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학개론

읽다보면 일본이 보이는 일본학개론 핵심 요점만 정리 4. 일본인의 생활문화

728x90
반응형

4장. 일본인의 생활문화

<목차>

1. 생활 속의 의례

2. 출산과 육아

3. 성인식

4. 약혼식과 결혼식

5. 장례와 제례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 생활 속의 의례

(1) 일본인의 생활 속의 의례

일본인의 생활에는 인생의 전기를 기리는 의례가 발달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예를 중시

가정에서 불단(佛壇)과 가미다나(神棚)를 설치해 일상적으로 선조 공양을 함

정월 초 새해 소원을 빌러 신사를 참배하는 하쓰모데(初詣)도 여전히 성행

 

(2) 통과의례

1) 통과의례란?

인생의 중요한 전기에 특정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치러지는 의례

각 단계에서 부과된 과제를 수행해 새로운 역할이나 지위를 획득

공간적 이동, 시간적 이동, 사회적 지위 이동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2) 반 제넵(Arnold van Gennep)의 통과의례 3단계설

현재 상태로부터의 분리를 상징하는 분리의 의례

과도적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과도(이행)의 의례

새로운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사회적으로 승인 받는 통합의 의례

 

(3) 인생의례

1) 인생의례란?

일생을 살아가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의례

인생에서, 공동체 생활에서 중시한 고유한 가치관이 담겨있음

중국에서 전래되었지만 불교와 신도가 결합해 일본적인 방식으로 정착

한 개인이 지역공동체의 성원임을 사회적으로 승인받는 의미가 있었음

예전에 인생의례의 많은 부분을 지역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집행

 

2) 출생 및 성장과 관련된 의례

신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짐

한 개인의 탄생은 씨족신인 우지가미(氏神)의 자손인 우지코(氏子)로 태어나는 것

신앙생활은 신사에서 우지가미를 만나는 것에서 시작됨

성장과정의 다양한 의례를 통해 우지가미와 우지코의 관계는 강화됨

 

3) 장례/제례와 관련된 의례

불교식으로 행해짐

죽은 조상은 후손의 공양에 의해 부처가 된다는 불교신앙에 기반

신이 된 조상은 이승에 머물면서 후손에게 안녕을 가져다줌

후손이 공양을 게을리 하면 조상은 성불을 하지 못하고 이승을 떠돌아다니게 됨

사후에도 공양을 통해 조상과 후손이 관계를 지속함으로써 선조 중심의 사회집단을 형성

데라우케제도(寺請制度)의 영향으로 절은 장례를 전담으로 하는 기관으로 자리잡음

 

2. 출산과 육아

(1) 출산축하

출산을 하면 친지나 친구들이 선물을 한다 (아기용품, 장남감, 돈 등)

최근에는 대체로 병원에서 출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풍속은 없어지고 있음

우치이와이(内祝) : 출산시에 도움을 받은 사람이나 축하선물을 보내 준 사람에게 답례를 하는 것.

원래 뜻은 가족끼리 출하를 한다는 의미이지만, 받은 도움이나 선물에 대한 답례를 의미하는 말.

출산 후 1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팥밥이나 떡 등의 물품을 보냄 (받은 물픔의 1/2 ~ 1/3정도)

 

(2) 오시치야

7일간 무사한 것을 감사하고, 앞으로의 무사를 기원한다는 의미.

아이 이름을 가미다나나 도코노마에 붙여 놓음

현재 축하의식은 없고, 가족끼리 식사를 하는 정도

 

(3) 하쓰미야마이리(初宮参)

출생한 아이를 데리고 처음으로 하는 신사참배

생후 30일 전후에 아이의 부모나 할머니가 함께 감

태어난 곳의 씨족신인 우지가미에게 아이의 출생을 알리고 신의 가호를 기원

본래는 우지가미에게 참배한다는 의도를 담고 있지만, 출산한 곳 근처의 신사를 방문

 

(4) 오쿠이조메(食初) : 생후 100(내지 120)이 되는 날, 처음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

 

(5) 하쓰셋쿠(初節句)

: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맞이하는 절기

 

1) 모모노셋쿠(節句)/히나마쓰리(雛祭)

여아의 경우로 33일에 실시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원래는 인형에 병이나 재난을 옮겨 흐르는 물에 떠내려 보냄

진열대에 천황과 황후, 궁중의 신하나 시녀를 배치

여아가 예쁘게 성장해서 행복하게 결혼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음

서민들의 화려한 궁정생활에 대한 동경을 엿볼 수 있음

 

2) 단고노셋쿠(端午節句)

