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학개론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6. 일본의 중세

728x90
반응형

6장. 중세

 

학습목표

1. 중세사회가 출현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가마쿠라막부의 지배관계의 구조인 봉건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가마쿠라막부의 멸망에서 남북조시대로 이어지는 역사적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무로마치시대의 슈고다이묘(守護大名)와 그들이 만들어낸 지배체제인 슈고영국제(守護領国制)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소손(惣村)의 형성으로 대표되는 무로마치시대 농촌사회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목차>

1. 중세적 세계의 형성

2. 가마쿠라시대

3. 무로마치시대

4. 무로마치시대의 산업과 사회

5. 전국시대

6. 무로마치문화

 

1. 중세적 세계의 형성

(1) 중세 탄생의 배경 중세적 세계의 형성

경제적 배경 - 국가의 통제와 지배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유지인 장원의 발달

사회적 배경 - 기존의 신분제도의 틀을 무너뜨린 무사계급의 성장

정치적 배경 - 원정(院政)의 등장

무사의 등장이 장원의 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장원의 발달이 무사의 대두를 초래

 

(2) 무사의 등장

1) 재지영주(在地領主)

무사의 사회적인 존재 형태

현지의 유력 토호나 유력 농민의 자제

농민들을 지휘하여 농업 경영을 행하며 외적의 침입에 대해서는 무장해서 대항

수렵이나 어로 등에 종사하는 비농민층이 무사로 성장하기도 함

이들이 각지에 자생적으로 발생하여 무사계급으로 성장

 

2) 군사귀족

나라(奈良)시대 이래 동북(東北)지방의 에미시(蝦夷) 정벌 사업을 추진

중앙에서는 출세할 수 없는 귀족, 특히 천황의 자손으로 미나모토() 또는 다이라()라는 성을 받은 사람들이 장군으로 임명되는 경우가 많음

임기가 만료된 뒤에도 동국(東国)지방에 잔류하여 무사로 성장

이들을 군사귀족이라고 하는데, 고귀한 신분 출신이므로 무사들의 신망을 받아 무사단을 형성

무사세력의 2대 계보

간무(桓武)천황의 후손인 간무 헤이시(桓武平氏)

세이와(淸和)천황의 후손인 세이와 겐지(淸和源氏)

무사란 출신에 관계없이 무력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들이며 동국지방을 기반으로 성장

 

(3) 원정(院政)

11세기 후반 시라카와상황(白河上皇)이 원정(院政)을 시작

후지와라씨의 섭관정치의 극복

원정이란 퇴위한 천황인 상황(上皇)이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고 정치를 행하는 것

상황이 살고 있는 곳을 원()이라 하였기에 상황이 주도하는 정치 형태를 원정이라고 함.

상황 권력의 근거는 천황 집안의 장로(長老), 즉 천황의 아버지라는 것에 기인

원정시대에는 권력 강화나 안정에 무사들의 힘을 이용

무사세력이 성장하는 계기

12세기 중엽 호겐(保元)의 난과 헤이지(平治)의 난을 통해 무사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

두 사건의 승리자인 헤이시(平氏) 무사단의 수장인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가 정권을 장악

헤이시정권(平氏政權)의 수립

 

2. 가마쿠라시대

 

(1) 가마쿠라막부(鎌倉幕府)의 성립

권력과 이익이 헤이시 일족에 집중

고시라카와(後白河)법황이나 귀족·대사원 등의 반감

헤이시정권은 기존의 국가권력에 기생하여 귀족정권화

무사들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아 무사계급의 지지를 상실

겐지(源氏)와의 5년에 걸친 내란 끝에 겐지가 승리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

최초의 무사정권인 가마쿠라막부의 성립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슈고(守護)와 지토(地頭) 설치

a) 슈고

· 각 국()마다 유력 고케닌(御家人)이 임명됨

· 해당 국의 고케닌을 통솔하며 경찰과 군사업무를 담당

b) 지토

· 장원과 공령(公領)에 설치되어 고케닌이 임명됨

· 연공(年貢)을 징수하고 치안 유지를 담당

토지를 매개로 한 지배관계의 구조인 봉건제의 형성을 상징

가마쿠라(鎌倉)에 본거지를 두고 무가정치의 기초를 염.

