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학개론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7. 일본의 근세

728x90
반응형

 

7장. 근세

 

학습목표

1. 센고쿠다이묘가 등장한 이후의 사회적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오다 노부나가의 전국통일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근세적 질서를 수립하고 통일정권을 확립하려 하였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중심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에도시대의 정치체제인 막번체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에도시대의 신분질서, 특히 농민에 대한 통제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목차

1. 센고쿠시대 - 근세의 여명기

2.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치

3. 에도시대의 정치와 사회

 

1. 센고쿠시대 - 근세의 여명기

 

(1)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의 성립

 • 오닌(応仁)의 난의 결과, 쇼군의 권위가 실추되고 막부 권력이 쇠퇴

슈고다이(守護代)나 고쿠진(国人)들이 대두하여 실권 장악

 • 슈고다이묘도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領国)지배를 강화

슈고다이나 고쿠진의 성장, 슈고다이묘의 적극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성격의 권력이 각지에 등장

- 센고쿠다이묘

센고쿠다이묘는 막부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지역분권적인 권력

 

(2) 센고쿠다이묘의 정책

 

1) 가신단 편성

 • 고쿠진지자무라이(地侍) 등의 무사들과 토지를 매개로 한 봉건적 주종관계를 맺어 가신단에 편제

 • 유력 가신과 재지(在地)의 중소무사들에게 의제(擬制)적인 친자관계를 맺게 하여 가신단의 조직을 강화

[요리오야요리코 (寄親寄子)제도]

요리오야요리코
· 의제적인 친자관계를 통해 맺어진 주종관계, 혹은 그것에 준하는 보호자피보호자의 관계
· 보호하는 측이 요리오야, 보호받는 측이 요리코

 

2) 분국법의 제정

 • 분국법은 센고쿠다이묘가 영국을 지배하기 위하여 발포한 법령

 • 법전의 형태나 가훈의 형태, 또는 개별적인 법령을 모아둔 것 등등 형태가 다양함

 • 무사만이 아니라 농민이나 상인까지 그 대상에 포함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

영국지배의 기본 정책을 명문화하여 강력한 지배가 가능

 

3) 토지지배 정책

 • 토지에서 징수할 연공(年貢)을 통화의 양으로 표시한 간다카(貫高) 제도를 통해 토지와 인민에 대한 통일적 지배를 추진

가신에 대한 분봉, 군역세금 부과시의 기준

 • 간다카를 설정하기 위해 토지조사사업인 겐치(検地)도 시행

토지를 장악하여 장원을 해체

4) 경제산업진흥책

 • 조카마치(城下町)를 건설하여 가신과 상인들을 거주시킴

조카마치를 경제의 중심지로

 • 동업조합인 좌()에 가입하지 않은 상인을 보호하여 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라쿠이치(楽市)정책을 실시

상업의 자유화 정책

 • 부국을 위해 금광, 은광 등 적극적으로 광산개발을 추진

 

슈고다이묘(守護大名)와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의 비교


슈고다이묘 센고쿠다이묘
막부와의 관계 쇼군이 임명. 영국지배를 위해 막부권력에 일정 부분 의존. 막부권력으로부터 독립. 실력으로 지위를 획득.
, 막부의 권위는 이용.
다이묘의 거처 유력 슈고는 교토에 거주.
영국에는 슈고다이가 거주.
영국에 거주. 조카마치를 건설하여 가신을 거주시킴.
가신의 통제력 고쿠진을 가신화하였으나 주종관계는 센고쿠다이묘에 비해 약함. 고쿠진 등을 토지를 매개로 가신단에 편성하여 강한 주종관계를 형성함.
정치경제정책 영국에서의 정치경제상의 장악력은 불충분. 분국법, 겐치 등으로 지배권 강화. 각종 산업을 보호육성

 

 

2.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치

 

(1) 뎃포(鉄砲) 전래의 영향

활을 사용하여 일대일로 겨루는 기마전에서 아시가루(足軽) 뎃포(鉄砲) 부대 등에 의한 보병의 집단전법으로 변화

산성에서 평지에 견고한 성을 축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고, 석축이나 높은 천수각(天守閣)도 만듬

전쟁의 승패가 빨리 결정되어 군사적 통일이 촉진

집단전법에 의한 기동력을 높이기 위해 가신들을 조카마치에 거주시킴

병농분리로의 진행도 빨라짐

 

(2)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와 종교 세력과의 대립

 

1) 엔랴쿠지(延暦寺)

 • 직접적인 원인 -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義昭)와 연합하여 노부나가에게 대항

 • 엔랴쿠지는 천태종(天台宗)의 총본산으로 천황귀족과의 관계가 깊었고, 헤이안(平安)시대 이래 장원영주세력의 정신적인 거점

 • 강력한 종교적 권위와 함께 장원과 좌의 혼조(本所)로서의 경제력과 승병조직을 바탕으로 한 세속적인 힘도 보유

엔랴쿠지로 대표되는 장원제와 기존권력을 부정하는 것은 통일과정에서 불가피한 것

 

2) 혼간지(本願寺)와 잇코잇키(一向一揆)

 • 잇코잇키 - 정토진종(浄土真宗) 혼간지 교단, 즉 잇코슈(一向宗)의 신도들이 일으킨 무장봉기

 • 신분의 고하에 관계없이 부처님 앞에서는 모두 평등하다는 것이 잇코슈의 가르침

신도들은 이 가르침에 따라 횡적인 평등원리로 단결

 • 종적인 신분제를 전제로 한 무사신분에 의한 전국통일을 꿈꾸는 노부나가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

노부나가의 최대의 적으로, 가혹할 정도로 잇코잇키를 탄압

 

(3) 오다 노부나가의 정책

 • 교토, 오츠(大津) 등과 함께 전국 제일의 경제력을 가진 사카이()를 직할령으로 삼아 기나이(畿内)의 높은 경제력을 장악 (사카이 상인들이 군사비를 부담하기를 꺼려함.)

