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지역사회의 경제활동
<목차>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2. 지역간 인구격차
3. 주요 공업지역
4. 주요 농업지역
5. 과소지역의 과제
1.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
(1) 산업별 인구구성
높은 지역 | 비율(%) | 낮은 지역 | 비율(%) | |
1위 | 青森県 | 13.0 | 東京都 | 0.4 |
2위 | 高知県 | 12.4 | 大阪府 | 0.5 |
3위 | 岩手県 | 12.2 | 神奈川県 | 0.9 |
4위 | 宮崎県 | 11.8 | 埼玉県 | 1.8 |
5위 | 熊本県 | 10.5 | 兵庫県 | 2.1 |
[표 1]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 제1차산업 비중이 높은 곳은 도호쿠지방, 규슈지방, 산인지방, 시코쿠지방
높은 지역 | 비율(%) | 낮은 지역 | 비율(%) | |
1위 | 東京都 | 82.0 | 山形県 | 60.5 |
2위 | 沖縄県 | 79.2 | 長野県 | 60.7 |
3위 | 神奈川県 | 76.5 | 福島県 | 62.0 |
4위 | 千葉県 | 76.4 | 栃木県 | 62.2 |
5위 | 福岡県 | 76.0 | 富山県 | 62.4 |
[표 2] 제3차 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 제3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주변에 대규모 공업지역이 형성되어 있음
높은 지역 | 비율(%) | 낮은 지역 | 비율(%) | |
1위 | 滋賀県 | 34.5 | 沖縄県 | 15.4 |
2위 | 富山県 | 34.1 | 高知県 | 17.5 |
3위 | 静岡県 | 33.7 | 東京都 | 17.6 |
4위 | 愛知県 | 33.6 | 北海道 | 18.1 |
5위 | 岐阜県 | 33.6 | 長崎県 | 20.2 |
[표 3]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0년)
⇒ 제2차산업 비중이 높은 지역은 공업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중소도시가 있는 경우
(2) 부문별 경제규모
높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낮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
1위 | 北海道 | 105 | 東京都 | 3 |
2위 | 茨城県 | 43 | 大阪府 | 3 |
3위 | 鹿児島県 | 41 | 奈良県 | 4 |
4위 | 千葉県 | 40 | 福井県 | 5 |
5위 | 熊本県 | 32 | 石川県 | 6 |
[표 4] 농업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낮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
1위 | 愛知県 | 4,003 | 高知県 | 49 |
2위 | 神奈川県 | 1,746 | 鳥取県 | 69 |
3위 | 大阪府 | 1,602 | 島根県 | 98 |
4위 | 静岡県 | 1,571 | 秋田県 | 112 |
5위 | 兵庫県 | 1,435 | 宮崎県 | 144 |
[표 5] 공업제품 생산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2년)
높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낮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
1위 | 東京都 | 18,135 | 鳥取県 | 135 |
2위 | 大阪府 | 6,030 | 島根県 | 142 |
3위 | 愛知県 | 4,319 | 高知県 | 159 |
4위 | 福岡県 | 2,213 | 徳島県 | 165 |
5위 | 神奈川県 | 2,105 | 佐賀県 | 184 |
[표 6] 상품 판매액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07년)
높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낮은 지역 | 경제규모 (백억 엔) |
|
1위 | 東京都 | 437 | 沖縄県 | 202 |
2위 | 静岡県 | 316 | 高知県 | 220 |
