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일본인의 생활문화

<목차>
1. 생활 속의 의례
2. 출산과 육아
3. 성인식
4. 약혼식과 결혼식
5. 장례와 제례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 생활 속의 의례
(1) 일본인의 생활 속의 의례
• 일본인의 생활에는 인생의 전기를 기리는 의례가 발달
•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를 중시
• 가정에서 불단(佛壇)과 가미다나(神棚)를 설치해 일상적으로 선조 공양을 함
• 정월 초 새해 소원을 빌러 신사를 참배하는 하쓰모데(初詣)도 여전히 성행
(2) 통과의례
1) 통과의례란?
• 인생의 중요한 전기에 특정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치러지는 의례
• 각 단계에서 부과된 과제를 수행해 새로운 역할이나 지위를 획득
• 공간적 이동, 시간적 이동, 사회적 지위 이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2) 반 제넵(Arnold van Gennep)의 통과의례 3단계설
① 현재 상태로부터의 분리를 상징하는 분리의 의례
② 과도적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과도(이행)의 의례
③ 새로운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사회적으로 승인 받는 통합의 의례
(3) 인생의례
1) 인생의례란?
• 일생을 살아가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의례
• 인생에서, 공동체 생활에서 중시한 고유한 가치관이 담겨있음
• 중국에서 전래되었지만 불교와 신도가 결합해 일본적인 방식으로 정착
• 한 개인이 지역공동체의 성원임을 사회적으로 승인받는 의미가 있었음
• 예전에 인생의례의 많은 부분을 지역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집행
2) 출생 및 성장과 관련된 의례
• 신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짐
• 한 개인의 탄생은 씨족신인 우지가미(氏神)의 자손인 우지코(氏子)로 태어나는 것
• 신앙생활은 신사에서 우지가미를 만나는 것에서 시작됨
• 성장과정의 다양한 의례를 통해 우지가미와 우지코의 관계는 강화됨
3) 장례/제례와 관련된 의례
• 불교식으로 행해짐
• 죽은 조상은 후손의 공양에 의해 부처가 된다는 불교신앙에 기반
• 신이 된 조상은 이승에 머물면서 후손에게 안녕을 가져다줌
• 후손이 공양을 게을리 하면 조상은 성불을 하지 못하고 이승을 떠돌아다니게 됨
• 사후에도 공양을 통해 조상과 후손이 관계를 지속함으로써 선조 중심의 사회집단을 형성
• 데라우케제도(寺請制度)의 영향으로 절은 장례를 전담으로 하는 기관으로 자리잡음
2. 출산과 육아
(1) 출산축하
• 출산을 하면 친지나 친구들이 선물을 한다 (아기용품, 장남감, 돈 등)
• 최근에는 대체로 병원에서 출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풍속은 없어지고 있음
• 우치이와이(内祝い) : 출산시에 도움을 받은 사람이나 축하선물을 보내 준 사람에게 답례를 하는 것.
원래 뜻은 가족끼리 출하를 한다는 의미이지만, 받은 도움이나 선물에 대한 답례를 의미하는 말.
출산 후 1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팥밥이나 떡 등의 물품을 보냄 (받은 물픔의 1/2 ~ 1/3정도)
(2) 오시치야
• 7일간 무사한 것을 감사하고, 앞으로의 무사를 기원한다는 의미.
• 아이 이름을 가미다나나 도코노마에 붙여 놓음
• 현재 축하의식은 없고, 가족끼리 식사를 하는 정도
(3) 하쓰미야마이리(初宮参り)
• 출생한 아이를 데리고 처음으로 하는 신사참배
• 생후 30일 전후에 아이의 부모나 할머니가 함께 감
• 태어난 곳의 씨족신인 우지가미에게 아이의 출생을 알리고 신의 가호를 기원
• 본래는 우지가미에게 참배한다는 의도를 담고 있지만, 출산한 곳 근처의 신사를 방문
(4) 오쿠이조메(お食初) : 생후 100일(내지 120일)이 되는 날, 처음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
(5) 하쓰셋쿠(初節句)
: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맞이하는 절기
1) 모모노셋쿠(桃の節句)/히나마쓰리(雛祭り)
• 여아의 경우로 3월 3일에 실시
•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원래는 인형에 병이나 재난을 옮겨 흐르는 물에 떠내려 보냄
• 진열대에 천황과 황후, 궁중의 신하나 시녀를 배치
• 여아가 예쁘게 성장해서 행복하게 결혼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음
• 서민들의 화려한 궁정생활에 대한 동경을 엿볼 수 있음
2) 단고노셋쿠(端午の節句)
• 남아의 경우로 5월 5일에 실시