 • 각지의 세키쇼(関所)를 철폐하고 도로와 다리를 정비

 • 아즈치성(安土城)의 조카마치에 라쿠이치라쿠자(楽市楽座)를 실시

동업자집단인 좌의 특권을 폐지하고 상공업자에게 자유로운 영업활동을 인정하여 상공업의 진흥을 추진

 • 토지조사사업인 겐치를 실시

장원영주의 경제적 기반을 붕괴

 

(4) 도요토미정권의 경제적 기반과 조직

 

1) 경제적 기반

 • 다이코쿠라이리치(太閤蔵入地)라고 하는 약 200만석의 직할령

다이묘에 대한 은상, 가신들의 봉록과 군량미 등에 충당

 • 사도(佐渡)의 금광, 이와미(石見)의 은광, 이쿠노(生野)의 은광 등 주요 광산을 직할경영

 • 교토, 오사카, 사카이, 후시미(伏見), 나가사키(長崎) 등의 주요 도시들을 직할령으로 삼아 경제력을 장악

 

2) 조직

 • 경제적 기반은 방대한 반면, 조직체계는 매우 미숙한 수준

 • 가신 다섯 명을 부교(奉行)로 삼아 정무를 분담하게 하는 정도

 • 만년에는 유력한 다이묘 다섯 명을 다이로(大老)로 삼아 중요 정무를 합의에 의해 결정하게 함

조직의 미비함은 도요토미정권의 독재적 성격을 상징

 

(5) 고부교(五奉行)와 고다이로(五大老)

 

1) 고부교

아사노 나가마사(浅野長政) - 사법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 - 행정

마시타 나가모리(増田長盛) - 토목

나쓰카 마사이에(長束正家) - 재정

마에다 겐이(前田玄以) - 종교

 

2) 고다이로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 필두

마에다 도시이에(前田利家)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

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사후에는 우에스키 가게카쓰(上杉景勝)

 

(6) 토지조사사업 - 다이코켄치(太閤検地)

 • 근세적 질서를 수립하고 통일정권을 확립하고자 추진한 중심정책

 • 센고쿠시대의 겐치 - 토지의 면적 등의 기준이 영국마다 달랐고, 토지대장으로 조사하는 경우도 있어

현지조사는 부분적으로만 실행

 • 다이코켄치는 통일된 기준에 의한 현지 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

 

다이코켄치의 기준

토지의 측량단위를 통일

연공을 수납하는 되의 크기를 통일

토지를 4등분하여 각각의 표준수확량인 고쿠모리(石盛)를 결정

토지의 생산력을 쌀의 생산량으로 표시하는 고쿠다카(石高)를 결정

하나의 토지에 직접 경작하는 한 사람의 권리자만을 인정 [잇치잇사쿠닌(一地一作人)의 원칙]

 

다이코켄치의 의의

- 장원공령제에 기반한 중층적 토지소유관계, 즉 중세적 토지소유관계가 일소되고, 토지대장에 기재된 백성을 무라() 단위로 지배하는 근세적인 토지소유관계가 성립

 

(7) 신분통제정책

 

가타나가리(刀狩)

· 농민으로부터 무기를 몰수하는 정책

· 잇키를 미연에 방지하여 농업에만 전념하게 할 것을 목적

 

히토바라이레이(人掃令) - 1591

· 무사가 조닌(町人:상공인)이나 농민이 되는 것을 금지

· 농민이 조닌이 되는 것도 금지 농업에만 전념하게 할 목적

· 1592년에 전국의 호구조사를 실시 조선 침략을 위한 동원 준비

 

이상의 정책들로 각 신분이 확정되고 병농분리가 완성되어 에도(江戸)시대의 신분제도의 전제가 형성

 

(8) 모모야마문화(桃山文化)

1) 모모야마문화의 특색 : 유럽인의 내항, 신흥 다이묘와 마치슈(町衆)들의 활동

호화스럽고 웅대하며 활기에 넘친다

불교의 영향이 약하다

 

2) 문화적 산물

건축 : 주라쿠데이(聚落第, 교토), 히메지성(효고현), 후시미성(모모야마성), 아즈치성, 오사카성 등의 성곽건출

성안에 높이 솟은 덴슈가쿠(天守閣)와 다이묘들의 주거인 쇼인즈쿠리 양식의 공간이 만들어짐

회화 : 장벽화(襖絵, 후스마에) - 성이나 저택의 후스마나 병풍에 금박 위에 선명한 색채로 화조(花鳥)의 그림

가노 에이토쿠(狩野永徳), 가노 산라쿠(狩野山楽), 하세가와 토하쿠(長谷川等伯)

 

 3) 차노유 : 다이묘나 마치슈들 사이에 유행

센노리큐(千利休) - 사카이의 호상(豪商), 다도를 대성시킴

 

4) 닌교조루리(인형극), 가부키오도리가 유행

 

3. 에도시대의 정치와 사회

 

(1) 에도(江戸)막부의 수립

 •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는 세키가하라()전투에서 도요토미 세력을 격파 [1600]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将軍)에 올라 에도(江戸)막부를 수립[1603]

 • 쇼군의 직위를 선택한 것은 무가의 선례에 따라, 무가의 동량으로서 전국 지배자의 지위를 합법화하기 위한 것

 • 2년 후 아들인 히데타다(秀忠)에게 쇼군을 양위하고 이에야스는 순푸(駿府)로 옮겨 오고쇼(大御所)라고 칭하며 막정을 지도

쇼군이란 지위는 도쿠가와씨가 세습하는 것임을 다이묘에게 보이기 위한 것[하극상의 부정]

또한 도요토미측의 다이묘를 제압하기 위한 일시적인 정치형태

 

(2) 에도막부의 통치제제

 

1) 에도막부의 경제적 기반

 • 400만석에 이르는 직할령인 덴료(天領)에서 징수되는 연공

 • 300만석에 이르는 하타모토치교치(旗本知行地)

하타모토에게 분봉해 준 영지로, 넓은 의미의 덴료에 속함

당시 전국 생산량 3000만석의 약 4분의 1

 • 사도, 이와미, 이쿠노, 이즈(伊豆) 등의 주요 광산을 직할경영

 • 금화, 은화 등 화폐주조권도 독점

 • 에도, 교토, 오사카, 사카이, 나가사키 등의 주요 도시들을 직할 지배하여 상공업자로부터 세금을 징수하고 무역의 이익도 장악

다이묘들에 비해 압도적인 경제력

 

