통, 세총통, 사전총통, 팔전총통, 이총통
- 조선 태종~세종 때부터 조선 중기 까지 사용된 청동제의 소형총통
- 길이 : 20~35cm 내외, 한 뼘 남짓한 작은 화살을 화약의 힘
으로 발사
(2) 승자총통
- 조선 중기 [김지]가 개발한 신병기
- 1583년 이탕개의 난에 사용됨
- 임진왜란 때 조총에 밀려 그 위력은 반감되면서 다양하게 개량됨
-> 대승자총통,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 별승자총통, 쌍승자총통
-> 소승자총통 : 조준이 한층 정교한 견착식, 탄환의 장거리 발사 가능
(3) 조총
- 15세기 말 유럽에서 처음 만든 후 포르투갈인에 의해 1543년
일본 다네가섬에 전래
- 우리나라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후 조총 입수 및 제작에 노력
- 이순신, 김시민 등 조총 제조
- 조선 후기 후장식 소총이 도입될 때까지 조선군의 대표적인 개
인용 화기로 널리 사용

 

2) 대형 총통
(1) 고려 말 최무선의 화약 발명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대형 화포로 고려
말 성문을 지키던 포대에서 발굴되어 북한 해주력사 박물관에 있다.
(2) 조선 초기 화약감조청을 설립하며 화기제도 정비 본격화
(3) 천자총통
- 대장군전을 발사하여 성문, 마차, 함선, 진지 파괴
w 대장군전(조선시대 천자총통에 사용한 화살로 천자총통으로 쏘아 적
을 공격하던 크고 긴 화살을 가리킨다.)
- 임진왜란 중 거북선에 장착하여 해전에 사용된 기록은 있으나
크기에 비해 효율성과 운반의 어려움으로 많이 제작 되지 않음
(4) 지자총통
- 임진왜란 중 이순신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의 주력 화포
(5) 현자총통
- 임진왜란 때 주력으로 사용됨
(6) 불랑기 : 1517년 포루투갈 상인이 중국 광저우에 전래한 유일한
후장식 화포
- 우리나라에는 명종 연간에 도입
- 발사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
- 임진왜란 때 평양성 탈환에 활용
- 신미양요 때 강화 초지진과 광성보에서 미군과 교전했던 주력화포
(7) 홍이포 : 병자호란 후 중국으로부터 도입한 대형화포
- 수성전과 공성전에 사용
w 수성전(성곽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기 위한 군사 편제, 방어 요령, 방어용 시설 등을 소개)

w 공성전(적군의 성곽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되던 각종 무기와 공격 요
령, 군사 편제 방식 등을 소개)
9.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의 주력 화포였던 대
형 화기는? 2
① 천자총통 ② 지자총통 ③ 사전총통 ④ 승자총통
【해설】 천자총통-대장군전을 발사하여 성문, 마차, 함선, 진지 파괴
사전총통-조선 태종~세종때부터 조선 중기까지 사용된 청동제의 소
형총통 중 하나
승자총통-조선 중기 김지가 개발한 신병기

 

3) 화차
(1) 고려시대에 처음 제작되어 조선시대 문종이 개량
(2) 변이중이 개량한 화차를 이용하여 행주산성에서 사용
(3) 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총통기나 신기전기 중 하나를 올려놓고 사용
- 매우 정교한 화약 제조와 능숙한 화포 조작

 

4) 완구
(1) 댕구라고도 하며 유통식 화기의 일종
(2) 크기에 따라 4가지가 있으며 350보~500보 정도 함
(3) 비격진천뢰
- 선조 때 이장손이 발명
- 임진왜란 때 경주성 탈환에 결정적 역할
4. 임진왜란 때 경주성 탈환의 전과를 올리는 데 큰 역할을 했던 화
약무기는? 1
① 비격진천뢰 ② 승자총통 ③ 편전 ④ 유엽전
8. 조선시대 화기 중에서 자기 몸통보다 큰 발사체를 쏘는 데 사용
된 유통식 화구는? 4
① 조총 ② 불랑기 ③ 화차 ④ 완구
【해설】 불랑기-후장식 화포
화차-두 바퀴가 달린 수레 위에 총통기나 신기전기 중 하나를 올려놓고 사용


5. 방어무기
v 방어용 무기로는 방패, 갑옷이 있다.
- 갑옷 : 삼국시대 초기부터 사용, 고구려 고분벽화,
가야에서 다수 발견

 

1) 갑옷
(1) 가야 갑옷(철갑)
- 대부분이 세로로 긴 철판을 이어 만든 판갑
- 삼각형, 비늘 모양의 갑옷도 존재
- 판갑은 인체 구조에 맞추어 제자
(2) 고려 갑옷
- 현존하는 갑옷은 정지 장군이 관음포해전에서 착용했던 것
- 철판과 철제 고리를 엮어 만든 경번갑
(3) 조선 갑옷
- 동래읍성 남문 해자 찰갑
- 조선 중기: 유성룡의 갑옷-피갑
(皮甲 : 돼지 가죽으로 만든 갑옷)
- 조선 중기와 후기 :
->두석린갑주 : 두석이란 놋쇠를 가리키며 두석 미늘을 연결하며 만듦
->두정갑주 : 안쪽에 얇은 가족 미늘을 대고 두정으로 박은 옷
(4) 면제배갑
- 고종 초 병인양요 이후 흥선대원군의 지시로 김기두와 안윤가
만든 갑옷
- 실전에서의 사용여부는 확실치 않음

10. 적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용 무구가 아닌 것은? 1
① 신기전기 ② 두석린갑주 ③ 두정갑주 ④ 면제배갑
【해설】 신기전기는 공격용 무기로 화차에 올려놓고 무기로 사용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