• 중국의 단오행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무사사회에서 행해짐
• 가정이나 공원에 고이노보리(鯉のぼり)를 내걸음
• 고이노보리는 인생의 험한 파도를 헤치고 씩씩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음
• 실내에 갑옷, 투구, 활, 창, 칼을 장식하고 긴타로인형이나 모모타로인형을 장식
(6) 첫돌
(7) 시치고산(七五三)
• 11월 15일에 7·5·3세(남자는 5세와 3세. 여자는 7세와 3세) 어린이가 부모를 따라 신사 참배
• 남자 어린이는 하카마(袴), 여자 어린이는 후리소데(振袖)를 입음
• 이 날은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는 날
•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에 승인받고 축복받는 축제
• 무가사회에서 시작되어 에도시대에 서민계급에 퍼짐
• 가미오키(髪置き) : 3살 남녀 어린이가 지금까지 깎았던 머리를 길러 끈을 묶는 것
하카마기(袴着) : 5살 남아에게 처음으로 하카마를 입힘
오비토키(帯解き) : 7살 여야는 지금까지 끈이 붙어 있는 유아용 기모노에서 오비(帯)를 묶는 후리소데로 갈아
입음. 오비나오시(帯直し), 오비하지메(帯始め), 히모오토시(紐落とし)라고 부르기도 함
• 오늘날에는 지역사회와의 유대가 약화되면서 가족행사로 행해짐
3. 성인식
(1) 전통적인 성인식
⧯ 남자의 경우
• 15세 경에 원복(元服)을 입고, 관(冠), 에보시(烏帽子), 훈도시(褌)를 차기도 함
• 겐푸쿠이와이(元服祝い), 에보시이와이(烏帽子祝い), 훈도시이와이(褌祝い)
• 성인식을 통해 젊은이는 노동, 행정, 혼인 등 여러 방면에서 공동체의 성원으로 인정됨
• 성년식 후 와카모노구미에 가입하고 요바이(夜這い)를 통해 혼전 성교가 공인됨
⧯ 여자의 경우
• 13세경 또는 초조(初潮)를 시작으로 성인식이 행해짐
• 속치마의 긴 천을 허리에 감는 고시마키(腰巻) 의례
• 가네(鉄漿)라는 액체에 치아를 검게 물들이는 가네쓰케(鉄漿つけ) 의례
• 혼인 가능한 연령이 되었음을 의미, 혼전 성교 공인
(2) 오늘날의 성인식
• 1948년부터 1월 15일을 성인의 날로 지정, 현재는 1월 둘째 월요일로 지정(국정 공휴일)
• 성인이 되는 나이는 남녀 만 20세로 정함
•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젊은이들을 공회당에 초청해 성인식 의례를 실시
• 남자들은 양장, 여자들은 후리소데를 입음
• 젊은이들이 너무 떠들어 행사 진행이 어렵다든지 지역과의 유대가 약화되면서 행사에 참가할 젊은이들이 없다든지 하는 문제점이 있음
4. 약혼식과 결혼식
(1) 약혼식
• 전통적인 약혼식은 유이노(結納)라고 함
• 혼인으로 양가가 맺어지게(結びつく) 된 것을 축하해 선물을 보내는(納め合う) 의식
• 유이노품목으로 부부의 인연이 오래 지속되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기를 바라는 물건을 준비
• 노시아와비(熨斗鮑), 유이노킨(結納金), 가쓰오부시(勝男節), 스루메(寿留女), 곤부(子生む婦), 도모시라가(友白髪), 스에히로(末広), 영수증(お受け).
• 약혼반지나 시계, 건강진단서 등을 교환하기도 함
(2) 결혼식
• 예식스타일로 신전식(神前式), 기독교식, 진젠식(人前式), 불교식 등 다양
• 종교적 색채가 가미된 결혼식이 널리 행해짐(기독교, 신전식)
• 진젠식이나 불교식 결혼식의 비중은 낮음
⧯ 신전식(神前式) 결혼
• 신사에서 신도식으로 하는 결혼식
• 근대 이후 서양식 결혼을 본 따 신사에서 보급하기 시작
• 1900년 도쿄다이진구(東京大神宮)에서 올린 다이쇼천황의 결혼식이 보급의 계기
• 전전에 도시부에 퍼지고 전후에 농촌으로 확산
⧯ 기독교식 결혼
• 교회나 성당 등의 예배당에서 하나님 앞에서 맹세하는 결혼식
• 호텔이나 예식장에서 마련한 예배당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음
• 종교적 의미보다는 종교적 엄숙성만을 빌려옴
• 일본인의 중층신앙(syncretism)의 경향을 잘 나타냄
⧯ 피로연
• 호텔이나 전문 예식장이 주도하면서 갈수록 화려해지고 있음
• 주최 측에서 미리 초대객을 선정
• 신부는 피로연 동안 여러 번의 드레스를 갈아입고 나옴(お色直し)
• 초대객에게는 히키데모노(引き出物)라고 부르는 답례품을 줌
5. 장례와 제례
(1) 장례식
• 불교식으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음
• 예전에 장례식은 소시키구미(葬式組)에 의해 치러짐. 오늘날은 전문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전담하는 경우가 많음
• 철야(通夜) 시 유족이나 친지가 고인을 추모하면서 시신과 함께 하룻밤을 지냄
• 장례식에는 승려가 입장해서 독경을 하고 향을 피움
• 가장 일반적인 장법은 화장이지만 최근 납골당이 크게 증가
• 장례식을 치룬 해에는 연하장이나 새해인사를 주고받지 않으며 신사참배도 하지 않음
• 장례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물건을 보냄(香典返し)