2) 에도막부의 군사적 기반

 • 쇼군 직속의 가신단인 하타모토(旗本)고케닌(御家人)과 다이묘들이 부담하는 군역으로 구성

 • 쇼군 직속 가신단의 규모 하타모토와 고케닌, 그들의 가신을 포함하면 약 7만 명 정도

다이묘에 비해 압도적인 무력을 자랑

 

하타모토와 고케닌 - 영지 1만석 미만의 쇼군의 직속가신

쇼군과 알현할 자격이 있는 사람이 하타모토로, 영지를 받아 그 연공으로 생활하였으나 점차 영지 대신 쌀로 지급받음

 • 고케닌은 쇼군을 알현할 자격이 없으며, 대부분 봉록을 쌀로 받음

 

3) 에도막부의 주요 직제 : 3대 쇼군 이에미쓰(家光) 때 통치제제가 거의 완성

4) 막부 직제의 특징

막부의 요직은 제도적으로 소규모의 후다이(譜代)다이묘와 하타모토가 독점

로주, 와카도시요리, 지샤부교 - 후다이다이묘를 임명

오메쓰케, 마치부교, 간조부교 - 하타모토를 임명

도쿠가와 일족이라고 하더라도 제도상 정치에 관여할 수 없도록 하고, 요직에 측근들을 배치함으로써 쇼군의 권력을 강화

요직에는 동격의 사람들을 복수로 임명하여 매월 교대로 근무시킴

개인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

 

(3) 막부의 다이묘 · 조정 · 사원 통제

1) 다이묘의 구분

다이묘 - 쇼군에게서 1만석 이상의 영지를 받은 영주

쇼군 가문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신판(親藩), 후다이(譜代), 도자마(外様)로 구분

신판 - 도쿠가와 일족의 다이묘로 요지에 배치

            [고산케(御三家) : 오와리(尾張), 기이(紀伊), 미토(水戸)의 도쿠가와씨]

후다이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씨의 가신이었던 다이묘로, 요지에 배치되었으며 막부의 요직에 임명

도자마 -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도쿠가와씨에게 복속한 다이묘로, 영지가 넓고 유력한 자가 많았으나 막부의 요직에는 임명되지 않고 원격지에 배치되어 견제를 받음

2) 다이묘의 권력 - ()의 지배

- 다이묘의 영지와 영민(領民), 그리고 지배기구의 총칭

점차 다이묘들의 지배체제가 공고해져 유력 무사들을 가신단에 편성하여 조카마치에 거주시키고 번의 행정을 분담시킴

다이묘는 가신단을 더욱 엄격히 통제하기 위하여 번법을 제정

다이묘가 영지와 영민을 지배하는 힘이 강화되고 번의 조직과 제도도 정비되어 번의 권력은 확립

막부법을 위반하지 않는 한, 번은 다이묘의 독자적인 정치와 법에 의해 지배되는 공간

 

3) 막부의 다이묘 통제

고산케 - 동북(미토), 중부(오와리), 서일본(기이)의 감시를 담당

신판다이묘와 후다이다이묘 - 간토지방, 긴키지방 등 중요한 장소에 둠

도자마다이묘 - 오우(奥羽), 시코쿠, 규슈 등 에도에서 먼 곳에 둠

다이묘 통제를 위해 무가제법도(武家諸法度)를 제정

막부는 쇼군이 교체될 때마다 무가제법도를 개정

다이묘는 쇼군 교체 시에 에도성에 와서 충성을 맹세하고, 영지의 소유권을 인정하는 슈인조(朱印状)를 교부받아 주종관계를 갱신

다이묘의 의무는 무가제법도에 규정

위반자에 대해서는 영지의 몰수삭감교체 등의 처분을 내림

※ 무가제법도(武家諸法度)
새롭게 성을 쌓는 일을 금지, 성의 수축을 제한시킴
다이묘들끼리 자유롭게 결혼하는 것을 금지
산킨고타이 실시

 

4) 산킨고타이(参勤交代)

 

성립

무가제법도 중에서 대표적인 다이묘 통제 정책

충성을 서약하는 인질제도의 일종으로,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徳川家光)가 제도화

 

운영방법

다이묘는 원칙적으로 매년 번갈아 가면서 영지와 에도에 거주

처자식들은 인질의 의미로 에도에 상주

막부에서 직책을 맡고 있는 다이묘는 에도에 정주

관동의 대부분의 후다이다이묘는 반년 교대

쓰시마(対馬)의 소씨(宗氏)3년에 1번 교대

다이묘들은 임전체제를 갖춘 행군의 여장으로 왕래

 

의의와 영향

에도와 영지에서의 이중생활과 다이묘교레쓰(大名行列) 등의 막대한 비용으로 다이묘권력의 약화를 초래

에도와 영지를 왕복함으로써 교통의 발달, 화폐경제의 진전, 문화의 교류를 촉진

 

5) 막번(幕藩)체제

에도막부는 쇼군이 다이묘의 영주권[분권(分權)]을 인정하면서도 쇼군권력이 영주권을 집권적으로 편성하여 봉건적 지배를 강화

번이란 독자적인 법으로 지배되고 독립적으로 정치가 행해지는 공간

번의 독립성은 막부의 허용 하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하나하나의 번들 전체를 강력히 통제하고 지배한 것은 막부

강력한 영주권을 가진 쇼군의 막부와 다이묘의 번이 함께 토지와 인민을 통치하는 지배체제를 막번체제라고 함

 

6) 조정과 종교 세력에 대한 통제

 

조정(천황황족공가) 금중병공가제법도(禁中幷公家諸法度)

사원 - 사원법도(寺院法度), 제종사원법도(諸宗寺院法度)

신사 - 쇼샤네기칸누시법도(諸社禰宜神主法度)

사원과 신사의 종교적 권위는 막부로서도 이용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종교 쪽으로만 활동을 한정하여 통제