남아의 경우로 55일에 실시

중국의 단오행사에서 유래된 것으로 무사사회에서 행해짐

가정이나 공원에 고이노보리(のぼり)를 내걸음

고이노보리는 인생의 험한 파도를 헤치고 씩씩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음

실내에 갑옷, 투구, , , 칼을 장식하고 긴타로인형이나 모모타로인형을 장식

 

(6) 첫돌

 

(7) 시치고산(七五三)

1115일에 7·5·3(남자는 5세와 3. 여자는 7세와 3) 어린이가 부모를 따라 신사 참배

남자 어린이는 하카마(), 여자 어린이는 후리소데(振袖)를 입음

이 날은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는 날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에 승인받고 축복받는 축제

무가사회에서 시작되어 에도시대에 서민계급에 퍼짐

가미오키(髪置) : 3살 남녀 어린이가 지금까지 깎았던 머리를 길러 끈을 묶는 것

하카마기(袴着) : 5살 남아에게 처음으로 하카마를 입힘

오비토키(帯解) : 7살 여야는 지금까지 끈이 붙어 있는 유아용 기모노에서 오비()를 묶는 후리소데로 갈아

입음. 오비나오시(帯直), 오비하지메(帯始), 히모오토시(紐落とし)라고 부르기도 함

오늘날에는 지역사회와의 유대가 약화되면서 가족행사로 행해짐

 

3. 성인식

(1) 전통적인 성인식

남자의 경우

15세 경에 원복(元服)을 입고, (), 에보시(烏帽子), 훈도시()를 차기도 함

겐푸쿠이와이(元服祝), 에보시이와이(烏帽子祝), 훈도시이와이(褌祝)

성인식을 통해 젊은이는 노동, 행정, 혼인 등 여러 방면에서 공동체의 성원으로 인정됨

성년식 후 와카모노구미에 가입하고 요바이(夜這)를 통해 혼전 성교가 공인됨

 

여자의 경우

13세경 또는 초조(初潮)를 시작으로 성인식이 행해짐

속치마의 긴 천을 허리에 감는 고시마키(腰巻) 의례

가네(鉄漿)라는 액체에 치아를 검게 물들이는 가네쓰케(鉄漿つけ) 의례

혼인 가능한 연령이 되었음을 의미, 혼전 성교 공인

 

(2) 오늘날의 성인식

1948년부터 115일을 성인의 날로 지정, 현재는 1월 둘째 월요일로 지정(국정 공휴일)

성인이 되는 나이는 남녀 만 20세로 정함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젊은이들을 공회당에 초청해 성인식 의례를 실시

남자들은 양장, 여자들은 후리소데를 입음

젊은이들이 너무 떠들어 행사 진행이 어렵다든지 지역과의 유대가 약화되면서 행사에 참가할 젊은이들이 없다든지 하는 문제점이 있음

 

4. 약혼식과 결혼식

(1) 약혼식

전통적인 약혼식은 유이노(結納)라고 함

혼인으로 양가가 맺어지게(びつく) 된 것을 축하해 선물을 보내는() 의식

유이노품목으로 부부의 인연이 오래 지속되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기를 바라는 물건을 준비

노시아와비(熨斗鮑), 유이노킨(結納金), 가쓰오부시(勝男節), 스루메(寿留女), 곤부(子生), 도모시라가(友白髪), 스에히로(末広), 영수증().

약혼반지나 시계, 건강진단서 등을 교환하기도 함

 

(2) 결혼식

예식스타일로 신전식(神前式), 기독교식, 진젠식(人前式), 불교식 등 다양

종교적 색채가 가미된 결혼식이 널리 행해짐(기독교, 신전식)

진젠식이나 불교식 결혼식의 비중은 낮음

 

신전식(神前式) 결혼

신사에서 신도식으로 하는 결혼식

근대 이후 서양식 결혼을 본 따 신사에서 보급하기 시작

1900년 도쿄다이진구(東京大神宮)에서 올린 다이쇼천황의 결혼식이 보급의 계기

전전에 도시부에 퍼지고 전후에 농촌으로 확산

 

기독교식 결혼

교회나 성당 등의 예배당에서 하나님 앞에서 맹세하는 결혼식

호텔이나 예식장에서 마련한 예배당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음

종교적 의미보다는 종교적 엄숙성만을 빌려옴

일본인의 중층신앙(syncretism)의 경향을 잘 나타냄

 

피로연

호텔이나 전문 예식장이 주도하면서 갈수록 화려해지고 있음

주최 측에서 미리 초대객을 선정

신부는 피로연 동안 여러 번의 드레스를 갈아입고 나옴(色直)

초대객에게는 히키데모노(出物)라고 부르는 답례품을 줌

 