3위 | 愛知県 | 311 | 宮崎県 | 221 |
4위 | 滋賀県 | 307 | 鳥取県 | 223 |
5위 | 富山県 | 306 | 長崎県 | 235 |
[표 7] 1인당 현민소득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1∼5위, 2011년)
2. 지역간 인구격차
(1) 47개 도도부현의 인구격차
: 지역간 경제격차의 구조는 인구격차로 나타남
1) 일본인구의 추이
• 1955년 8,411만 명 → 1980년 1억 1,706만 명 → 2008년 1억 2,808만 명
• 2060년 8,674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
⧯ 인구가 500만 명이 넘는 지역(9) - 7개 지역이 3대 도시권에 해당하는 지역
: 홋카이도, 도쿄도, 사이타마현, 치바현, 가나가와현, 아이치현, 오사카부, 효고현, 후쿠오카현 인구
⧯ 100만 명 이하 현
: 후쿠이현, 야마나시현, 와카야마현, 시마네현, 돗토리현, 도쿠시마현, 가가와현, 고치현, 사가현
⧯ 인구 150만 명 이하 현
: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이와테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시가현, 나라현, 에히메현, 나가사키현,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오키나와현
인구증가 지역 | 비율(%) | 인구감소 지역 | 비율(%) |
東京都 | 0.53 | 秋田県 | -1.18 |
沖縄県 | 0.44 | 青森県 | -1.04 |
愛知県 | 0.21 | 山形県 | -0.90 |
埼玉県 | 0.14 | 高知県 | -0.89 |
神奈川県 | 0.13 | 和歌山県 | -0.84 |
[표 8] 인구증가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 1~5위, 2013)
2) 고령자(65세이상) 비율의 추이
• 1970년의 7.1% → 1980년의 9.1% → 1990년의 12.0% → 2000년 17.3% → 2013년의 25.1%
• 2060년에는 39.9%가 될 것으로 예상됨
높은 도도부현 | 비율(%) | 낮은 도도부현 | 비율(%) |
秋田県 | 31.6 | 沖縄県 | 18.4 |
高知県 | 31.1 | 東京都 | 21.9 |
島根県 | 30.9 | 愛知県 | 22.3 |
山口県 | 30.2 | 神奈川県 | 22.4 |
和歌山県 | 29.4 | 滋賀県 | 22.5 |
[표 9] 고령자 비율이 높은 도도부현과 낮은 도도부현 ( 1~5위, 2013)
3) 3대 도시권 - 대규모 임해공업지역을 끼고 있어 인구가 집중됨
① 도쿄권: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② 오사카권: 오사카부, 교토부, 효고현, 시가현, 나라현
③ 나고야권: 아이치현, 기후현, 미에현
4) 태평양벨트 지역
•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대도시를 형성
• 인구가 증가하거나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고령자 비율도 상대적으로 낮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높음
5) 그 이외 지역
• 공업화로부터 탈락되어 제1차산업이 중심 산업
• 인구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큼
• 고령자 비율이 높음
• 지역주민의 소득도 상대적으로 낮음
(2) 주요 대도시
⧯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
• 인구 50만 명 이상의 도시에 대해 정령으로 지정
• 도도부현에 속하는 사무권한의 일부를 위임받아 자율적으로 시행
• 행정사무의 편의를 위해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음
• 2013년 정령지정도시는 20개
⧯ 인구 100만 명이 넘는 대도시 (2013년)
도쿄(東京)23구 | 913만 명 |
요코하마(横浜)시 | 371만 명 |
오사카(大阪)시 | 269만 명 |
나고야(名古屋)시 | 228만 명 |
삿포로(札幌)시 | 192만 명 |
고베(神戸)시 | 154만 명 |
후쿠오카(福岡)시 | 152만 명 |
교토(京都)시 | 147만 명 |
가와사키(川崎)시 | 146만 명 |
