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qqSIB/btrhMdJNKLc/E4wB5pHrsExDoXjaHlhPU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FTtC/btrhMukb85e/RwsR1l5Wu0CIFobo9B9jFk/img.png)
1) 문제해결 모델 ( 이간(Egan), 1994)
[유능한 상담자] (The Skilled Helper)
① 현재의 상태는 어떠한가? -현재의 시나리오 확인
② 현재와 다른 무엇을 원하는가? - 원하는 시나리오 확인
③ 필요, 원하는 것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행동전략
④ 어떻게 일어나게 할 것인가? - 실행
1) 문제해결 모델 ( Egan, 1994)
단계 I : 현재의 시나리오
1-A: 이야기
현재의 상황을 이야기 하도록 함
1-B: 맹점확인
- 자기가 모르는 자기에 대한 것
-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를 볼 수 있도록 조력
1-C: 다루어야 할 문제 또는 기회 선택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함
지렛대/작은 성공은 큰 성공
단계 II : 원하는 시나리오
II –A 보다 나은 미래의 가능성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II –B 변화계획
목표 설정 및 목표 순위 정하기
II –C 변화 추구
목표 실행, 인센티브와 동기부여
단계 III: 행동전략
시나리오와 행동의 연결
III –A: 가능한 행동들
목표달성을 위해 취할 수 있는 행동의 다양성 탐색
III –B: 최적의 전략선택
내담자의 상황, 성향에 맞는 전략 선택
구체적, 현실적, 실제적일 것
III –C: 계획수립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의 조직화, 단순한 계획일 것
2) 공감지향 모델 ( 카커프, 1987 - Rogerian)
대화기술 변별척도 : 공감적 반응
3.0 : 감정에 반응하기 ( you feel~~)
3.5 : 감정과 내용에 반응하기( you feel~~ because or when~)
4.0 : 개인적인 문제 규명(you feel~~ because you can’t~)
4.5 : 개인적인 목표설정(you feel~~ because you can’t~
and you want ~~ )
5.0 : 목표에로의 단계를 솔선하기( you first step is ~~
and your next step is~~)
![](https://blog.kakaocdn.net/dn/dVdUAe/btrhLRGUTng/0HENDjgLHofjAWtoLI8UG1/img.png)
3) 중심과제 지향 모델 (홍경자, 2001)
동양의 유교와 노자 사상을 이용하여 상담의 과정 설명
① 상담관계수립 이끌기 (라포형성)
② 내담자 마음 읽어주기(공감)
③ 내담자의 현재상태와 미래의 꿈 밝혀주기
(문제파악 및 상담목표 설정)
④ 내담자의 문제점 풀어나가기(대안탐색, 계획, 실천)
⑤ 내담자를 발전과 변화로 인도하기(실생활에의 일반화)
⑥ 상담관계 마무리
![](https://blog.kakaocdn.net/dn/WIC7z/btrhOA4LyAN/5DZhEYKCQDhvV4hPOTZiKk/img.png)
상담실 처음 내담시, 잠정적 진단을 시행함
구조화된 면접: 정신상태 조사
제한점
- 라포형성 전에 민감한 정보를 논의해야 하는 점
- 구조화된 면접으로 내담자의 수동적 역할이 적절해 보이는 것
상담자의 책임
- 적극적 경청기술을 사용할 것
- 두려워하는 내담자를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
파악하는 주요 정보
내담자에 대한 기본정보: 인구통계적 정보, 신체 건강정도 등
외모 및 행동: 옷차림과 두발상태, 표정, 말의 특징 등
호소문제: 상담받으려는 목적
내담자의 문제를 유형별로 정리, 각 유형과 관련된 내담자의 문제를 내담자
의 언어를 사용하여 정리
현재 및 최근의 주요 기능상태 :현재 기능이 어떠한가? 지난 1년간 어떠했는가?
스트레스원: 대인관계의 불화, 의사결정, 양자택일상황, 공부 등
사회적 지원체계: 내담자를 도와주거나 편을 들어줄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의
유무
호소문제와 관련된 개인사 및 가족관계
: “전에 이와 비슷한 문제로 고민한 적이 있습니까?”
