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정리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0. 회화

728x90
반응형

10장 회화


1. 삼국과 고려시대의 화가와 회화
v 화공(工) : 전통시대의 화가는 국가기관에 소속된 관료로서 국
가의 필요에 따라 그림을 그림
v 삼국은 중국, 일본 등 이웃나라와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1) 신라
(1) 채전(彩典)이라는 도화 기구는 경덕왕 때에 전채서(典彩署)로 확대
(2) 솔거 : 신라의 대표적 화가

 

2) 백제
(1) 인사라아
- 백제의 화가로 463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활동
- 도부
(都部), 금부(錦部) 등의 장인들과 함께 도일(渡日)
(2) 송산리 6호분
- 전축분 형식과 벽돌에 새겨진 초서, 벽에 그려진 백호 등 사신
도는 백제가 6세기에 문화적 최전성기를 누렸던 중국 양나라와
의 교류가 통해 남조 문화를 공유한 양상을 보여줌
(3) 금동대향로, 산수문전에 도인된 그림
- 노장사상을 토대로 산수 자연 속에서 청담을 즐기던 당시의 문
예적 분위기를 엿 볼 수 있음

 

3) 고구려
(1) 고구려 고분에 그려진 인물풍속화와 산수화, 신화와 설화 관련
그림들, 동물화 등 벽화는 삼국시대 회화의 높은 수준과 다양함
을 보여 줌
1. 삼국시대 화가와 회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신라는 채전이라는 도화 기구를 두었다.
② 삼국과 이웃 국가들은 회와 교류를 하였다.
③ 솔거는 백제 화부(
部) 소속 화공(工)이었다. X 신라
④ 고구려 고분 벽화는 회화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 준다.
【해설】 백제의 화부 소속 화공은 ‘인사라아’ 이다


4) 고려시대
(1) 화국과 도화원 : 그림을 담당하는 국가 조직
(2) 고려 회화는 중국에서 인기
- 사신을 보낼 때 그림을 그린 부채 선물
- 선면에는 금니, 은니, 채색으로 그림을 그림
- 선면 금은니산수화는 12세기경 제작된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의
그림을 통해 짐작 가능
w 금은니 : 금이나 은을 가루를 내어 아교풀에 섞어 만든 안료
- 이녕 : 송나라 휘종 황제의 요청으로 [예성강도]를 그림
- 이광필 : 명종의 총애를 받은 화가로 [소상팔경도]를 그림
2. 고려시대에 그림을 담당했던 국가 조직은? 1
① 화국(
局) ② 채전(綵典) ③ 전채서(典彩署) ④ 도화서(圖署)
【해설】 고려시대 그림을 담당했던 국가 조직은 ‘화국’과 ‘도화원’
3. 중국 송 휘종의 요청으로 [예성강도]를 그린 고려 화가는? 1
① 이녕 ② 이인로 ③ 이제현 ④ 이광필
【해설】 이제현-기마도강도, 이광필-소상팔경도



5) 원나라 간섭 이후
(1) 몽골풍의 복식을 한 인물 표현이 새롭게 등장
- 이제현 [기마도강도], 공민왕 [천산대렵도]

4. 다음 고려시대 회화 가운데 몽골풍의 인물 표현이 등장하는 것은? 2
가. 소상팔경도 나. 기마도강도
다. 천산대렵도 다. 송적팔경도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2. 조선시대 도화서와 화원
1) 도화원 : 회화 담당 기구
(1) 도화원 소속 화가 : 화원, 화사, 화공 등으로 불림
(2) 화법 : 원법
(3) 도화원은 예조의 소속 아문으로 두고, 제조는 예조판서가 겸직
(4) 고려부터 조선 초기까지는 국왕과 왕비의 영정이 함께 제작
5. 조선시대 도화서 소속 화가를 가리키는 말이 아닌 것은? 4
① 화원(
員) ② 화사(師) ③ 화공(工) ④ 제조(提調)
【해설】 제조는 조선시대에 잡무와 기술계통 기관에 겸직으로 임명
되었던 고위 관직


2) 화원
(1) 조선 개국 직후부터 어진 및 공신들의 초상, 축성할 건물의 형세나
수축된 건축물의 완성도 및 왕실의 주요 행사를 기념한 그림 등 국
가와 왕실에 쓰이는 긴요하고 특별한 목적의 그림 제작 담당
(2) 개성의 발휘보다는 기능에 충실한 그림을 익명으로 작업한 경우
가 대부분
(3) 회화를 중시한 세종 대 이후 국왕들은 특정 화원을 총애
- 최경 : 국왕의 어진, 불상 주로 그림
(4) 국가 운영과 통치의 중요한 문화 매체
- 신료들의 견제 대상
(5) 도화서는 경국대전에 경관직인 종6품아문이 기관으로 규정
6. 조선왕조의 도화서와 그림 제작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조선 초기까지 국왕과 왕비의 영정이 함께 제작되었다.
② 도화서 화원은 국가와 왕실에 쓰이는 그림을 제작하였다.
③ 도화서 화원은 왕실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는 그림에 개인 서명을 남겼다.
X
④ 도화서 화원의 그림이 국가 통치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설】 개성의 발휘보다는 기능에 충실한 그림을 익명으로 작업한
경우가 대부분