1192년 정이대장군(征夷大將軍)에 임명

 

(2) 가마쿠라막부의 조직

쇼군 싯켄 중앙
(가마쿠라)
사무라이도코로(侍所) : 코케닌의 감독 · 군사 · 경찰업무
구몬조(公文所, 이후 만도코로(政所)) : 막부의 재정업무
몬추조(問注所) : 소송 · 재판업무
효조슈(評定衆) : 중신의 합의에 의한 정치
지방 로쿠하라탄다이(六波羅探題) : 서국의 감독, 조정 감시, 교토 경비
슈고 : 국네 고케닌의 통솔, 경찰업무
지토 : 장원 · 공령의 관리, 연공징수
진서봉행(鎭西奉行) · 오주총봉행(奧州総奉行) : 규슈 · 도호쿠지방의 단속

 

(3) 가마쿠라시대의 정치

요리토모 사후 그의 아들 요리이에(源頼家)와 사네토모(実朝)가 쇼군이 됨

막부의 실권은 요리토모의 처 마사코(政子)와 그의 아버지 호조 도키마사(北条時政)가 장악

 

가마쿠라막부 초기의 상황

  • 초기의 가마쿠라 막부는 아직 전국을 지배할 정도로 성장하지 못함

  • 교토에서는 여전히 원정(院政)이 행하여지고 있었으며 조정에도 반막부세력이 존재

  • 슈고와 지토에 대한 지방관이나 장원영주의 반발

   ⇒ 가마쿠라와 교토의 두 정권이 전국을 이원적(二元的)으로 지배

[공가(公家)와 무가(武家)의 이원지배체제(二元支配體制)]

 

1) 싯켄정치 : 사네토모의 암살후 호조씨는 싯켄(執権, 만도코로와 사무라이도코로의 장관)이 되어 막부를 움직임

가마쿠라막부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 

 

2) 조큐(承久)의 난

원인과 경과

· 쇼군(将軍)의 외척인 호조(北条)씨가 쇼군과 유력 고케닌들을 제거하여 막부의 실권을 장악

· 천황 친정(親政)을 꿈꾸던 고토바(後鳥羽)상황이 막부의 혼란을 틈타 막부 타도 명령을 내림

· 무사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막부측에 가담한 결과, 1개월도 안 되어 난은 평정됨

 

전후 처리와 결과

· 막부는 상황측에 가담한 귀족과 무사의 영지를 몰수하여 전공을 세운 고케닌들을 새로이 지토로 임명

· 교토에 조정을 감시하고 서국(西国)의 행정과 사법을 담당하며 고케닌들을 통솔할 기구인 로쿠하라탄다이(六波羅探題)를 설치

· 막부의 권력기반은 매우 강화된 반면, 조정의 위신과 세력은 현저히 실추됨

공가와 무가의 이원지배체제의 해소

 

3) 싯켄정치(執権政治)의 확립

조큐의 난을 승리로 이끈 호조 야스토키(北条泰時)의 활약

미숙한 단계에 있었던 막부의 통치기구를 새롭게 정비

새로운 지배 원리로서 막부의 기본법인 고세이바이시키모쿠(御成敗式目)를 제정 (1232)

법과 기구에 의한 호조씨의 지배체제를 확립

호조씨가 막부를 지배할 수 있는 정당성과 명분을 확보함과 동시에 쇼군의 권력을 제한

 

(4) 가마쿠라시대의 사회와 문화

가마쿠라막부의 구조 - 봉건제의 구조

1) 봉건제도의 시초 : 쇼군(요리토모)과 고케닌(무사)사이에 토지를 매개로 한 주종관게

고케닌: 쇼군과 주종관계를 맺은 무사

고온(御恩) : 고케닌은 쇼군으로부터 보호를 받음

호코(奉公) : 고케닌은 쇼군에게 충성을 다하는 의무

 

2) 무사는 부케즈쿠리(武家造)에 살고, 일족의 우두머리인 소료(惣領)를 중심으로 협력하여 영지를 지배

 

3) 농업과 수공업, 상업이 발달

기나이(機内)지방을 중심으로 쌀과 보리의 이모작이 시작. 송나라 동전이 사용

 

4) 신불교 발생 : 호넨의 정토종, 신란의 정토진종, 니치렌의 법화종, 선종은 에이사이의 임제종, 도겐의 조동종

 

5) 문학 : 무사들의 활동을 주로 묘사한 군기물(軍記物)이 중심.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가 대표적.

