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동양철학

(15)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5. 퇴계의 철학 제15강. 율곡의 철학 1. 율곡의 생애 - 율곡 이이(1536-1584): 이름은 이이(李珥), 자(字)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 강원도 강릉 오죽헌(烏竹軒)에서 출생.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師任堂 申氏, 1504-1551). - 13세부터 29세까지 과거시험의 9차례 관문을 장원급제로 통과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는 별명을 얻음. 23세에 제출한 시험답안 「천도책(天道策)」은 중국에까지 널리 알려짐. - 23세에 퇴계를 만났을 때, 퇴계는 율곡을 두고 “공자가 ‘후생가외(後生可畏)’라고 하였는데, 이 젊은이를 보니 정말 맞는 말이다!”라고 함. - 출사 후 9차례나 사간원(司諫院)의 대사간(大司諫)을 역임. 관직활동을 하는 동안 경제․사회․군사제도 전반에 걸친 구체적 개혁안들을 ..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4. 퇴계의 철학 제14강. 퇴계의 철학 1. 퇴계의 생애 - 퇴계 이황(1501-1570): 이름은 이황(李滉), 자(字)는 경호(景浩). 호(號)는 퇴계(退溪), 청량산인(淸凉山人) 등 다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출생. 15세기 무렵부터 조선의 유학자들은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와 나눠져 대립. 퇴계는 대표적 사림파. 을사사화(乙巳士禍, 1545년) 이후 관직을 멀리하며 고향에 은거함. 1560년 도산서당을 건립하여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함. 1570년 세상을 떠남.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升, 1527-1572)과의 사단칠정 논쟁으로 조선 성리학사에 한 획을 그음. 2. 사단칠정 논쟁 -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사단’은 맹자가 인(仁)․의(義)․예(禮)․지(智)의 단초로 삼은 네 가지 도..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3. 불교철학2: 한국불교의 전통 제13강. 불교철학2: 한국불교의 전통 1. 원효와 ‘여래장(如來藏)’ - ‘여래장(如來藏)’과 생멸문(生滅門): ‘여래(如來)’는 진리 그 자체로 온 자, 즉 부처를 가리킴. ‘장(藏)’은 ‘숨다’, ‘간직하다’는 의미. ‘여래장’은 부처의 모습이 숨어있는 것, 또는 부처의 가능성이 간직되어 있는 것. 원효는 생멸문의 마음을 여래장으로 봄. - 유식불교(唯識佛敎)의 ‘식(識)’: 유식불교에서는 모든 현상을 마음의 작용, 즉 ‘식(識)’으로 보고, ‘식’을 여덟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함. ①오식(五識)—다섯 가지 감각적 작용. 다섯 가지 감각기관[‘오근(五根)’]과 다섯 가지 감각대상[‘오경(五境)’]이 만나서 발생함. ②제육식(第六識)—분별하고 판단하고 헤아리는 마음의 작용. 오식에 수반되는 의식작용을 ..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2. 불교철학1: 불교의 기본 개념 제12강. 불교철학1: 불교의 기본 개념 1. 사성제(四聖諦)와 삼법인(三法印) - 불교는 기원전 6세기 무렵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가 창시한 종교. 부처, 즉 ‘붓다(Buddha)’는 깨달은 자를 가리킴. 불교는 누구든 붓다가 될 수 있다는 평등주의적 사고로부터 출발함. 불교의 초기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에는 삼법인, 사성제, 연기법을 비롯한 불교의 기본 진리들이 제시되어 있음. - ‘사성제(四聖諦)’: 불교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고(苦), 집(集), 멸(滅), 도(道)를 가리킴. ‘고(苦)’는 고통을, ‘집(集)’은 고통의 원인으로서 갈애(渴愛)를, ‘멸(滅)’은 고통의 원인이 소멸하여 해탈하는 것을, ‘도(道)’는 해탈에 이르기 위한 길을 가리킴. ‘도’에는 ‘팔정도(八正道)’, 즉 여덟..