3. 조선시대 왕실과 회화
v 왕실을 위한 그림들은 화원들의 공동작업
-전체 구도 잡고 밑그림 / 채색 담당
(1) 왕실의 후원을 받아 제작되는 그림에는 화원 개인의 서명이 남지 않음
(2) 안견 : 조선 개국 후 처음으로 도화서 화원으로 개인적 명성 얻음
- 안평대군의 개인적 후원, 산수화로 유명
- [몽유도원도]
(3) 몽유도원도
- 안평대군은 그림이 완성 된 후 기문(
記文) 작성
- 기문에 적힌 꿈 속에서 노닌 이야기는 몽유도원도에 나타나지 않음
- 꿈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풀이한 그림이 아니라. 꿈꾸던 상서로운
산천의 형세를 그린 산수화
(4) 정희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던 시기에 왕실 비빈들의 회화 후원
이 활발해짐
- 이장손 참여-[상교정본자비도장참법], [예념미타도장참법]
(5) 영모화 : 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

- 성종 : 감상을 즐겨 도화서 화원들을 구현전에 머물게 하며 초
목과 금수(새)를 그리게 함
- 연산군 : 궁궐 후원에 응준방 설치
- 명종 : 화사 10명을 궁궐로 불러 금충초목화 그리도록 명함
- 중종 : 정통성이 부족해 대명외교에 공력을 기울임
[한강유람도], [평양도], [근정전 연향도], [영조도]
- 이암 [가응도] : 국왕의 후원, 횃대 위에 앉아 있는 매 그림
[모견도] : 왕실의 애완동물 그림
(6) 선조
- 난죽 그림에 일가견이 있어 왕실 인사들의 회화 제작 장려
- 이정 : 선조의 총애와 후원을 받은 화가
(7) 인조~현종
- 이징, 김명국, 한시각 등 활약
- 이징 : 이금산수도, 김명국 : 달마도
7. 세종 대 안평대군이 꾼 꿈을 계기로 안견이 그린 산수화는? 2
① 근정전 연향도 ② 몽유도원도 ③ 한강유람도 ④ 평양도
【해설】 근정전 연향도, 한강유람도, 평양도는 중종 대 그림으로 반정
으로 왕위에 올라 정통성이 부족했던 중종이 대명외교에 특히 공력
을 기울이기 위해 명나라 사신들의 요청이나 선사하기 위해 제작
8. 16세기 전반의 영모화로 횃대 위에 앉아 있는 매를 그린 작품은? 1
① 가응도 ② 영조도 ③ 달마도 ④ 계회도


4. 조선시대 사대부가와 회화
v 이름난 사대부가에서 회화 제작과 화가를 후원하기도 함
(1) 15세기 후반 : 관료들의 모임을 그린 계회도 제작
-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
(2) 16세기 중반
- 성리학을 심화하던 학자 관료들의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주자의 은
거지인 학문적 토대였던 무이구곡을 그린 그림에 대한 수요 증가
- 임진왜란 후 유교질서 회복의 차원에서 사대부 집안 부모님의 수
연이 국자 차원의 행사로 확대
-> 그림으로 남겨 기념 [선묘조제재경 수연도]
(3) 성리학이 심회되면서 ‘구곡시’나 ‘구곡가’의 창작이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
(4) 김수증, 김수항 형제를 위시한 장동의 안동김씨 집안은 현종과 숙종 대
회화 제작에 주도
(5) 정선 : 장동김씨 집안의 후원을 받음,
- 해악전신첩 : 금강산 다녀와 화첩 제작, 정선의 그림 + 이병연의 시
- 장동팔경첩(청풍계, 독락정, 청휘각) : 한양의 명소, 장동김씨 집안
의 세거지
- 마성린 : 정선의 문하생으로 정선이 중인층 화가인 여러 문화생들
과 합께 협업
(6) 도화서 화원들은 특정인의 화실에 모여 직업 화가들과 함께 사적으
로 여러 주문에 응함
(7) 18세기 후반 도화서 화원들의 그림을 비롯한 기성작품들이 서화 가
게를 통해 판매됨
- 광통교 서화사의 역할이 큼
(8) 사대부가에서는 서화시장에서 채색 병풍을 구입하여 의례와 장식용
으로 사용
9. 임진왜란 이후 국가의 유교 질서 회복이라는 통치 이념과 가장
관련이 깊은 그림은? 4
①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 ② 주문공무이구곡도
③ 곡운구곡도 ④ 선묘조제재경수연도첩

10. 18세기의 서울 문예계 동향을 잘못 설명한 것은? 3
① 장동의 안동김씨 집안은 정선을 후원하였다.
② 정선은 장동김씨 집안의 세거지를 그림으로 그렸다.
③ 도화서 화원들은 사적인 그림 주문을 받지 않았다.
X
④ 18세기 후반에는 서화시장을 통해 그림이 유통되었다.
【해설】 도화서 화원들은 중인층 직업 화가들과 함께 사적인 주문
에 응하여 그림을 그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