크리스트교 - 금교령을 내리고 모든 사람들을 반드시 일정한 사원에 속하게 하는 데라우케제도(寺請制度)를 시행

에도막부는 사회의 각 부분에 대해 봉건적 지배와 통제를 강화

 

(4) 사농공상의 신분사회

 

1) 에도시대의 신분 : 무사와 농민, 공인, 상인의 차별이 특별히 엄격

四民 : (武士) - 지배계급, (百姓=農民), (職人), (商人)

에타, 히닌 - 천민계급

공인과 상인을 합하여 조닌(町人)이라 함

신분에 따라 생활방법이 다르고, 다른 신분간에는 교제나 결혼을 할 수 없다

신분과 직업은 자손대대로 계승

 

2) 무사계급의 특권 : 무사는 많은 특권을 누리며 다른 계급과 엄정하게 구별

묘지(名字) · 대도(帶刀)의 특권 : 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칼을 찰 수 있음

기리스테고멘(切捨御免)의 특권 : 무례하면 백성이나 조닌을 살해해도 무방

엄정한 신분질서는 같은 무사계급 안에서도 존재

무사계급은 쇼군을 정점으로 하여 중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안에도 복잡한 서열과 차별이 있으며 상위자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과 복종이 요구됨

무사과 함께 지배신분에 속하는 공가나 상층의 승려신관(神官)에게도 서열이 명확히 존재

 

3) 엄격한 농민 통제

농민은 무사 다음가는 신분이었지만, 무거운 연공(수확의 40-50%)과 부역 등으로 경제적 지위는 조닌(町人)보다 낮았음

근세사회를 구성하는 기초 농민은 자영농인 혼뱌쿠쇼(本百姓)

막번권력은 기본적으로 농업 생산을 수탈하는 체제였으므로 혼뱌쿠쇼를 통제유지하기 위한 정책들을 시행

농민들의 일상생활까지 통제

향촌제법도(郷村諸法度) - 담배두부 제조의 금지 등

이전의 자유를 제한

이안(慶安)의 오후레가키(御触書) - 농민들이 지켜야 될 규범과 의식주의 제한 등 일상생활을 세세하게 통제

 

혼뱌쿠쇼와 농업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법령

전전영대매매금령(田畑永代賣買禁令) - 경작지의 매매를 금지

분지제한령(分地制限令) - 경작지의 분할을 제한

상업 작물의 재배를 금지 - 미곡 생산의 감소를 방지

농민을 토지와 농업에만 묶어두기 위한 수단

 

4) 농촌 사회의 구조

막부는 농민을 무라()를 통해 통제, 무라는 농업생산의 단위이자 행정의 단위

막부는 무라를 지배의 말단에 자리매김하고 무라의 운영은 촌락 구성원의 자치에 일임

무라에서는 구성원들이 무라오키테(村掟)라고 하는 규약을 정하고 지도자를 선출하여 자치적으로 운영

규약을 어길 때에는 무라하지부(村八分)라는 제재를 가함

무로마치시대 이래의 농촌사회의 변화를 인정하고 이용하여 지배질서를 강화유지한 것

 

5) 조닌의 생활

조닌은 도시에 거주하는 상공업자로 영업세를 납부하면 비교적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음

건물과 토지를 소유한 혼초닌(本町人)이 도시 공동체의 정규 구성원

공동체의 회의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

각종 부담금이나 기부금을 납부할 의무

조닌의 대표를 선출하고 소방하수축제토목공사 등을 부담

도시 공간에도 자치조직들이 있어 막부나 다이묘는 자치조직만 장악하였고, 도시의 실질적인 행정은 자치조직을 통해 이루어짐

 

6) 에타(穢多)와 히닌(非人) - 천민

에타는 일부 농업에 종사하였지만, 대부분은 죽은 말과 소의 처리와 피혁제품의 제조, 수공업 등에 종사

히닌은 농촌부나 도시에 거주하며, 청소나 잡역 등에 종사하였고, 죄수의 수송관리 등 마치부교쇼(町奉行所)의 말단의 역할도 수행

에타와 히닌은 외형적으로도 차별을 강요받음

에도시대에는 에타와 히닌에 대한 차별이 강화

막번권력은 사회적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창구로서 천민계급을 설정하여 정책적으로 차별

 

(5) 에도시대 초기의 외교와 쇄국

 

1) 에도 초기의 외교관계

 

이에야스의 적극적인 태도

쓰시마의 소씨(宗氏)의 중개로 조선과의 국교를 회복

네덜란드, 영국과의 무역을 시작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선교사를 탄압하면서 악화되었던 스페인과의 관계회복을 시도

 

일본인의 활발한 해외 진출

막부의 도항허가서를 받은 주인선(朱印船)들이 동남아시아 각 지역으로 도항하여 활발히 무역활동

해외로 이주하는 일본인들도 증가하여 동남아시아 각지에 일본인 거주지인 니혼마치(日本町)가 발생

 

2) 쇄국정책 - 4개의 창구

말년의 이에야스는 크리스트교를 금하였는데(1612), 이러한 방침은 그의 사후에도 답습되어 쇄국정책이 추진

1641년 네덜란드 상관(商館)을 나가사키의 데지마(出島)로 옮겨 쇄국체제가 완성 [3대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 때]

쇄국체제 하에서도 외국을 향해 나가사키, 쓰시마, 사쓰마(薩摩), 마츠마에(松前)4개의 창구는 개방되어 있었음

쓰시마는 조선, 사쓰마는 류큐와 중국의 명, 마츠마에는 아이누, 나가사키는 네덜란드와 중국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장은 매년 막부에 네덜란드 풍설서(風說書)를 제출

해외의 사정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원

17세기 중반 나가사키에 내항하는 청의 선박이 증가하자, 막부는 청국인을 거주시킬 도진야시키(唐人屋敷)도 나가사키에 완성

실질적인 쇄국은 아님

 

(6) 에도시대의 농업과 산업의 발달

경작지의 큰 증가와 농업기술 개량으로 농업이 크게 발달

사회가 안정되자 수공업의 원료인 마, , 담배, , 면화 등이 많이 재배

겐로쿠시대 - 벼농사와 야채, 원료작물의 재배기술 체계화, 농업기술 크게 진보

쇄국정책의 결과 - 국내에서 평화지속되어 수산업, 광업, 수공업 등의 여러 산업이 발달

(7) 에도시대의 교통과 도시의 발달

 