 

6) 조각 : 운케이(運慶) · 가이케이(快慶)의 금강역사상(金剛力士像)

  cf) 가마쿠라시대에 송에서 주자학, 선종, 수묵화, 동전 등이 일본에 전해짐

 

 ※ 고케닌 계급의 동요

분할상속에 의해 영지가 세분화되고 수입이 급감함에 따라 고케닌의 경제적 기반이 붕괴되기 시작

장자에게 모든 영지를 상속하는 단독상속으로 이행

중국에서 엄청난 양의 동전을 수입하여 화폐로 사용

화폐경제로의 급속한 이행

오랜 기간 농업생산물에만 의존해 온 고케닌들은 화폐경제에 대처하지 못해 몰락하는 경우도 발생

가마쿠라 막부의 정치적 · 군사적 기반인 고케닌 계급이 동요

 

(5) ()나라의 일본 침공

원이 복속을 요구하며 두 차례에 걸쳐 침공

분에이노에키(文永), 고안노에키(弘安)

가미카제(神風)라 불린 태풍과 가마쿠라 무사들의 분전, 그리고 원정군 내부의 문제 등으로 모두 실패

방어전이었고 막부의 재정도 악화되어 고케닌들에게 은상(恩賞)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함

봉공에 대한 은상 지급이라는 봉건사회 제일의 원칙이 붕괴

경제적 곤궁에 빠진 고케닌의 막부에 대한 불만이 증대

 

(6) 가마쿠라막부의 멸망

고케닌 보호대책인 덕정령(徳政令)을 발포 경제적 혼란을 초래하여 고케닌들의 경제적 어려움은 가중

호조씨의 가독(家督)인 도쿠소(得宗)에 의한 전제정치 고케닌들의 불만과 불신이 격화

막부에 반항하는 무사세력인 아쿠토(悪党)가 등장

고다이고(後醍醐)천황이 즉위하여 막부의 타도를 시도

막부의 이반 세력과 아쿠토들이 고다이고천황측에 가담하고 결정적으로 토벌군 대장이었던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가 반기를 들게 되어 가마쿠라막부는 멸망(1333)

 

3. 무로마치시대

 

(1) 겐무의 신정과 남북조

 

1) 겐무의 신정(建武新政)

고다이고(後醍醐)천황의 친정(親政) 무가사회를 천황 중심의 국가로 재편할 것을 목적

중앙과 지방의 정치조직을 개편하고 새로운 정책들을 실시

정책상의 문제점을 노정 - 특히 은상(恩賞)과 영지(領地)처리 문제

은상이 무사보다 공가(公家)에게 유리하여 무사들의 불만 초래

천황의 명령[린지(綸旨)]으로만 영지의 소유권을 인정하여 토지소유자들의 불안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

아시카가 다카우지와 천황의 아들인 모리요시(護良)의 대립 공가(公家)와 무가(武家)의 반목

 

2) 남북조(南北朝) 내란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반기 - 겐무신정은 3년여 년 만에 붕괴

교토에 입성한 다카우지는 고묘(光明)천황을 옹립

고다이고천황은 요시노(吉野)로 도망쳐 정통성을 주장

요시노의 남조(南朝)와 교토의 북조(北朝)로 나뉘어 약 60년 간 대립 남북조(南北朝) 내란

북조 내부의 권력투쟁[간노노조란(観応擾乱)]으로 남조의 생명이 연장

1335 다카우지가 고다이고천황에 반기를 들고 닛타의 부대를 격파함
1336 다카우지가 교토에 새로운 조정을 세움(북조). 자신은 막부를 열었음.
고다이고천황이 요시노(나라현)로 도망쳐 조정을 이어감(남조). 이로써 남북조의 내란이 일어남
1378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교토의 무로마치에 막부를 설치함
1392 남조의 천황이 요시미쓰의 신청으로 북조의 천황에게 왕위를 양보함.
남북조의 내란 약 60년 동안에 전국의 무사들은 각각 북조(막부)와 남조 중 자신에게 유리한 쪽에 붙어 자기의 지배지를 확장하고자 싸웠음.

1392년 남북조의 합일(合一) -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

 

(2) 무로마치시대의 정의

3대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 당시 교토의 무로마치로 옮겨졌기에, 아시카가씨의 막부를 무로마치막부라 함.

16세기 후반까지의 약 230년 동안을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라고 함.