• 복잡한 절차와 많은 비용, 상업화된 불교식 장례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증가
(2) 제례
• 죽은 인간의 혼은 후손들의 공양으로 신(神)이나 부처(佛)가 된다고 믿음
• 제사를 연기(年忌), 연기공양(年忌供養), 연기법요(年忌法要)라고 부름
• 연기는 사후 33년째의 마지막 제사를 끝으로 종료되지만 50년째에 종료되기도 함
• 마지막 연기에는 불단에 모셔 두었던 위패를 태우거나 무덤 속이나 절에 모심
⧯ 오봉 (お盆)
• 전통적으로는 음력 7월 15일
• 현재는 양력 8월 15일이 많음
• 죽은 조상들이 이승에 돌아온다고 믿는 불교의식에서 유래
• 선조를 모셔와 접대하고 다시 저승으로 돌려보내는 선조와 자손의 교류를 상징하는 행사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 야쿠도시 (厄年)
• 특정 연령을 재액이 많은 해라 하여 특별히 근신하는 관습
• 중국의 음양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근세 이후 민간에 널리 퍼짐
• 남자는 25세/42세/61세, 여자는 19세/33세/37세가 야쿠도시
• 남자의 42세와 여자의 33세는 가장 주의해야 하는 야쿠도시
• 재액을 쫓는 주술 행위를 함
(2) 도시이와이 (年祝い)
• 장수를 축하하는 의례
• 61세의 환갑(還暦), 70세의 고희(古稀), 77세의 희수(喜寿), 80세의 산수(傘寿), 88세의 미수(米寿), 90세의 졸수(卒寿), 99세의 백수(白寿) 등
• 환갑을 맞은 사람은 붉은 웃옷을 입고, 붉은 두건을 쓰고 붉은 색 방석에 앉음
• 예전에는 환갑(還曆)을 맞으면 가독의 지위를 양도하고 은퇴해 은거(隠居)
• 은퇴한 가장은 신사의 우지코로 봉사하면서 신앙생활에 전념
• 초고령사회가 되면서 장수 축하의 연령은 점차 높아지고 있음
[평가문제]
1. 다음 중 어린이의 탄생과 육아와 관련된 의례가 아닌 것은?
① 오시치야 ② 하쓰미야마이리 ③ 오쿠이조메 ④ 가네쓰케
2. 원래 이 행사는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우지가미의 가호를 받고 자란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의 사람들에게 알려 사회적으로 승인받고 축복을 받는 데서 시작되었다. 현재도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이 의례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시치코산 ② 하쓰젯쿠 ③ 하쓰미야마이리 ④ 도시이와이
3. 전통사회에서 남자들이 치르는 성인식을 지칭하던 말이 아닌 것은?
① 겐푸쿠 이와이 ② 훈도시 이와이
③ 에보시 이와이 ④ 고시마키 이와이
4. 일본에서 종교적 색채가 가미된 신도식 결혼이 행해지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부터인가?
① 무로마치시대 ② 에도시대 ③ 메이지기 ④ 전시기
<정답> 1.④ 2.① 3.④ 4.③
[강의연습문제]
1. 다음 중 어린이의 탄생 및 육아와 관련된 의례가 아닌 것은?
① 오시치야 ② 하쓰미야마이리 ③ 오쿠이조메 ④ 가네쓰케
2. 원래 이 행사는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우지가미의 가호를 받고 자란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의 사람들에게 알려 사회적으로 승인 받고 축복을 받는 데서 시작되었다.
현재도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이 의례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시치고산 ② 하쓰젯쿠 ③ 하쓰미야마이리 ④ 도시이와이
3. 다음 중 전통적인 성인식 의례와 관련되지 않는 것은?
① 훈도시이와이 ② 에보시이와이 ③ 가네쓰케 의례 ④ 도시이와이
4. 단고노셋쿠에 어린이가 인생의 험한 파도를 헤치고 씩씩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옥외에 내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하쓰젯쿠 ② 고이노보리 ③ 시치고산 ④ 히나마쓰리 인형
<정답> 1.④ 2.① 3.④ 4.②
'일본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6. 일본의 중세 (0) | 2022.06.03 |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5. 일본의 원시 및 고대 (0) | 2022.06.01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3. 지역사회의 경제활동 (0) | 2022.05.29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2. 일본 지역사회의 구분 (0) | 2022.05.28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1. 일본열도 (1)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