1) 가도(街道)의 발달

다이묘의 산킨코다이에 의해 교통량이 증가하자 5가도 등 각지에 가도의 설비가 갖추어짐

슈쿠바(宿場) : 인부와 말 준비

세키쇼 : 에도를 방어하기 위해 통행인을 조사

 

2) 해운의 발달

대량의 물품 운반위해 연안항로나 하천의 수운이 발달

니시마와리(西廻) 항로 : 동해 연안에서 혼슈를 서쪽으로 돌아 오사카로

히가시마와리(東廻) 항로 : 쓰가루해협을 통해 동쪽으로 돌아 에도로

 

3) 삼도(三都)의 번영 - 에도, 오사카, 교토

오사카 : ‘천하의 부엌’, 상인들의 도시로 크게 발달,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

다이묘들은 구라야시키(蔵屋敷) 또는 창고를 설치, 연공으로 바쳐진 쌀, 특산물을 상인을 통해 매각

 

(8) 에도시대의 상업의 발달

1) 상업이 발달하게 된 이유

농업기술이 발달하여 생산물이 증가

육상과 해상 교통이 발달

막부가 화폐를 통일함

무사계급이 연공을 시장에서 팔아 화폐로 바꾸어 생활함

 

2) 가부나카마(株仲間) : 유력한 상인이나 직인을 중심으로 하는 동업조합

동업자의 숫자나 판매가격과 양을 제한

막부와 번에 세금을 바치고 보호받음 독점영업으로 큰 이익

 

 

4. 에도시대 중기의 정치와 사회

 

(1) 겐로쿠시대의 정치

1) 무단정치 : 3대 쇼군 이에미쓰 때까지 여러 다이묘의 반항을 제압하고 전국을 지배하기 위한 체제를 만들기

위해 무력에 의한 엄격한 정치를 행함

2) 문치정치 : 4대 쇼군 이에쓰나(家綱) 때부터 안정되어 장기적인 지배를 위해 학문과 교육을 통해 막부에

대해 충성을 다하도록 다스림

3) 겐로쿠시대 : 5대 쇼군 쓰나요시(綱吉)는 문치정치와 함께 장군권력의 강화를 도모함. 당시의 연호를 땀.

에도의 유시마(湯島)에 성당을 세워 주자학 장려

쇼루이아와레미노레이(生類憐れみの) : 사람보다도 개를 중요시

화폐주조

4) 정덕(正德)의 치 : 주자학자인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정치 (6대 쇼군 이에노부(家宣)에 의해 등용)

유학의 정신에 입각하여 의식을 정비 : 쇼군의 권위를 높임

화폐의 질을 개량 : 물가의 안정을 꾀함

나가사키에서의 무역량 제한 : 금과 은의 해외유출을 막는다

 

(2) 학문의 발달과 겐로쿠문화

- 유학이 발달, 그중 주자학이 막부 공인의 학문

 

1) 교육의 보급

막부 : 에도의 유시마에 학문소를 설치

: 한코(藩校)를 세워 무사들의 자제를 교육

민간 : 데라코야(寺子屋) <읽기, 쓰기, 주산 등 교육>, 심학(心学) <이시다 바이간>

2) 겐로쿠문화의 특색

17C ~ 18C초 쓰나요시가 다스리던 겐로쿠시대에 개화

교토, 오사카 등 가미가타(上方)를 중심으로 발달

부유한 조닌들 사이에 일어난 문화

 

3) 겐로쿠문화의 대표적 인물

이하라 사이카쿠(井原西鶴) : 우키요조시(浮世草子)에 조닌의 생활이나 내면을 기술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 렌가에서 파생한 하이카이(俳諧)를 대성시킴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問左衛門) : 조루리의 각본에 의리와 인정을 주제로 한 이야기를 씀

 

4) 겐로쿠문화의 회화와 연극

회화

a. 장식화 : 야마토에를 토대로 다와라야 소다쓰(俵屋宗達)가 시작하고 오가타 고린(尾形光琳)이 대성

b. 우키요에 : 판화형태, 히시카와 모로노부(菱川師宣)가 시작

연극

a. 가부키 : 조닌들이 즐기는 연극으로 발달

b. 닌교조루리 : 조루리의 각본의 대사에 샤미센의 음악이 수반된 전통 인형극

 

(3) 교호개혁과 다누마시대

1) 겐로쿠시대에서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시대로

겐로쿠시대부터 막부의 재정이 어려워짐

아라이 하쿠세키가 개선정책을 실시하였으나 실패

도쿠가와 요시무네(徳川吉宗)의 교호개혁이 추진

 

2) 교호개혁 : 18C 전반,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아라이 하쿠세키를 퇴진시키고 이에야쓰 때의 간소하고 실제적인 정치를 이상으로 내세워 막부정치의 개혁 추진

 

3) 교호개혁의 내용

정치를 엄정하게 함

하타모토, 고케닌과 같은 무사들에게 검소하고 절약하는 생활을 권장

재판의 공정을 기하고, 민중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메야스바코(目安箱)를 설치

신분보다 재능있는 사람을 등용

재정적자의 개선

다이묘에게 산킨토다이기간을 단축시켜주는 대신 쌀을 더 바치게 함

연공의 비율인상(55, 연공의 50%)

쌀 가격의 안정을 꾀함

새로운 농지 개발과 상품작물의 재배를 권장하여 연공증대에 노력

산업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서적의 수입금지를 완화

결과 : 막부의 재정은 일시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쌀값은 안정되지 않음

, 쌀 증산 도시의 쌀값 하락 쌀을 팔아 화폐로 바꾸었던 무사들의 생활 더욱 어려워짐 농민에게 연공부담을 증가시킴 농민의 생활을 더욱 어려워짐

 

