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동양철학

(15)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7. 노자의 철학2: 무위와 공동체 제7강. 노자의 철학2: 무위와 공동체 1. 도(道)와 유약함 - 󰡔노자󰡕에서는 모든 것의 운동과 변화의 극단에는 현재의 모습과 상반된 모습이 기다리고 있다고 봄. 또한 그 극에 이르면 다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운동이 일어난다고 함. 󰡔노자󰡕에 나타난 이런 관념을 ‘물극필반(物極必反)’이라고 표현하기도 함. 만물은 극에 달하면 반드시 그 반대면으로 되돌아온다는 의미. “반대면을 향해 가는 것[되돌아가는 것]이 도(道)의 움직임이다. 유약함은 도의 쓰임이다.(反者, 道之動. 弱者, 道之用.)”—󰡔노자󰡕 40장 “큰 것은 가기 마련이고, 가면 멀어지기 마련이고, 멀어지면 되돌아오기 마련이다.(大曰逝, 逝曰遠, 遠曰反.)”—󰡔노자󰡕 25장 - ‘유약(柔弱)’: 󰡔노자󰡕에서는 유약함, 즉 부드럽고 약함..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6. 노자의 철학1: 도와 덕 6. 노자의 철학1: 도와 덕 1. 노자와 󰡔노자󰡕 - ‘노자(老子)’: 노숙한 또는 노련한 선생을 의미함. 구체적으로 누구를 지칭하는지 분명하지 않음. 사마천은 ‘은둔한 군자’로 정리함. - 사마천의 󰡔사기(史記)󰡕「노자열전(老子列傳)」 노자(老子)는 초(楚)나라의 고현(苦縣) 여향(厲鄕) 곡인리(曲仁里) 사람이다. 성은 이씨(李氏)이고 이름은 이(耳)이며, 자(字)는 담(聃)이라고 한다. 그는 주(周)나라의 장서실(藏書室)을 관리하는 사관(史官)이었다. 공자가 주나라에 가서 노자에게 예(禮)에 관해 묻자, 노자는 대답했다. “그대가 말하는 성현들은 그 육신과 뼈가 모두 이미 썩어버리고 단지 그 말만 남아있을 뿐이오. 하물며 군자도 때를 만나면 관직에 나아가지만, 때를 못 만나면 이리저리 날려다니는 다..
도사, 사주,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5. 맹자의 철학2: 맹자의 경쟁자들 제5강. 맹자의 철학2: 맹자의 경쟁자들 1. 사생취의(舍生取義) - ‘사생취의(舍生取義)’: 맹자는 도덕적 가치를 따르려는 성향과 생물학적 욕구를 동시에 추구할 수 없을 때에는 전자를 위해 후자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함. 전자는 큰 몸, 즉 대체(大體)에 따르고, 후자는 작은 몸, 즉 소체(小體)에 따르기 때문이라는 것. 작은 몸은 감각기관으로 이루어진 생물학적 신체를, 큰 몸은 도덕적 가치의 원천이자 사유 능력을 가진 마음을 가리킴. 작은 몸은 감각적 대상에 가려져 다른 것을 돌아다보지 못함. 그러나 큰 몸, 즉 마음은 생각하는 능력이 있어, 대상에 끌려다니기보다 합당한 것이 무엇이고 도덕적 규범에 맞는 것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반성할 수 있음. 맹자는 작은 몸에 대해서는 욕망을 죽일 것을, 즉 과욕(..
도사,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4. 맹자의 철학1: 인간의 본성 제4강. 맹자의 철학1: 인간의 본성 1. 맹자(B.C.372-B.C.289)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 공자의 계승자로서의 맹자 “맹자가 말했다. ‘[…]공자 이래로 지금까지 백여 년이 지났다. 성인이 살던 시대와 이렇게 멀지 않고 성인이 살던 곳과 이렇게 가깝다. 그런데도 공자의 학설을 전하는 자가 없구나. 그의 학설을 전할 자 역시 없는 것인가!’(孟子曰:「[…]由孔子而來至於今, 百有餘歲, 去聖人之世若此其未遠也, 近聖人之居若此其甚也, 然而無有乎爾, 則亦無有乎爾.」)”—󰡔맹자󰡕「진심(盡心)」하(下) - 사마천의 󰡔사기(史記)󰡕「맹자열전(孟子列傳)」 “맹가(孟軻, 맹자의 본명)는 추(鄒)나라 사람이다. 그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인에게서 학업을 전수받았다. 맹가는 도(道)를 깨치게 되자, 제(齊..
도사,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3. 공자의 철학2: 이름과 분별의 정치 제3강. 공자의 철학2: 이름과 분별의 정치 1. 공자의‘인(仁)’ - 󰡔시경󰡕의 ‘인(仁)’: ‘씩씩하다’, ‘남자답다’ 등의 의미로 쓰임. 공자는 이 단어를 철학적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 “숙(叔)이 사냥을 가니 마을에 사는 사람이 없는 듯. 어찌 사는 사람이 없을까마는, 숙처럼 정말 아름답고도 인(仁)한 이가 없기 때문이라. 숙이 사냥을 가니 마을엔 함께 술 마실 사람이 없는 듯. 어찌 함께 술 마실 이 없을까마는, 숙처럼 정말 아름답고도 좋은 이가 없기 때문이라. 숙이 들로 나가니 마을에는 말 탄 사람이 없는 듯. 어찌 말 탄 사람이 없을까마는, 숙처럼 정말 아름답고도 늠름한 이가 없기 때문이라.(叔于田, 巷無居人. 豈無居人, 不如叔也, 洵美且仁. 叔于狩, 巷無飮酒. 豈無飮酒, 不如叔也, 洵美且..
도사,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2. 공자의 철학1: 인간다움과 예 제2강. 공자의 철학1: 인간다움과 예 1. 공자의 생애(B.C.551-B.C.479) - 공자와 ‘성인(聖人)’: 공자가 생각하는 성인은 ‘박시제중(博施濟衆)’의 구현자. “자공이 말했다. ‘백성들에게 널리 베풀고 대중을 구제할 수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인(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어찌 인(仁)에 그치겠는가? 반드시 성(聖)일 것이다! 요․순임금도 그 때문에 애태웠다!’(子貢曰:「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曰:「何事於仁! 必也聖乎! 堯舜其猶病諸!)”—󰡔논어󰡕「옹야(雍也)」 “공자가 말했다. ‘성(聖)과 인(仁) 같은 것을 내 어찌 감당하겠는가. 그러나 행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으며, 남을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할 수 있다.’공서화가 ..
도사, 철학과, 동양철학, 방통대 교양 등 동양철학 요점 정리 1.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 제1강. 동양철학이란 무엇인가? - ‘동양(東洋)’, ‘철학(哲學)’, ‘동양철학(東洋哲學)’: 19세기 이후 동아시아에 서양의 문화와 학술이 유입됨에 따라 번역어로서 통용되기 시작한 근대적 개념들. - ‘동양(東洋)’: 19세기 일본인들은 유럽인들이 사용하던 ‘orient’를 ‘東洋’으로 번역. ‘orient’는 라틴어 ‘oriens’(해가 뜨는 곳, 동방)에서 유래. 유럽인들에게 ‘orient’는 아랍지역, 인도,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등 광범위한 지역을 가리킴. 일본인들은 ‘동양’을 서양의 제국주의의 침입에 맞서 저항해야 할 아시아 지역을 통칭하는 데 사용함. - ‘철학(哲學)’: 일본의 근대 지식인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서양의 ‘philosophy’의 번역어로서 만들어낸 신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