5. 장례와 제례

(1) 장례식

불교식으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음

예전에 장례식은 소시키구미(葬式組)에 의해 치러짐. 오늘날은 전문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전담하는 경우가 많음

철야(通夜) 시 유족이나 친지가 고인을 추모하면서 시신과 함께 하룻밤을 지냄

장례식에는 승려가 입장해서 독경을 하고 향을 피움

가장 일반적인 장법은 화장이지만 최근 납골당이 크게 증가

장례식을 치룬 해에는 연하장이나 새해인사를 주고받지 않으며 신사참배도 하지 않음

장례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감사의 뜻으로 물건을 보냄(香典返)

복잡한 절차와 많은 비용, 상업화된 불교식 장례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도 증가

 

(2) 제례

죽은 인간의 혼은 후손들의 공양으로 신()이나 부처()가 된다고 믿음

제사를 연기(年忌), 연기공양(年忌供養), 연기법요(年忌法要)라고 부름

연기는 사후 33년째의 마지막 제사를 끝으로 종료되지만 50년째에 종료되기도 함

마지막 연기에는 불단에 모셔 두었던 위패를 태우거나 무덤 속이나 절에 모심

 

오봉 ()

전통적으로는 음력 715

현재는 양력 815일이 많음

죽은 조상들이 이승에 돌아온다고 믿는 불교의식에서 유래

선조를 모셔와 접대하고 다시 저승으로 돌려보내는 선조와 자손의 교류를 상징하는 행사

 

6. 야쿠도시와 도시이와이

(1) 야쿠도시 (厄年)

특정 연령을 재액이 많은 해라 하여 특별히 근신하는 관습

중국의 음양사상에 기초한 것으로 근세 이후 민간에 널리 퍼짐

남자는 25/42/61, 여자는 19/33/37세가 야쿠도시

남자의 42세와 여자의 33세는 가장 주의해야 하는 야쿠도시

재액을 쫓는 주술 행위를 함

 

(2) 도시이와이 (年祝)

장수를 축하하는 의례

61세의 환갑(還暦), 70세의 고희(古稀), 77세의 희수(喜寿), 80세의 산수(傘寿), 88세의 미수(米寿), 90세의 졸수(卒寿), 99세의 백수(白寿)

환갑을 맞은 사람은 붉은 웃옷을 입고, 붉은 두건을 쓰고 붉은 색 방석에 앉음

예전에는 환갑(還曆)을 맞으면 가독의 지위를 양도하고 은퇴해 은거(隠居)

은퇴한 가장은 신사의 우지코로 봉사하면서 신앙생활에 전념

초고령사회가 되면서 장수 축하의 연령은 점차 높아지고 있음


[평가문제]

 

1. 다음 중 어린이의 탄생과 육아와 관련된 의례가 아닌 것은?

오시치야             ② 하쓰미야마이리      ③ 오쿠이조메           ④ 가네쓰케

 

2. 원래 이 행사는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우지가미의 가호를 받고 자란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의 사람들에게 알려 사회적으로 승인받고 축복을 받는 데서 시작되었다. 현재도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이 의례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시치코산             ② 하쓰젯쿠            ③ 하쓰미야마이리       ④ 도시이와이

 

3. 전통사회에서 남자들이 치르는 성인식을 지칭하던 말이 아닌 것은?

겐푸쿠 이와이 훈도시 이와이

에보시 이와이 고시마키 이와이

 

4. 일본에서 종교적 색채가 가미된 신도식 결혼이 행해지기 시작한 시기는 언제부터인가?

 ① 무로마치시대         ② 에도시대            ③ 메이지기       ④ 전시기

 

<정답> 1.2.3.4.

 

 


 

[강의연습문제]

 

1. 다음 중 어린이의 탄생 및 육아와 관련된 의례가 아닌 것은?

오시치야 하쓰미야마이리 오쿠이조메 가네쓰케

 

2. 원래 이 행사는 우지가미에게 그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우지가미의 가호를 받고 자란 어린이의 존재를 우지가미와 지역공동체의 사람들에게 알려 사회적으로 승인 받고 축복을 받는 데서 시작되었다.

현재도 일본에서 널리 행해지는 이 의례를 무엇이라 하는가?

시치고산 하쓰젯쿠 하쓰미야마이리 도시이와이

 

3. 다음 중 전통적인 성인식 의례와 관련되지 않는 것은?

훈도시이와이 에보시이와이 가네쓰케 의례 도시이와이

 

4. 단고노셋쿠에 어린이가 인생의 험한 파도를 헤치고 씩씩하게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옥외에 내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하쓰젯쿠 고이노보리 시치고산 히나마쓰리 인형

 

 

<정답> 1.2.3.4.②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