4) 다누마 오키쓰구의 등장

교호개혁 이후, 다누마 오키쓰구(田沼意次)가 로주가 되어 정치실권을 장악

상업적인 이익을 재원으로 막부 재정수입을 늘리려고 함

- 가부나카마 결성 장려 : 가부나카마의 특권을 인정하고 대신 세금 징수

- 큰 상인들에게 자금융자하여 인바누마(印旛沼)를 간척하게 함

- 나가사키 무역 제한정책을 완화하여 구리와 해산물 등의 수출 장려

 

(4) 에도시대 농촌의 변화와 민중의 저항

1) 가난한 농민과 부유한 농민 : 농민들 사이에 빈부격차 확대

2) 하쿠쇼잇키의 발생 : 18C 중엽부터 점차 증가

3) 우치고와시(, 도시빈민들의 폭동)의 발생

4) 농촌공업의 발달 : 화폐경제의 발달에 수반되어

도이야(問屋)제 가내공업 : 도이야 상인이 농민들에게 도구나 재료를 빌려주고 임금노동을 시켜 생산한 제품을

사들이는 체제

공장제 수공업 : 공장에 사람들을 보아 분업에 의한 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체제, 매뉴팩처라고 함.

 

(5) 간세이(寛政)개혁

18C 후반, 다누마 오키쓰구의 뒤를 이어 로주가 된 시라카와 번주(후쿠시마현)마쓰다이라 사다노부(松平定信)가 요시무네의 교호개혁을 모델로 한 정치개혁

엄격한 정치를 시행한 탓에 6년 동안에 걸친 사다노부의 정책은 실패하고 로주 자리에서 물러남

 

1) 간세이개혁의 내용

문교정책 : 무사들에게 무예와 학문을 장려하고 정신무장 강조

쇼헤이자카(昌平坂) 학문소에서 주자학이외의 학문 강의 금지

경제정책 : 검소한 생활을 통해 절약을 권장하고 재정지출을 줄이고자 함.

하타모토와 고켄진들이 상인들로부터 빌린 빚을 없는 것으로 함

농촌대책

  • 농민들의 도시에서의 노동금지와 도시로 나온 농민을 농촌으로 돌려보냄

기근에 대비해 농촌에 창고를 설치하고 비상시에 대비해 쌀을 저장하게 함

외교정책 :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하여 해방(海防)계획 추진

 

2) 외국선박의 접근 : 간세이개혁이 추진되던 무렵부터 외국선박 내항

러시아 선박의 내항 : 1792년 러시아, 락스만이 홋카이도의 네무로(根室)에 와서 통상요구했으나 거절

외국선박 추방령의 발포: 영국 등의 외국선박이 나가사키항구에서 난폭한 행동을 한 것을 이유로 1825년 연안지방에 접근하는 외국선박에 대하나 추방령 발포

 

(6) 새로운 학문과 가세이문화

1) 국학의 발생 : 일본의 고전을 연구하여 유교나 불교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고대 일본 본래의 정서를 알고자함

 

2) 국학의 대성 : 18C후반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 고사기전(古事記伝) 저술, 국학 대성

 

3) 복고신도(復古神道)의 발생 : 노리나가의 제자 히라타 아쓰다네(平田篤胤)

 

4) 난학의 발달 : 18C후반 마에노 료타쿠(前野良沢)와 스기타 겐파쿠(杉田玄白)가 네덜란드 의학서를 번역하여 가이타이신쇼(解体新書) 출판, 이후 난학 더욱 발달

 

5) 가세이(化政)문화의 발생

가세이시대 : 분카(文化) · 분세이(文政) 시대, 19C,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徳川家斉) 시대

에도시대 후기의 조닌문화 : 겐로쿠시대의 조닌문화가 에도를 중심으로 번영

 

6) 가세이문화의 대표적인 작품

소설

- 짓펜샤 잇쿠(十返舎一九) : 도카이도추히자쿠리게(東海道中膝栗毛)

- 시키데이 산바(式亭三馬) : 우키요부로(浮世風呂), 우키요도코(浮世床)는 소위 곳케이본(滑稽本)이라 불리는

                          것으로, 민중들의 생활을 회화 중심으로 익살스럽게 묘사한 작품

- 다키자와 바킨(滝沢罵琴) : 난소사토미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

- 우에다 아키나리(上田秋成) : 우게쓰모노가타리(雨月物語) - 요미혼(読本), 역사나 전설을 제재로 한

                             장편소설 또는 단편소설집

하이카이

- 요사 부손(与謝蕪村) : 화가의 감각으로 사생을 중시하였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

- 고바야시 잇사(小林一茶) : 약자의 입장에 서서 인간의 사랑을 노래

센류(川柳) · 교카(狂歌) : 익살과 풍자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센류와 교카가 유행

니시키에(錦絵)의 발명 : 여러 가지 색채를 사용한 판화

- 기타가와 우타마로(喜多川歌麿) : 미인화로 유명

- 가쓰시카 호쿠사이(葛飾北斎) : 풍경화로 유명, 부악삼십육경(富嶽三十六景)

- 안도 히로시게(安藤広重) : 동해도오십삼차(東海道五十三次)

 

5. 에도시대 말기의 정치와 사회

 

(1) 막부정치의 위기

1) 사회불안의 고조 : 덴포연간(1830~1843)에 기근이 연달아 발생해 빈번히 하쿠쇼잇키와 우치고와시를 일으킴

2) 오시오 헤이하치로(大塩平八郎)의 난 : 1837년 오사카

3) 덴포개혁의 실시

    :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水野忠邦)가 막부의 정치를 교호 · 간세이시대로 돌리고자 한 정치개혁(1841)

4) 덴포개혁의 내용

물가인하 : 검약령의 엄격한 시행, 풍속의 단속, 가부나카마 해산, 대상인의 매점매석 단속

황폐해진 농촌 구제책 : 에도와 오사카로 온 농민들을 농촌으로 돌려보내는 정책

5) 덴포개혁의 결과

: 미즈노 다다쿠니는 에도와 오사카 주변의 다이묘와 하타모토의 영지를 막부의 직할령으로 삼으려 했다가, 로주에서 물러나고, 결국 2년여에 걸친 개혁은 실패로 돌아감