사이타마(埼玉)시 | 125만 명 |
히로시마(広島)시 | 119만 명 |

3. 주요공업지역

① 게이힌공업지대
• 도쿄도에서 가나가와현으로 이어지는 공업지대
② 게이요공업지역
• 도쿄만에서 치바현의 치바항(千葉港)으로 이어지는 지역에 형성
• 제2차세계대전 후 게이힌공업지대의 연장선상에서 발전
③기타칸토공업지역
• 게이힌공업지대의 과밀화로 사이타마현, 군마현, 도치기현에 형성
• 간토내륙공업지역(關東內陸工業
地域)이라고도 함
④가시마임해공업지역
• 이바라키현 남동부의 가시마시(鹿島市)와 가미스시(神栖市)를 중심으로 형성
⑤ 주쿄공업지대 :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아이치현 남부에서 미에현 북부로 이어지는 공업지대
⑥ 도카이공업지역 : 시즈오카현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형성
⑦ 한신공업지대 : 오사카만을 중심으로 오사카부와 효고현을 중심으로 형성
⑧ 세토우치공업지역 : 세토나이카이 연안에 위치한 주고쿠지방과 시코쿠지방의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
⑨ 기타큐슈공업지대 : 기타큐슈시를 중심으로 임해부에 형성
⑩ 호쿠리쿠공업지역 : 호쿠리쿠지방의 임해도시를 중심으로 형성
와지마의 칠기, 가나자와의 금박(金沢箔), 가가(加賀)지방의 구타니야키(九谷焼)
⑪ 홋카이도공업지역 : 종이·펄프공업, 제철업, 유제품이나 맥주 등의 식품공업이 발달
⑫ 조반공업지역 : 후쿠시마현 남부에서 이바라키현 북부의 지역, 전기기계나 금속공업, 화학공업 등이 발달
⑬ 오이타임해공업지역 : 석유화학이나 제철, 전기기계 등의 공업이 발달



4. 주요 농업지역
(1) 농업의 특성
• 농가 수는 1960년의 606만호에서 2010년의 253만호로 크게 감소
• 농업으로 수입을 얻는 판매농가는 2012년에 150만 호
• 소득의 절반 이상을 농업에서 얻고 있는 주업농가(主業農家)는 34만호
• 농가의 약 80%는 2헥타르 미만의 작은 경지를 보유하고 있는 영세농가
• 농업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 비율은 2012년에 60%
• 최근 경영규모 확대, 법인화를 통해 농업 경쟁력을 추구
(2) 주요 농업지역
• 농업생산액(2012년 기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홋카이도(생산액 약 1조 엔)
• 그 다음으로 농업생산액이 높은 지역은 이바라키현, 가고시마현, 치바현
• 홋카이도는 곡물이나 야채, 목축 등 전 분야에 걸쳐 농업생산이 활발
• 이바라키현이나 치바현은 대도시에 가까운 입지 조건을 배경으로 야채 생산이 활발
5. 과소지역의 과제
(1) 3대 도시권의 인구집중
• 고도성장기에 지역개발정책은 3대 도시권의 공업입지 확충에 중점을 두어 추진됨
• 도쿄만(東京湾), 이세만(伊勢湾), 오사카만(大阪湾), 세토나이카이 연안이 매립됨
• 이들 매립지에 철강이나 석유정제, 석유화학, 알루미늄 정련, 전력 등의 산업이 유치됨
• 고도성장기에는 3대 도시권을 중심으로 인구가 대규모로 유출 됨
• 규슈지방, 시코쿠지방, 주고쿠지방, 호쿠리쿠지방, 고신지방, 도호쿠지방에서는 인구가 유출됨
• 3대 도시권의 인구비율: 1950년 35.7% → 1970년 46.9% → 1990년 49.8% → 2013년 50.9%
• 고도성장기에 인구가 급증한 대도시에서는 과밀화에 따른 여러 문제가 발생
• 4대공해병으로 불리는 미나마타병, 니가타미나마타병, 이타이이타이병, 천식 등이 발생
(2) 과소지역의 문제
• 고도성장기에 농촌의 젊은이와 남성들이 도시로 대거 유출
• 과소(過疎)지역: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지역공동체의 기반이 무너져 지역사회로서 존립할 수 없게 된 지역
• 과소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정부는 1970년대부터 막대한 예산을 투입
⧯ 과소지역의 현황(2012년)
• 과소지역으로 지정된 시정촌은 797개(전체 시정촌의 46.4%)
• 과소지역의 인구는 전체 인구의 8.9%
• 과소지역의 면적은 전 국토의 59%
• 국토교통성의 조사에 따르면 지금까지 수천 개의 마을이 사라졌으며, 앞으로도 수천 개 마을이 사라질 것으로 예측됨
[평가문제]
1. 다음 중 인구 500만명(2004년 기준)이 넘는 지역이 아닌 것은?
