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정리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9. 조선 왕실문화

728x90
반응형

9장 조선 왕실문화


1. 국왕의 상징
v 국왕은 하늘의 명을 받은 초월적인 존재임과 동시에 모든 사람들
의 위에 있는 존재이며 조선의 주권자이자 대표자
1) 하늘과 땅의 상징
(1) 王 : 하늘과 땅, 사람을 각각 상징하는 세 개의 ‘ㅡ’에 ‘ㅣ’를
그어 하나로 연결하는 의미를 담고 있음
- 하늘과 땅, 사람을 연결시키는 존재
(2) 하늘의 아들 : 우주와 세계를 대신 하여 다스리는 자
(3) 조선시대에는 천자가 행사는 의례를 피했지만 하늘의 일을 살펴
서 백성에게 전달하고 하늘에 소원을 비는 의식은 국왕의 몫
(4) 천문역법 : 국왕이 하늘과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이 잘 드러난 사례
-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 : 천문 현상을 12개의 분야로 나누어
차례로 늘어놓은 그림으로 위로는 천시를 받들고, 아래로는 민
사에 힘쓰는 정치사상 반영
- 서운관을 관상감으로 개편
- 천문관측기구 제작과 운영, 달력 편찬
(5) 역서 간행 : [칠정산내편], [칠정산외편]
- 조선의 국왕이 천자와 대등한 존재임을 은연 중 나타냄
(6) 세종 대 : 천체 관측기구 [간의] 제작
- 간의를 작게 개량한 소간의와 해시계인 현주일구, 천평일구 제작
(7) 재이(災異) 발생
-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에 입각하여 자연현상과 사람을 연결
- 재이(災異)가 발생하면 국왕이 궁궐의 정전(正殿)에 피할 것(피
전)과 감선(減膳) 요구-> 경연에서 일상적으로 주장
- 적극적 대처 :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 등의 기후 의례를 치름
(8) 국왕은 종묘와 사직을 지키는 사람으로 표현
- 사직제는 [국조오례의]에서 대사(大祀)로 분류된 이후 가장 중
요한 제사
- 조선 후기에는 기곡제도 대사로 편입
- 사직체계는 민생의 구제와 안정을 기원하는 기능 추가
1. 조선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2
① 국왕은 조선의 주권자이자 대표자이다.
② 국왕은 천자가 아니므로 하늘에 소원을 빌 수 없다.
X
③ 국왕은 하늘과 땅, 사람을 연결시키는 존재였다.
④ 국왕은 하늘의 일을 살펴 백성에게 전달하였다.
【해설】 조선시대에는 천자가 행사는 의례를 피했지만 하늘의 일을
살펴서 백성에게 전달하고 하늘에 소원을 비는 의식은 국왕의 몫
2. 조선 전기에 제작된 해시계를 바르게 묶은 것은? 3

가. 천상열차분야지도
다. 현주일구
나. 칠정산내편
라. 천평일구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해설】 천상열차분야지도
-천문 현상을 12개의 분야로 나누어 차례로 늘어놓은 그림으로 위
로는 천시를 받들고, 아래로는 민사에 힘쓰는 정치사상 반영
칠정산내편, 칠정산외편-역서
3. 재이(災異)가 일어났을 때 국왕이 취하는 적극적 대책은? 4
가. 기청제(祈晴祭) 나. 감선(減膳)
다. 피전(避殿) 라. 기우제(祈雨祭)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해설】 적극적 대책 - 기우제, 기청제, 기설제