6) 번정의 개혁 : 사쓰마번(薩摩蕃, 가고시마현)이나 조슈번(長州蕃, 야마구치현) 등 몇몇 번만이 성공

7) 하급무사의 대두 : 번정개혁에 성공한 사쓰마번과 조슈번 등에서는 서양식 군대로 군사력을 강화하는 한편, 하급무사들이 번의 실권을 장악하게 되어 뒷날 메이지유신을 추진하는 세력이 되어감

 

(2) 존왕양이운동의 격화

 

1) 양이론과 존왕론의 침투

유학을 배운 다이묘나 무사들 사이에서 외국인을 몰아내고자 하는 양이론이 강함

막부의 정치에 불만을 품은 무사들은 황실을 존경해야 한다는 존왕론을 근거로 막부에 반대

 

2) 존왕양이운동의 발전

막부가 조정의 허가 없이 통상조약을 체결한 것을 계기로 양이론과 존왕론이 결합하여 존왕양이운동으로 발전

미토번, 조슈번, 사쓰마번, 도사번의 하급무사나 조정의 공가가 중심이 됨

 

3) 안세이(安政)의 대옥(大獄)과 그 영향

안세이대옥 : 이이 나오스케(井伊直弼)가 반대파인 공가와 다이묘를 처벌

안세이 대옥의 결과, 존왕양이파의 막부에 대한 반감이 강해짐

1860년 이이 나오스케가 미토번의 로닌들에 의해 살해당함

물가상승, 외국에 대한 반감이 강해져 존왕양이운동이 격화

1861년 막부는 존왕양이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공무합체운동을 전개

 

4) 조슈번과 존왕양이운동

조슈번은 요시다 쇼인(吉田松陰)의 제자 다카스기 신사쿠(高杉晋作) 등 하급무사의 발언력이 강화되어 조정의 양이파인 공가와 결합했고, 막부에 대해 양이의 실행을 요구해 존왕양이운동의 중심이 됨

 

5) 조슈번과 사쓰마번과의 양이실행

① 조슈번 : 1863년 시모노세키해협을 통과하는 외국선박을 포격

사쓰마번 : 1863년 사쓰에이(薩英)전쟁

양이가 실제로 불가능함을 깨달음

(3) 에도막부의 멸망

1) 양이(攘夷)에서 도막(倒幕)으로

양이가 불가능함을 깨닫고, 조슈번과 사쓰마번의 하급무사들은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중심의 통일국가를 세우려함

군비의 충실 : 이들 하급무사는 번의 실권을 장악하고 서양식 군비를 갖춤.

번의 실권을 장악한 하급무사

- 조슈번 : 다카스기 신사쿠, 기도 다카요시(木戸孝充)

- 사쓰마번 :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 오쿠보 도시미치(大久保利通)

 

2) 에도막부의 쇠퇴

막부는 두 차례 조슈정벌을 행하였지만, 실패함

1차 조슈정벌(1864) : 조슈번이 4개국 연합함대에 패한 것을 계기로 조슈번을 항복시킴

2차 조슈정벌(1865~1866) : 막부군은 군비를 갖춘 조슈번에 패배, 철수

삿초동맹(1866) : 도사번의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의 중개로 사쓰마번의 대표 사이고 다카모리와 조슈번의 대표 기도 다카요시가 맺은 군사동맹

 

3) 에도막부의 멸망

대정봉황(大政奉還)(1867) :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慶喜)가 조정에 권력을 되돌려 줌

 

 

센고쿠다이묘
(戦国大名)
센고쿠시대에 각지에 할거하였던 대영주로, 부국강병을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하여 영국(領国)에 대한 강력한 지배를 행하였다.
라쿠이치라쿠자
(楽市楽座) 정책
특권적 동업자집단인 좌()의 특권을 폐지하여 자유로운 영업활동을 인정하고 상공업의 진흥을 꾀한 정책으로, 근세적인 도시상업관계의 성립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다이코켄치
(太閤検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적으로 행한 통일적인 토지조사사업으로, 중세적 토지소유관계가 일소되고 근세적인 토지소유관계가 성립되었다.
하타모토(旗本) 영지 1만석 미만의 쇼군(将軍)의 직속가신으로, 쇼군과 알현할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산킨고타이
(参勤交代)
대표적인 다이묘 통제 정책으로, 다이묘를 일 년씩 교대로 에도와 영지에 거주시켰다.
혼뱌쿠쇼
(本百姓)
에도시대 농민층의 근간이 된 계급에 대한 신분호칭이다. 전답과 가옥을 소유한 자영농으로, 연공과 여러 과역을 부담하였다.

주요용어

 

정리하기

오닌(応仁)의 난의 결과, 새로운 성격의 권력이 각지에서 생겨났는데 이를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라고 한다. 센고쿠다이묘는 막부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지역분권적인 권력으로, 다양한 정책을 통해 영국(領国) 내를 독자적으로 강력히 지배하였다.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는 뛰어난 군사지휘자로서 천하통일의 대업을 달성해나갔을 뿐만이 아니라 전통적인 정치나 경제의 질서, 권위에 도전하여 파괴하고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해나갔다. 세키쇼(関所)의 철폐나 라쿠이치라쿠자(楽市楽座) 정책, 그리고 토지조사사업인 겐치(検地) 등이 그 구체적인 예이다.

근세적 질서를 수립하고 통일정권을 확립하기 위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추진한 중심정책으로 토지조사사업인 다이코켄치(太閤検地)와 신분통제정책인 가타나가리(刀狩)히토바라이레이(人掃令)를 들 수 있다. 전자의 결과, 중세적 토지소유관계가 일소되고 근세적인 토지소유관계가 성립되었다. 후자의 결과, 신분이 확정되고 병농분리가 완성되어 에도(江戸)시대의 신분제도의 전제가 형성되었다.

에도시대에는 쇼군(将軍)이 다이묘의 영주권을 인정하는 한편, 쇼군권력이 영주권을 집권적으로 편성하여 봉건적 지배를 강화하였다. , 번의 독자성독립성이 인정되었지만, 그것은 막부의 허용 하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하나하나의 번들 전체를 강력히 통제하고 지배한 것은 막부였다. 이처럼 강력한 영주권을 가진 쇼군의 막부와 다이묘의 번이 토지와 인민을 함께 통치하는 지배체제를 막번(幕藩)체제라고 한다.