① 홋카이도 ② 지바현 ③ 효고현 ④ 가가와현
2. 대규모 자동차 공업단지를 형성하고 있어 일본에서 공업 생산액(2002년 기준)의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① 도쿄도 ② 오사카부 ③ 아이치현 ④ 가나가와현
3. 도쿄만의 해안에서 지바항으로 이어지는 곳에 형성된 공업지역으로 게이한공업지대의 연장선상에서 발전한 공업지역은?
① 게이요공업지역 ② 주쿄공업지역 ③ 도카이공업지역 ④ 기타칸토공업지역
4. 다음 중 전전부터 발달한 일본의 3개 공업지역에 속하는 것은?
① 호쿠리쿠공업지역 ② 한신공업지대 ③ 세토우치공업지역 ④ 가시마임해공업지역
5.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아이치현 남부에서 미에현 북부로 이어지는 공업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주쿄공업지대 ② 게이힌공업지대 ③ 한신공업지대 ④ 가시마임해공업지역
6. 다음 중 고도성장기에 대도시로 인구가 대량으로 빠져나가 인구가 급속히 감소한 지역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도호쿠지방 ② 시코쿠지방 ③ 호쿠리쿠지방 ④ 긴키지방
7. 고도성장기에 일본에서 진행된 지역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오사카권이 발달함에 따라 나고야권에서는 대량의 인구유출이 일어났다.
② 거점별 지역개발방식을 통해 국토의 균형발전이 이루어졌다.
③ 지역특성에 맞는 지역주민 주도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④ 태평양벨트로 불리는 지대에 대규모 중화학공업기지가 건설되었다.
8. 고도성장기에 일본의 농촌에서 진행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농업노동력의 고령화, 여성화가 진전되었다.
② 농가소득이 높아지면서 전업농가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③ 농업의 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촌 내 빈부격차가 심화되었다.
④ 농촌의 몰락으로 농가부채규모가 크게 증가하였다.
9. 고도성장기에 가장 인구증가율이 높았던 지역은?
① 간토(関東)지방 ② 시코쿠(四国)지방 ③ 홋카이도(北海道)지방 ④ 도호쿠(東北)지방
10. ‘마치즈쿠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1960년대에 일본의 각 지역에서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② 시빌미니멈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지역개발을 추진하는 주민들의 운동을 말한다.
③ 행정과 주민이 협력하여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고자 하는 운동이다.
④ 산업시설의 유치를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운동이다.
<정답> 1.④ 2.③ 3.① 4.② 5.① 6.④ 7.④ 8.① 9.① 10.③
[강의정리문제]
1. 주쿄공업지대의 동쪽에 위치한 공업지역으로 시즈오카현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형성된 공업지역은?
①게이요공업지역 ②호쿠리쿠공업지역 ③도카이공업지역 ④기타간토공업지역
2. 다음 중 전전(戰前)부터 발달한 일본의 3대 공업지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주쿄공업지대 ②한신공업지대 ③게이힌공업지대 ④가시마임해공업지역
3. 다음 중 간토지방에 위치한 공업지역이 아닌 것은?
①가시마임해공업지역 ②오이타임해공업지역 ③기타칸토공업지역 ④게이요공업지대
4. 대도시를 끼고 있어 인구규모가 크고 산업별 취업인구 비율로 볼 때 제3차산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①돗토리현 ②아오모리현 ③미야자키현 ④치바현
5. 오사카만을 중심으로 오사카부와 효고현으로 이어지는 공업지역은?
①게이요공업지역 ②한신공업지대 ③세토우치공업지역 ④세토우치공업지역
<정답> 1.③ 2.④ 3.② 4.④ 5.②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일본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6. 일본의 중세 (0) | 2022.06.03 |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5. 일본의 원시 및 고대 (0) | 2022.06.01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4. 일본인의 생활문화 (1) | 2022.05.31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2. 일본 지역사회의 구분 (0) | 2022.05.28 |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1. 일본열도 (1)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