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정리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1. 한국의 과학문화재와 천지관

728x90
반응형

11장 한국의 과학문화재와 천지관


1. 고대 한국의 천문학
1) 고구려
(1) 고분벽화에 그려진 별자리 그림
- 한반도에 살았던 고대인들의 삶과 별의 긴밀한 연관성
- 중국 고대의 천문관을 수용 및 천문관측 수행 관련 그림이 많음
(2) 고구려의 별자리 그림으로 추정된 유물이 최근 일본에서도 발견
- 일본 나라현 기토라 고분
- 좌표계를 갖춘 과학적인 천문도로서 아시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도
- 관측 연대 : 기원전 1세기, 관측 위도 : 고구려의 수도 평양
(3)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로 이어짐
1. 일본 나라현에 있는 고분으로서 좌표계를 갖춘 과학적 천문도가
아 있는 것은? 4
① 무용총 ② 각저총 ③ 진파리 4호분 ④ 기토라 고분



2) 신라
(1) 첨성대 : 선덕여왕 때 세운 천문관측 기구
- 고구려의 별자리 그림 전통과는 다른 고대 천문학
- 현대 과학자 : 천체현상을 관측하던 천문대로 이해
- 고대 사회 : ‘천문을 묻는’ 행위란 천체현상 관측뿐만 아니라
하늘에 대한 제례 행위의 차원에서도 이뤄질 수 있었다.
- 하늘과 인간사회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2) 첨성대에 대한 여러 가설

천문학의 상수가
반영된 상징물
27-선덕여왕이 신라의 27대왕
28-전통 별자리 28수
29, 30-한달이 길이
365-일년의 날수
주비산경설 주비산경에 나타난 수학적 비례를 재현한 건축
규표설 해시계의 막대기(시계바늘)와 같은 역할
제단설 가을에 농업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영성단
수미산설 우주의 중심에 있었던 수미산이라는 산을 상징
33천설 수미산 자체가 아니라 수미산 꼭대기의 제석천
이 지배하는 33천인 도리천을 우물의 모양으로
형상화한 구조물로서, 인간세계와 하늘의 세계
를 연결해 주는 역할
마야부인 형상설 마야부인이 석가모니를 낳는 모습을 형상화

2. 신라의 고대 천문활동과 관련된 건축물은? 2
① 서운관 ② 첨성대 ③ 태복감 ④ 태사국



3) 고대 삼국의 천문관측 기구
(1) 7세기부터 정부 내 천문대와 천문기구 설치 및 천문관측 업무 제도 정비
- 고구려, 백제 : 일자(일관)
- 신라 : 천문박사, 역박사, 누각박사, 음양박사


4) 고려
(1) 중국의 제도를 따르며 더욱 제도화 됨

태복감 : 점복 활동 => 서운관으로 통합
태사국 : 천문관측

 

2. 조선의 건국과 천문도
1) 전통사회의 천문학
(1) 천문학은 제왕의 학문
- 왕은 하늘의 명을 받아 인간을 다스리고 하늘은 천문을 통해 뜻
을 알리므로 왕은 하늘에서 일어나는 일을 완벽하게 파악해야 함
(2) 천문도는 ‘하늘의 뜻“이 담긴 성스러운 기물
-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천문도를 계승하면서, 별의 위치를 새로 측
정한 천문도를 다시 제작하여 조선에 반포함으로써 새 왕조 개창
의 정통성을 천명

 

2) 천상열차분야지도
(1) 개국 초 1395년 제작한 천문도
(2) 왕조의 전통성과 권위를 알리는 상징물
(3) 중요한 천문 상수들과 데이터를 수록하여 천문역법의 표준으로서
의 기능 수행
(4) 천문도의 제작
- 고도의 정치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천문학도 발전시킴
3. 고대 천문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3
① 고대인의 천문활동은 하늘의 뜻을 헤아리는 것이었다.
② 고대의 천문대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볼 수 있다.
③ 고대의 천문활동에 천문관측은 포함되지 않았다.
X
④ 고대 삼국은 천문관측과 관련된 관원을 두었다.
4. 전통사회의 천문학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① 천문도 제작은 천문학 발전과는 관련이 없다.
X
② 천문학은 ‘제왕(帝王)의 학문’으로 여겨졌다.
③ 중국의 왕조들은 혁명 이후 역법을 반포하였다.
④ 천문도는 하늘의 뜻이 담긴 기물로 인식되었다.
【해설】 고도의 정치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천문학도 발전시킴



3. 조선의 역법, 혼천의, 그리고 혼천시계
v 제왕학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법 정비와 천문관측기구 창제는 세
종 대에 이루어짐
-천문을 살펴 정확한 시간을 알려 주는 ‘관상수시’는 백성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제왕의 의무이자 권리
1) 역법
(1) [칠정산]의 편찬으로 역법 프로젝트 완성
- 역사상 처음으로 독자적으로 중국 역법 수준의 역사서 편찬 및 반포
5. 세종 대에 편찬, 반포된 조선의 독자적인 역서는? 3
① 시기옥형 ② 소간의 ③ 칠정산 ④ 일성정시의