2) 사람의 상징
v 국왕은 보통 사람과 구분되는 존재로 여러 가지 상징물로 대신 표현

국새 국왕, 국가 상징 종묘 왕의 신주를 모심
어보 왕실을 상징하는 도장 선원록 왕실의 족보
어진 국왕의 초상화

(1) 신분에 따른 도장 구분
- 보 : 왕, 왕비의 도장 (왕의 도장=어보, 국새)
- 인 : 왕세자, 왕세자비
(2) 어진
- 국왕의 분신으로 임금과 동등하게 존중
- 조선 중기 어진 제작의 전통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숙종 때 다
시 그려짐
(3) 선원록
- 왕실의 족보로서 선원록의 작성과 관리 및 보존은 국가적 사업
으로 이루어지며 선원각에 보관
4. 국왕과 왕실의 상징을 잘못 연결한 것은? 2
① 국새
국왕이나 국가를 상징하는 도장
② 사직
국왕이 기거하던 궁궐 X
③ 어진 국왕의 초상화
④ 선원록
왕실의 족보
【해설】 사직-토지신과 곡식신에게 제사드리는 곳
3) 문치(文治)와 국왕
v 왕의 폭정이 계속되는 경우 반정을 통해 왕을 끌어내림
(1) 왕의 선정(善政)을 위해 국왕의 교육을 철저히 함
(2) 각종 기록을 통해 국왕 견제
(3) 국왕교육은 세자시절 서연, 즉위 이후 경연이 있다.
- 경연은 제도화된 국왕의 중요한 일과
- 유교의 이상 정치 실현의 목적과 국왕의 자의적 왕권 행사 규제
- 경서와 역사서를 읽고 신하들과 함께 정국 현안 논의
(4) 문치 실현을 위해 국왕을 돕는 기관
- 집현전 : 세종
- 규장각 : 정조
6. 경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유교적 이상 정치 실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② 국왕의 자의적 왕권 행사를 규제하는 기능이 있었다.
③ 경연에서 정국 현안이 논의되지는 않았다.
X
④ 국왕의 중요한 일과로서 제도화되었다.
【해설】 경서와 역사서를 읽고 신하들과 함께 정국 현안 논의


2. 왕실의 의례와 생활
1) 왕실의 의례
v 국조오례 :

길례(吉禮) 국가적 차원의 각종 제례-종묘, 사직, 산천, 기우,
석전, 선농 등
가례(嘉禮) 궁중 혼례와 책봉 의식-국왕의 즉위식, 존호의식,
조참의, 문무과 방방의
빈례(賓禮) 외국 사신 접대 의식
군례(婚禮) 군사 의식-친사의, 대열의, 강무의
흉례(凶禮) 장례 의식-국장, 예장

(1) 왕대별의 전례서
- 세종-세종실록오례, 성종-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서례,
영조-국조속오례의, 국조속오례의서례, 국조속오례의보,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정조-춘관통고, 고종-대한예전
5. 역대 국왕의 신주를 모신 곳으로 국왕과 왕권, 국가를 상징하는
곳은? 4
① 사고(史庫) ② 사각(史閣) ③ 종각(鐘閣) ④ 종묘(宗廟)
7. 조선왕조 오례(五禮) 가운데 길례(吉禮)에 해당하는 것은? 1
① 석전(釋奠) ② 책봉례(冊封禮)
③ 조참의(朝參儀) ④ 강무의(講武儀)
【해설】 책봉례-가례, 조참의-가례, 강무의-군례


2) 왕실의 일상생활
(1) 국왕은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공적인 존재로서 보냄

기상과 상참 아침조회
시사 정무
윤대 관리들을 돌아가면서 만남
조강 아침에 경연
식사 후 정무
주강 낮에 하는 경연
정무 지방파견 관리 인사, 주요 관리에게 받는 보고
석강 저녁 경연 (오후 3~4시)
소대 낮에 하는 임시 경연
야대 밤에 하는 임시 경연