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1. 왕양명의 철학2: 앎과 실천 제11강. 왕양명의 철학2: 앎과 실천 * 󰡔전습록(傳習錄)󰡕: 왕양명의 어록과 서간집. 왕양명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자료. ‘전습(傳習)’은 󰡔논어󰡕에 기록된 증자(曾子)의 말에서 유래. “증자가 말했다. ‘나는 매일 나 자신에 대해 세 가지를 반성한다. 다른 사람을 위해 일을 도모하면서 정성을 다했는가? 벗과 사귀면서 신의를 지켰는가? 전수받은 것을 잘 익혔는가?’(曾子曰:「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논어󰡕「학이」 1. 심즉리론(心卽理論) - ‘심즉리(心卽理)’: ‘마음이 곧 이(理)이다.’ 마음은 ‘이’의 근원으로서, 사사로운 욕구의 개입 없이 타고난 그대로 순수하게 작용하면, 그것이 곧 ‘이’로 드러난다는 주장. 왕양명의 주된 관심은 ‘효(孝)’, ‘..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0. 왕양명의 철학1: 마음과 이치 제10강. 왕양명의 철학1: 마음과 이치 1. 왕양명(王陽明)의 생애 - 왕양명(王陽明, 1472-1529): 명(明)나라 중기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紹興)에서 출생. 출생시 붙여진 이름은 ‘운(雲)’이었으나 ‘수인(守仁)’으로 개명. 자(字)는 백안(伯安), 호(號)는 양명(陽明). - 18세에 누일재(婁一齋)를 만나 주자학의 ‘격물(格物)’의 학에 대해 들음. “성인은 배움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는 누일재의 말에 깊이 공감함. - 21세에 대나무에 대해 ‘격물’을 시도하였다 실패한 뒤 좌절함. - 28세에 과거시험을 통과한 뒤 관료생활을 시작. 35세에 황제 무종(武宗)에게 환관 유근(劉瑾)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투옥된 뒤 장형(杖刑)을 당하고 귀주(貴州) 용장(..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9. 주희의 철학2: 본성과 이치 제9강. 주희의 철학2: 본성과 이치 1. 성즉리론(性卽理論) - ‘성즉리(性卽理)’: ‘본성은 곧 이(理)이다[性卽理].’ 이기론(理氣論)은 인간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어, 인간 역시 운동의 힘인 ‘기(氣)’와 ‘기’가 따르는 원리인 ‘이(理)’로 이루어져 있음. ‘이’는 인간의 본성을 이룸. “본성은 곧 이(理)이다[性卽理]. 하늘이 음양과 오행으로 만물을 변화시키고 생성시킬 때 기(氣)로써 형체를 이루는데, 이(理) 역시 거기에 부여된다. 그것은 명령과도 같다.(性卽理也. 天以陰陽五行化生萬物, 氣以成形而理亦賦焉, 猶命令也.)”—󰡔중용장구(中庸章句)󰡕 -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와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 ‘소이연지고’란 그렇게 된 이유나 까닭을, ‘소당연지칙’은 당연히 그러한 법칙, 또는 마땅히 ..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8. 주희의 철학1: 힘과 이치 제8강. 주희의 철학1: 힘과 이치 1. 주희(朱熹)의 생애 - 주희(朱熹, 1130-1200): 주자(朱子). 남송(南宋)시대 ‘신유학(新儒學)’ 또는 ‘주자학(朱子學)’의 집대성자. 중국 복건(福建) 남검주(南劍州) 우계현(尤溪縣)에서 출생. 자(字)는 원회(元晦) 혹은 중회(仲晦), 호(號)는 회암(晦庵) 등. 1127년 송(宋)은 여진족이 세운 금(金)나라의 공격을 받아 수도를 개봉에서 임안으로 옮김[옮기기 전은 북송(北宋), 옮긴 후는 남송(南宋)이라 함]. 주희의 아버지 주송(朱松)은 화의론(和議論)에 맞서 항전론을 주장하다 조정에서 추방된 뒤 3년만에 세상을 떠남(주희 14세). 주희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호적계(胡籍溪)·유백수(劉白水)·유병산(劉屛山)에게 가르침을 받음. 19세에 과거시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