 

쇼군 관령 중앙
(교토)
사무라이도코로(侍所) : 군사 · 경찰업무
만도코로(政所) : 막부의 재정업무
몬추조(問注所) : 기록의 보관업무
지방 가마쿠라부(鎌倉府) : 간토지방의 지배
슈고, 지토

(3) 무로마치막부의 통치체제

 

무로마치(室町)막부의 제도와 조직은 가마쿠라막부와 매우 유사

고세이바이시키모쿠(御成敗式目)를 기본법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법령을 추가 - 겐무이라이쓰이카(建武以来追加)

조직상의 차이로는 중앙에 간레이(管領)를 설치한 것과 지방에 가마쿠라후(鎌倉府)를 설치한 정도

가마쿠라후 관동(関東)지역을 관할

가마쿠라후의 설치 역시 가마쿠라막부를 모방한 것으로, 가마쿠라막부가 교토에 로쿠하라탄다이(六波羅探題)를 설치하여 서국(西国)을 지배한 것과 동일

 

(4) 슈고다이묘

1) 슈고(守護)의 권한

남북조 내란의 와중에 지방의 무사세력을 통제할 필요가 있어 슈고(守護)의 권한이 강화

가마쿠라막부의 슈고의 권한인 군사경찰권

불법적으로 작물을 수확하는 가리타로제키(刈田狼藉)의 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권한

영국(領国)의 무사들의 영지 다툼에 개입[무사의 통제]

막부의 판결을 강제집행할 수 있는 시세쓰준교(使節遵行)의 권한

사법권 행사를 통한 재지(在地)무사의 통제

군비조달의 명목으로 장원과 공령(公領)의 연공(年貢) 중 절반을 징수할 수 있는 권한[한제이레이(半済令)]

슈고의 장원공령 침탈의 계기

몰수지의 처분권이나 단센(段銭)과 같은 세금의 징수권

슈고의 권한 강화에 따라 슈고가 실질적으로 장원을 지배하는 대신에 일정한 연공을 징수하여 장원영주에게 지불하는 슈고우케(守護請)가 널리 시행

슈고의 장원공령 침탈의 구실

 

2) 무로마치막부의 지배체제 - 슈고영국제(守護領国制)

슈고는 자신의 권한을 이용하여 영국(領国)에 대한 지배를 강화

가리타로제키의 단속권과 시세쓰준교의 권한

재지의 무사들을 통제하는 수단

한제이레이와 슈고우케 등의 권한

영국 안의 장원과 공령에 대한 지배를 강화

그를 통해 확보한 연공이나 토지를 국내의 재지무사인 고쿠진(国人)들에게 분배하여 자신의 가신단으로 조직

이상의 방법으로 슈고는 영국 전체에 미치는 지배권을 확립

강화된 슈고의 권한이 무로마치막부의 성격과 운명을 결정

이러한 무로마치시대의 슈고를 슈고다이묘(守護大名)라고 하며 그들이 만들어낸 지배체제를 슈고영국제(守護領国制)라고 함

무로마치막부는 유력한 슈고다이묘들에 의해 지탱되었고 슈고도 또한 자신의 지배근거를 막부권력에 의해 보장받음

 

 3) 쇼군의 슈고다이묘 견제

남조의 세력이 약해지자 쇼군이 슈고다이묘의 세력을 삭감

 

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

도키 야스유키(土岐康行)의 난

- 13903개국의 슈고를 겸직하던 도키(土岐)씨의 상속 다툼에 요시미쓰가 개입하여 세력을 삭감

메이토쿠(明徳)의 난

- 139111개국의 슈고를 겸직하던 야마나(山名)씨의 상속 분쟁을 이용하여 세력을 삭감

오에이(応永)의 난

- 1399년 반란을 일으킨 오우치 요시히로(大內義弘)를 사카이()에서 멸망시켜 6개국의 슈고를 겸직하였던 오우치(大內)씨의 세력을 삭감

무로마치막부의 최전성기

 

6대 쇼군 요시노리(義教)

쇼군 권력의 강화를 목적으로 잇시키(一色), 도키(土岐)씨 등 유력 슈고들을 토벌

위협을 느낀 슈고다이묘 아카마쓰 미쓰스케(赤松満祐)가 요시노리를 살해 [가키쓰(嘉吉)의 난]

가키쓰의 난을 계기로 쇼군의 권위와 막부의 권력은 쇠퇴

슈고다이묘를 견제하려던 쇼군의 시도는 결국 실패하고 이후 막부정치의 동요는 더욱 격화

 