- 제사나 시신 접대 등 특별한 일이 있을 때는 일상적 일과를 그
만둔 채 행사에 참여
- 조상에 대한 제사, 종묘나 사직, 선농단 등의 제사도 참여
(2) 궁궐 밖 행차 : 행행(行幸) 또는 거둥
- 거둥의 목적에 따라 의장을 대가노부, 법가노부, 소가노부의
형식으로 달리 함
- 영조, 정조는 행차 중 상언과 격쟁을 통해 백성의 고충을 들음
(3) 왕비의 일과
- 왕비는 개인적으로 국왕의 아내이자 공적으로는 내명부의 수장
- 공식 의식으로 친잠례을 행하고 궁중과 사대부의 여성들에게 유교
예법을 가르침
- 대비가 되면 경우 따라 왕의 계승에 권한을 행사하거나 수렴청
정을 하기도 함
(4) 왕실 구성원은 직계가족 외에도 동고조 8촌 이내의 친족집단으로
이루어짐
- 정치 참여는 금지되었지만 종친부에 참여시켜 관작을 수여함
- 국왕의 사위와 외척은 친척에 비해 규제가 약함


8. 왕실의 일상생활 가운데 왕비가 행하던 공식적 의식은? 2
① 상참(常參) ② 친잠례(親蠶禮) ③ 윤대(輪對) ④ 시사(視事)
【해설】 [상참-아침조회, 윤대-관리들을 돌아가면서 만남, 시사-정무]

 

3. 왕실의 기록과 그림
1) 연대기와 의궤
v 왕실기록 연대기 : 선원록,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1) 조선왕조실록
- 제1대 국왕 태조부터 25대 철종까지 역대 임금의 행적을 편년
체로 기록
- 실록편찬 목적은 후세에 기록을 남겨 참고자료로 활용
- 국가에서 추진하는 중요한 일에 관련된 과거의 사례를 알기 위
해 사고에 사람을 보내 베껴 오도록 함
- 국왕은 실록을 열람할 수 없었다.
-국조보감 : 실록을 대체하여 국왕이 항상 옆에 두고 참고용으로
역대 임금의 훌륭한 말과 좋은 정치 내용
(2) 승정원일기
- 국왕의 비서기관인 승정원의 공식 일지로 왕의 동정과 국정에
관련된 일을 실시간으로 기록
- 실록에 비해 수정을 거치지 않은 1차 자료로서 의의가 크며 왕
실문화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3) 일성록
- 정조가 세손 시절부터 기록하기 시작하여 순종 4년까지 매일의
기록 가운데 국왕을 중심으로 중요한 점 정리
- 국왕이 보기 편하게 국정 정리
- 방대한 양은 왕실문화를 살피는데 유용
(4) 의궤
- 왕실의 행사나 국가적인 행사 등을 치른 후 이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모아서 정리한 책
9. 제1대 국왕 태조부터 제25대 철종까지 역대 임금의 행적을 편년
체로 기록한 것은? 2
① 승정원 일기 ② 조선왕조실록 ③ 일성록 ④ 국조보감
【해설】 승정원일기-국왕의 비서기관인 승정원 공식 일지
일성록-정조 세손시절~순종 4년까지 매일 기록 가운데 국왕 중심의
중요한 점 정리
국조보감-역대 임금의 훌륭한 말과 좋은 정치 내용 기록

 

2) 왕실 관련 그림
v 어진, 왕실의 기록화, 장식화
(1) 왕실의 기록화
- 행사 장면을 상세하게 그린 궁중행사도와 행사의 준비과정을
기록한 의궤그림이 있다.
- 조선전기 : 첩 -> 후기 병풍 형태로 많이 바뀜
(2) 도화원의 화원들이 전담하여 그림
- 김홍도 : 규장각 자비대령화원으로서 정조의 명에 따라 그림을
그려 올림
(3) 영, 정조 대에는 상당한 수준의 그림이 그려져 궁중의 문화를 상
세해 전해 줌
10. 조선시대 왕실의 국가의 행사를 치른 뒤 관련 기록을 모두 모아
정리한 책은? 3
① 실록 ② 어보 ③ 의궤 ④ 선원록
【해설】 실록-역대 임금의 행적 기록 / 어보-왕실 도장
/ 선원록-왕실족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