 

2) 혼천의
(1) 태양과 달, 별들의 위치와 운행을 측정하는 천문관측기구
(2) 천체의 구조와 운행 현상을 시각적으로 재현해 보여주는 기구
- 적도와 황도, 백도, 천체궤도를 상징하는 둥근 고리

(3) 복잡한 구조로 천체를 관측하기 불편하여 혼천의가 지닌 관측기
구로서의 기능은 점점 줄어들고 하늘의 형상을 반영하는 기능만
중요시 됨
- ‘간의’와 같은 새로운 기구 개발
- 간의를 소규모로 개량 : 소간의, 일성정시의
(4) 혼천의의 기계장치 부분은 자격루로 계승
v 혼천의와 간의는 관상수시 이념에 입각한 천문기구를 대표
6. ‘관상수시(觀象授時)’ 이념에 입각한 천문기구를 대표하는 것으로
묶은 것은? 2
① 측우기-간의 ② 혼천의-간의 ③ 측우기-수표 ④ 혼천의-수표
【해설】 천문을 살펴 정확한 시간을 알려 주는 ‘관상수시’는 백성들
의 삶을 이끌어가는 제왕의 의무이자 권리



3) 혼천시계
(1) 서양식 자명종의 기계장치를 활용해 제작한 소규모 시계
- 사라진 세종 대의 혼천의를 현종 10년에 이민철이 복원
4) 그 외
- 앙부일구 : 최초의 공중시계
- 측우기 : 강우량 측정
- 수표 : 물의 깊이 측정
7. 세종 대에 제작된 강우량 측정기구는? 4
① 자격루 ② 혼천시계 ③ 앙부일구 ④ 측우기
【해설】 자격루-물시계
혼천시계 ­ 서양식 자명종의 기계장치를 활용해 제작한 소규모 시계
앙부일구 ­ 최초의 공중시계


4. 조선의 고전적 천하도와 세계관
1) 전근대 동아시아의 세계지도
(1) 화이도
- 가장 일반적인 동아시아인들의 지리적 세계관이 담긴 유가적
전통 지도
- 유가 지식인들이 생각한 ‘직방세계’ 즉 ‘중화’의 세계는 지도 정
중앙에 자세히 그림
w 직방세계 : 동아시아의 유가 지식인들에게 세계라 하면 의례히 직방
세계를 의미, 이른바 오랑캐가 아닌 문명인들이 살고 있는 세계, 그
래서 지도에 그려 넣을 가치가 있을 세계를 말함
- 사해 : 중화세계 바깥 지역은 이민족 거주지로써 생략하거나
소략하게 그림
(2) 천하고금대총편람도
- 김수홍이 그린 중국지도로 중국의 지역만 자세히 그림

 

2)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 1402년 조선 정부 제작한 세계지도
- 협소한 직방세계를 벋어나 유럽과 아프리카까지 담음
- 원 제국이 중국을 지배하던 시대상 반영
(2) 중화적 세계인식
- 지도부 중심부 대부분은 중국 본토 차치
- 유럽과 아프리카는 주변부
- 한반도는 매우 크게 그려져 있음-> 건국 주도 세력의 자부심
(3) 천명을 받은 왕이 통치하는 천하를 담았다 하여 ‘천하도’라 부름
(4) 제왕적 학문으로서의 지도학을 보여주는 유물

9. 조선 초에 제작된 세계지도로서 세계제국이었던 원의 영향이 반영
된 것은? 1
①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② 천하고금대총편람도
③ 곤여만국전도 ④ 일월오봉도
【해설】 천하고급대총편람도-김수홍이 그린 중국지도로 중국지역만
자세히 그림
곤여만국전도-서양식 세계지도
일월오봉도-지도가 아니라 왕을 상징하는 그림


5. 조선 후기의 새로운 세계지도와 우주관
1) 곤여만국전도
(1) 서양식 세계지도
- 두 개의 타원형 안에 구대륙과 신대륙 모두를 포함하는 지구
상 전 지역을 아시아를 중아에 배치해 그린 세계지도
(2) 서양식 세계지도에 담긴 내용이 동아시아인들에게 충격
- 유가적 직방세계를 벗어난 너무 광대한 세계를 담았기 때문
- 구형의 땅을 전제로 그려짐

 

2) 원형 천하도
(1) 조선 후기 가장 널리 유통된 세계지도
(2) 유가 사대부들의 상식과 판이한 도가적 우주관
(3) 일월오봉도
- 원형 천하도에 담긴 우주의 핵심 구성요소들이 등장
8.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지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① 세계지도는 ‘천하도’라고 불렀다.
② 지도학은 ‘제왕의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③ ‘화이도’는 유가적 전통의 지도였다.
④ ‘직방세계’는 이민족 거주지를 가리킨다.
X 사해
10.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에 새로 등장한 세계지도를 맞게 묶은 것은? 3

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다. 곤여만국전도
나. 소상팔경도
라. 원형천하도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