(5) 오닌(応仁)의 난 (1467)

1) 원인과 경과

쇼군 집안의 후계자 문제와 시바(斯波)씨와 하타케야마(畠山)씨의 후계자 다툼 문제가 막부의 2대 실력자였던 야마나(山名)씨와 호소카와(細川)씨의 대립으로 이어져 발생

호소카와 가쓰모토(細川勝元)의 동군과 야마나 소젠(山名宗全)의 서군에 슈고다이묘가 참가하여 전국적인 규모의 내란으로 발전

11년에 걸친 전란은 1477년 종결되지만, 그 후에도 지방에서의 전란은 여전히 계속됨

 

2) 결과 및 영향

막부와 쇼군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유력 슈고다이묘의 세력은 쇠퇴하였으며 공가(公家)는 몰락함

재지무사에 의한 장원의 침탈이 심해져서 장원제를 기반으로 한 중세국가의 틀이 붕괴

하극상의 풍조가 강해져 슈고다이(守護代)나 고쿠진(国人)들이 슈고를 타도하고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

오닌의 난은 센고쿠시대의 개막

(6) 일본의 국내정세와 왜구

아쿠토() : 가마쿠라시대 말기부터 일본 국내에서 지배체제에 대항하는 무사들의 활동.

약탈, 방화, 살인 등을 일삼음

아쿠토가 국경을 넘어 고려와 중국을 침구하면 현지인들이 왜구라 부름

80년의 공백후 간노노조란(観応擾乱, 1350)이 시작된 해부터 고려멸망(1392)시까지 지속적으로 고려 침구. - 규슈지역에서의 내전상황과 밀접한 관련

 

(7) 동아시와 정세와 왜구

  • 일본의 남북조시대에 중국은 명나라가 중국을 통일

  • 이 무렵 왜구의 활동이 활발 고려와 명나라는 왜구를 단속해 줄 것을 무로마치막부에 자주 요구

  • 15C ,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명에 사신파견하여 왜구를 단속하는 조건으로 명과 무역을 개시

수입품 : 동전, 생사, 견직물, 도자기, 서화 등

수출품 : 구리, 도검, 유황, 마키에 등

  • 대명무역의 실권은 무로마치막부에서 슈고다이묘(호소카와씨나 오우치씨)로 넘어감.

  • 무역의 실제업무는 효고, 사카이, 하카타 등의 항구도시에서 활동하는 상인들이 담당.

 

4. 무로마치시대의 산업과 사회

(1) 농촌사회의 변화 ()소손(惣村)의 형성

  • 남북조 내란 이후 슈고가 장원을 침탈하여 장원이 점차 해체되자 농민들은 지역적으로 결합하여 소손(惣村)

또는 소()라고 하는 자치조직을 형성

  • 자위(自衛)나 농업생산을 위한 협력이 자치조직 형성의 목적

  • 소손(惣村)의 지도자층는 농민의 계급분화에 따라 형성된 유력농민인 묘슈(名主)나 지자무라이(地侍) 계층

  • 마을의 운영에 관한 많은 사안들을 자치적으로 해결

  • 소손은 요리아이(寄合)라고 하는 촌민들의 회의의 결정에 따라 사타닌(沙汰人오토나(乙名) 등으로 불린 지도자들에 의해 운영

  • 촌민은 마을 내 질서유지를 위해 무라오키테(村掟)라는 규약을 정하고 위반 시에는 자체적으로 제재

  • 소손이 책임을 지고 장원영주에게 일괄적으로 연공을 납입할 정도로 성장[햐쿠쇼우케(百姓請)]

소손은 장원의 틀을 깨고 사회적·경제적으로는 물론 정치적으로도 하나의 단위로 행동

 

(2) 다양한 잇키(一揆)의 발생

잇키(一揆) - 무사나 농민 등이 특정한 목적 하에 집단을 결성하여 행한, 무력행사를 포함한 저항운동

1) 무로마치시대의 잇키

쓰치잇키(土一揆): 농민들이 소손을 기반으로 하여 일으킨 잇키로, 연공이나 부역의 감면, 도쿠세이(徳政) 등을 요구

도쿠세이잇키(徳政一揆): 도쿠세이를 요구하며 일으킨 쓰치잇키로, 도쿠세이란 채권채무의 파기를 의미함

고쿠진잇키(国人一揆): 재지무사인 고쿠진들이 슈고다이묘에 대항하거나 농민을 지배하기 위해 결성한 잇키

 