다이묘는 쇼군가문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신판(親藩)후다이(譜代)도자마(外様)로 구분되었다. 막부은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하여 무가제법도(武家諸法度)를 제정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정책이 산킨고타이(参勤交代)이다.

막부는 다이묘뿐만이 아니라 조정과 사원, 신사 등 사회의 각 부분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는데, 물론 사람들에 대한 통제, 즉 신분질서에 대해서도 강력히 통제하였다. 에도막부는 봉건적 지배를 보다 강화시키고 또 존속시키기 위하여 세습적인 신분제를 통해 사회질서를 고정하려 하였던 것인데, 기본적으로 농업생산을 수탈하는 체제였기 때문에 특히 농민에 대하여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에도막부는 대외관계에 있어서 초기에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지만, 크리스트교를 금지한 이후 쇄국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하지만 쇄국체제 하에서도 일본과 외국과의 창구는 완전히 막혀 있었던 것은 아니고, 나가사키(長崎)쓰시마(対馬)사쓰마(薩摩)마쓰마에(松前)4개의 창구는 열려져 있었다.

무로마치(室町)시대 이후의 사회적 변화들, 특히 오닌(応仁)의 난 이후의 센고쿠다이묘의 등장에서 시작된 변화의 완성형태가 에도막부의 막번체제라고 할 수 있다. 영국의 무사들을 가신단으로 조직하여 영국지배를 강화해나갔던 슈고다이묘(守護大名), 독립된 지역분권적인 권력으로 완전한 영역지배를 하려했던 센고쿠다이묘, 마지막 남아있던 구세력의 숨길을 완전히 끊어버리고 새로운 원리로 인민과 토지를 편제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이 모든 역사적 전개가 축적된 결과 에도막부가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평가문제]

1. 센고쿠다이묘 간의 전투에서 계속적으로 승리하고 무로마치막부를 무너뜨림으로써 전국 통일의 기초를 마련한 사람은?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④ 이시다 미쓰나리

 

2. 에도시대의 막번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금중병공가제법도(禁中並公家諸法度)는 막부가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1만 석 이상의 영지를 갖는 자를 다이묘(大名)라고 한다.

다이묘의 영지와 그 지배기구를 총칭해서 번()이라고 한다.

 ④ 에도막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친소관계에 따라 신판(親藩), 후다이(譜代), 도자마(外様) 다이묘로 구분하여 차이를 두었다.

 

3. 노부나가 · 히데요시 시대에는 전국통일이 이루어지고, 하급무사나 농민 출신에서 출세한 새로운 다이묘나 상공업으로 부를 축적한 호상이 다수 등장하면서 청신하면서도 화려한 문화가 꽃피었으며, 남만문화의 영향도 받았다. 이 시대의 문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세이문화(化政文化)                        ② 모모야마문화(桃山文化)

③ 겐로쿠문화(元禄文化)                        ④ 기타야마문화(北山文化)

 

4. 에도시대에 마치의 거주자인 상인과 수공업자를 가리키는 말은?

죠닌(町人)    ② 햐쿠쇼(百姓)           ③ 요리아이(寄合)        ④ 야쿠닌(役人)

 

5. 다음 보기의 역사적 사건을 일어난 시대순으로 나열할 때 두 번째에 오는 것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에 막부를 세웠다.         

오닌의 난이 장기화되면서 각 지역별로 독립적인 정권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일본열도 최초의 통일정권인 야마토조정이 성립하였다.

관동지방 무사들에 의해 가마쿠라막부가 성립되었다.

 

6. 에도시대의 무라와 마치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사농공상(士農工商)신분을 총칭하여 햐쿠쇼(百姓)라 불렀다.

 ② 수공업자가 사는 지역을 마치()라고 불렀다.

 ③ 마치()는 직업별로 거주지역이 구분되어 있었다.                

 ④ 연공은 개별농가에 부과되지 않고 지역단위인 무라()별로 부과되었다.

 

7. 영주의 성을 중심으로 발달한 곳으로 무사나 상공업자의 거주지, 신사, 절 등으로 이루어진 곳을 무엇이라 하는 가? 

무라()        ② 부락(部落)             ③ ()               ④ 조카마치(城下町)

 

 

8. 8대 쇼군 요시무네가 이에야스 시대의 정치를 이상으로 내걸고 막부의 재정재건에 힘쓴 개혁을 무엇이라 하는가?

다누마개혁      ② 덴포개혁     ③ 교호개혁             ④ 간세이개혁

 

 

 

<정답> 1.2.3.4.5.6.7.8.

 

[강의 연습문제]

 

1. 다음 중에서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의 부국강병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가신단의 편성 가타나가리(刀狩)

분국법의 제정 겐치(検地)

 

2. 전국통일과정에서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최대의 적은 정토진종(浄土真宗) 혼간지(本願寺) 교단,

(   )의 신도들이 일으킨 무장봉기인 (   )이다.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를 각각 적으시오.

,

 

3.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근세적 질서를 수립하고 통일정권을 확립하고자 추진한 중심정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다이코켄치(太閤検地)    ② 가타나가리(刀狩)    

데라우케제도(寺請制度)        ④ 히토바라이레이(人掃令)

 

4. 에도(江戸)시대에 쇼군(将軍)으로부터 1만석 이상의 영지를 받은 영주를 다이묘(大名)라고 하였는데, 다이묘는 쇼군가문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   )(   )(   )로 구분되었다.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를 각각 적으시오.

, ,

 

5. 다음 중에서 대표적인 다이묘 통제 정책인 산킨고타이(参勤交代)제도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제도화하였다.

다이묘는 원칙적으로 일 년씩 교대로 에도와 영지에 거주하였다.

다이묘의 처자식들은 인질의 의미로 에도에 상주시켰다.

교통의 발달을 촉진하였다.

 

 

<정답> 1.2.잇코슈(一向宗), 잇코잇키(一向一揆) 3.4.신판(親藩), 후다이(譜代), 도자마(外様)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