2) 센고쿠시대의 잇키

구니잇키(国一揆): 고쿠진지자무라이(地侍)가 중심이 되어 소손의 농민[묘슈(名主)계급]들과 연합하여 일으킨 잇키

잇코잇키(一向一揆) - 정토진종(浄土真宗) 혼간지(本願寺) 교단[잇코슈(一向宗)]의 신도들이 일으킨 잇키

cf) 햐쿠쇼잇키(百姓一揆) - 에도시대에 농민들이 일으킨 잇키

 

(3) ()의 발전 - 상공업의 발달

() - 유럽의 길드에 해당하는 중세의 특권적인 동업조합

무로마치시대에는 상공업이 발달함에 따라 거의 모든 부문에 좌가 결성되는 등 좌가 눈부시게 발전

공업의 선진지역이며 좌를 보호해줄 장원영주도 많았던 기나이(畿內)지역에 다수 존재

혼조(本所)의 보호하에 영업이나 상품의 구입판매의 독점권 등 특권을 획득하고 통행세나 영업세 등의 면제의 혜택을 받음

센고쿠다이묘의 경제진흥책에 의해 해체

 

5. 전국시대(戦国時代)

(1) 하극상의 시대

  • 15C후반 오닌의 난을 계기로 전란은 전국 각지로 확산.

  • 이후 100년 동안 무사들이 영지를 서로 뺏고 빼앗는 전국시대가 지속

 

(2) 센고쿠다이묘

  • 전국시대의 다이묘는 슈고다이묘를 쓰러뜨리고 새롭게 다이묘가 된 경우가 많음.

  • 막부나 조정의 지배를 인정하지 않고 공가, 사사 등의 장원영주의 세력을 일소하여 넓은 영국 지배

  • 부국강병의 정치 -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강한 군사력 양성

영국의 중심적인 장소에 성을 쌓고 가신이나 상공업자를 모아 조카마치(城下町)를 만듬

가법(分国法)이라 불리는 법률을 만들어 가신이나 민중들을 단속

농업, 상공업의 발달에 주력

영지 내의 농민을 직접 지배하여 연공의 증가에 노력

 

6. 무로마치문화

(1) 금각과 은각 - 무로마치문화의 대표적인 문화재

금각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막부의 전성기에 교토의 기타야마(北山)에 건립

은각 :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오닌의 난 무렵, 교토의 히가시야마(東山)에 건립

요시마사가 은각에서 생활하던 무렵의 문화를 히가시야마문화라고 함

 • 쇼인즈쿠리(書院造)라는 양식이 무사의 주택으로 채용

 

(2) 선종문화

정원 : 물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게곡과 하천을 표현하여 깊은 정치가 있다.

교토 료안지(竜安寺)의 석정(石庭)은 세계적으로 유명

② 도코노마()

수묵화 : 명나라에서 선종과 수묵화를 배운 셋슈(雪舟)가 뛰어난 산수화 남김

이케바나(): 부처에게 꽃을 바치는 의식에서 시작

차실건축 - 차노유() : 다실에서 마음의 안정을 추구

  ④ 임제종 : 막부의 보호로 교토와 가마쿠라의 오산(五山)이라는 대표적인 사찰들을 중심으로 번영

노가쿠와 교겐

 

(3) 문화의 지방 확산

 • 오닌의 난이후, 공가와 승려들이 지방의 다이묘들을 의지하여 교토를 벗어남

(수도의 문화가 전해진 오우치씨의 조카마치인 야마구치, 간토지방에 아시카가학교가 재건)

 

(4) 조총과 기독교의 전래

 • 1543년 다네가시마(種子島)에 포르투갈인이 표착하여 조총을 전함

 • 남만무역 : 규슈의 히라도(平戸), 나가사키(長崎) - 포르투갈, 스페인 상선

      수입품 - 중국산의 생사나 견직물, 유럽의 조총, 화약, 시계, 유리그릇, 남방산의 향료, 담배 등

수출품 - 일본산의 은, 공예품이나 도검 등

 • 1549년 스페인 선교사 프란시스코 자비에르가 가고시마(鹿児島)에 와서 기독교 전래

 • 기리시탄 다이묘 : 다이묘 중에 선교사를 보호라고 스스로 신자가 됨

규슈의 오토모(大友), 오무라(大村), 아리마(有間)

 

⧯주요용어

슈고(守護)
지토(地頭)
슈고는 해당 국()의 고케닌을 통솔하며 경찰과 군사업무를 담당하는 직책이고, 지토는 장원과 공령(公領)에 설치되어 연공(年貢)을 징수하고 치안유지를 담당하는 직책이다
로쿠하라탄다이
(六波羅探題)
조큐(承久)의 난 이후, 조정을 감시하고 서국(西国)의 행정과 사법을 담당하며 고케닌들을 통솔할 목적으로 교토에 설치한 가마쿠라(鎌倉)막부의 기구이다.
겐무신정
(建武新政)
고다이고(後醍醐)천황이 가마쿠라막부를 멸망시킨 후 행한 천황 중심의 정치를 가리킨다.
한제이레이
(半済令)
무로마치(室町)시대의 슈고가 장원이나 공령의 연공 중 절반을 징수할 수 있는 권한으로, 슈고가 장원과 공령을 침탈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오닌(応仁)의 난 무로마치시대에 슈고다이묘들이 11년간에 걸쳐 벌인 내란으로, 센고쿠(戦国)시대의 시작이라고 평가된다. (1467)
()소손(惣村) 남북조(南北朝) 내란 이후, 장원에 대한 장원영주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농민들은 장원을 뛰어넘어 지역적으로 결합하여 소() 또는 소손(惣村)이라고 하는 자치적인 공동체를 형성해갔다.

 

 


 

정리하기

 

중세의 무가정권을 낳은 배경을 생각해보면, 경제적 배경으로는 국가의 통제나 지배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유지인 장원의 발달, 사회적 배경으로는 기존의 신분제도의 틀을 무너뜨린 무사계급의 성장, 정치적 배경으로는 원정(院政)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사와 장원은 매우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무사의 등장이 장원의 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장원의 발달이 무사의 대두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가마쿠라(鎌倉)막부는 교토의 조정과는 전혀 다른 정치사회체제를 가진 무사들의 독자적인 정권이었다. 가마쿠라막부는 쇼군(将軍)과 고케닌(御家人)이 토지를 매개로 하여 맺은 주종관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배관계의 구조를 봉건제도라고 한다.

가마쿠라막부 성립 초기에는 막부의 세력이 강하지 못하여 가마쿠라[무가(武家)]와 교토[공가(公家)]의 두 정권이 전국을 이원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막부 내부의 내분을 틈타 고토바(後鳥羽)상황이 일으킨 조큐(承久)의 난에서 막부측이 승리함으로써 공가와 무가의 이원지배체제는 해소되고 가마쿠라막부는 전국정권으로 성장하였다.

고다이고(後醍醐)천황의 겐무신정(建武新政)은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에 의해 3년여 년 만에 붕괴되고 만다. 교토에 입성한 다카우지가 고묘(光明)천황을 옹립하자 고다이고천황은 요시노(吉野)지방으로 도망쳐 자신의 정통성을 주장하는데, 이로써 조정은 요시노의 남조(南朝)와 교토의 북조(北朝)로 나뉘어 약 60년 간 싸우게 된다. 이를 남북조 내란이라고 하는데, 1392년 무로마치(室町)막부의 제3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에 의해 남북조가 합일(合一)된다.

무로마치막부의 슈고의 권한은 남북조 내란의 와중에 지방의 무사세력을 통제하기 위하여 강화되었다. 슈고는 강화된 권한을 이용하여 자신이 관할하는 영국(領国)에 대한 지배를 강화해 나갔다. 이와 같은 무로마치막부의 슈고를 군사/경찰권만을 가졌던 가마쿠라막부의 슈고와 구별하여 슈고다이묘(守護大名)라고 하며, 그들이 만들어낸 지배체제를 슈고영국제(守護領国制)라고 한다.

무로마치막부 8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마사(義政)의 시대에 오닌(応仁)의 난이 발발하는데, 다수의 슈고다이묘가 참가하여 11년 동안이나 이어졌다. 이 난의 결과, 쇼군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유력 슈고다이묘의 세력은 쇠퇴하였으며 공가는 몰락하였다. 반면에 재지무사에 의한 장원의 침탈이 심해져서 장원제를 기반으로 한 중세국가의 틀이 붕괴되었고, 또한 하극상의 풍조가 나타나 슈고다이(守護代)나 고쿠진(国人)들이 슈고를 타도하고 센고쿠다이묘(戦国大名)로 성장해갔다. , 오닌의 난은 센고쿠시대의 개막이었던 것이다.

남북조 내란 이후 슈고가 장원을 침탈하게 되면서 장원영주가 힘을 잃어 장원이 점차 해체되어 가자, 농민들은 장원을 뛰어넘어 지역적으로 결합하여 소() 또는 소손(惣村)이라고 하는 자치조직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소손은 사회적경제적인 단위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하나의 단위였다. 농민들은 소손을 기반으로 쓰치잇키(土一揆)를 일으켜 장원영주나 슈고다이묘 등에게 저항하였던 것이다.


[평가문제]

1. 겐페이갓센(源平合戦)에서 다이라씨를 무너뜨리고 세이이타이쇼군에 임명되어 가마쿠라막부를 연 사람은?

아시카가 다카우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오다 노부나가  ④ 도요토미 히데요시

 

2. 고토바상황이 1221년 막부를 타도하고 상황 중심의 정치를 하기 위해 서국의 무사들을 모아 거병하였으나 결국 막부인 호조씨가 승리한 사건을 무엇이라 하는가?

조큐의 난(承久)                        ② 호겐의 난(保元)

헤이지의 난(平治)                      ④ 오닌의 난(応仁)

 

3. 가마쿠라문화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우아한 귀족문화가 계승되면서 무사나 서민들에게 지지를 받는 소박한 문화가 성장하였다.        

불교색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현실의 생활을 즐기는 청신하면서도 화려한 문화가 꽃피었다.          

일본적인 사상이나 의식이 표면에 등장하여 문화의 국풍화가 진행되었다.

서민문화가 크게 발전하여 하이카이나 우키요조시, 닌교조루리, 우키요에 등이 유행하였다.

 

4. 막부와 슈고다이표들이 양대 세력으로 나뉘어 싸우고, 이 싸움이 결국 전국적인 전란으로 발전하면서 장기화되었다. 이로써 센고쿠시대의 시작을 가져오게 된 이 전란은 무엇인가?

호겐의 난   ② 오닌의 난  ③ 조큐의 난            ④ 헤이지의 난

 

5. 호조씨에 반발하는 세력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막부를 배반해 호조씨 일족을 멸망시키고 무로마치막부를 연 사람은?

다이라노 기요모리          ②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아시카가 다카우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

 

6. 다음 설명 중 히가시야마문화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차를 마시며 마음의 평정을 구하는 와비차의 형식이 등장하였다.               

선종의 영향을 받아 한적함과 간소함 속에 유현미를 추구하고 있다.  

서민들 사이에서 사루가쿠노, 덴가쿠노, 본오도리, 교겐, 렌가 등이 유행하였다.                 

무사를 주인공으로 한 무사문학의 걸작으로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가 있다.

 

<정답> 1.2.3.4.5.6.


[강의연습문제]

 

1. 가마쿠라(鎌倉)막부의 정치적군사적 기반으로, 쇼군(将軍)과 주종관계를 맺은 무사들을 무엇이라 하는가?

고케닌(御家人) 게시(下司) 지토(地頭) 슈고(守護)

 

2.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 이래의 선례와 관습법을 토대로 제정된 가마쿠라(鎌倉)막부의 기본법전이다.

일본 최초의 무가법으로, 후세의 무가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 무로마치(室町)막부의 슈고(守護)는 강력한 권한을 이용하여 영국(領国)에 대한 지배를 강화해 나갔다. 이러한 무로마치막부의 슈고를 군사경찰권만을 가졌던 가마쿠라(鎌倉)막부의 슈고와 구별하여 ( )라고 하며, 그들이 만들어낸 지배체제를 ( )라고 한다. ( )안에 들어갈 적당한 용어를 각각 적으시오.

,

 

4. 무로마치(室町)시대에 농민들이 자치적인 공동체인 소()나 소손(惣村)을 기반으로 하여 일으킨 저항운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도쿠세이잇키(徳政一揆)   고쿠진잇키(国人一揆)

쓰치잇키(土一揆) 햐쿠쇼잇키(百姓一揆)

 

 

<정답> 1.2.고세이바이시키모쿠(御成敗式目)  3.슈고다이묘(守護大名), 슈고영국제(守護領国制)  4.③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