:”전에 이와 같은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대처했나요?”
![](https://blog.kakaocdn.net/dn/cmNz0k/btrhMePqgqm/kU4yQBdbknuSivugX7WOY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bOFq/btrhMtlgzcR/gx1c4Iwi4cyrMw7RiqMf1k/img.png)
1) 내담자의 역할
일반적으로 행동적으로 수동적, 비자발적
내면적으로 변화의 욕구, 호기심으로 가득참
상담자가 나의 말을 들을 준비가 되어있는가를 평가함
2) 상담자의 역할
상담자의 신체언어: S O L E R
![](https://blog.kakaocdn.net/dn/bEvTyh/btrhROOMDlF/VrU1Ixk0ZmjCO40GJao6B1/img.png)
내담자를 바로(Squarely) 바라본다.
내담자에게 관여하고 있다는 자세를 취하는 것
‘나는 당신과 함께 있다. 당신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
이는 상대방에게 관심이 있음을 보여주는 행동
![](https://blog.kakaocdn.net/dn/mmEtp/btrhNoRjD2b/BW6ka3URD6d1RVoMLrZuX0/img.png)
개방적인(Open) 자세를 취한다.
내담자와 내담자의 말에 마음을 열고 있다는 것
“내가 지금 취하고 있는 자세는 내가 개방적이고 만나고 싶은 태도를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상대방에게 얼마나 전달하고 있는가?” 자문해
볼 필요가 있음
팔짱 & 다리꼬기 x
![](https://blog.kakaocdn.net/dn/kK8Ki/btrhNgSXiyy/RxzOF2GfbFUBX1G2qBVWXk/img.png)
이따금 내담자 쪽으로 몸을 기울인다(Leaning).
내담자 쪽으로 몸을 기울이는 것은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일종의
신체적 유연성 또는 반응성임
‘나는 당신과 함께 있다. 당신과 당신이 하는 말에 관심이 많다’
![](https://blog.kakaocdn.net/dn/n6fLD/btrhN456PG7/e4d162LJkP8yvC8VTSIllk/img.png)
좋은 시선의 접촉(Eye Contact)
내담자와의 좋은 시선의 접촉은 “당신과 함께 있다.” “당신에게
관심을 느끼고 있다.” “당신이 하는 말을 듣고 싶다.”
![](https://blog.kakaocdn.net/dn/4PF5Z/btrhLSMzlrd/1LVPTmVkFnnIU3UcHfS1Y0/img.png)
편안하고(Relaxed)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다.
편안한 자세는 조바심 내거나 주의를 흩뜨리는 표정을 짓지 않는 것
개인적인 접촉과 표현의 도구인 몸짓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하는 것
2) 상담자의 역할
상담자의 태도 (Carl Rogers)
• 진솔성(일치성)
•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 정확한 공감
상담의 구조화
• 상담과정의 본질, 제한조건, 방향성에 대해서 정의를 내려주는 것
• 내담자는 이를 통해 상담관계가 합리적 계획을 가짐을 알게 됨
• 암시적 구조화: 상담장면이 주는 자연스러운 구조화
• 명시적 구조화: 내담자가 의도적으로 설명하고 제약을 가하는 것
• 구조화의 세가지 원칙
1. 최소한의 구조화를 설정할 것
2. 적절한 시점에, 처벌하는 식이 되지 말 것
3. 면담시간의 약속과 행동규범을 구체적으로 정할 것
• 구조화 시 논의 점
- 비밀유지
- 상담 회기의 길이와 빈도, 상담의 계획시간
- 상담자와 내담자의 책임
- 가능한 상담성과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심리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시험대비! 상담 심리학 핵심 요약 요점 정리 6. 분석심리학적 상담 (0) | 2021.10.17 |
---|---|
심리학과 필수 과목 상담 심리학 핵심 요약 요점 정리 5. 개인 심리학적 상담 (0) | 2021.10.17 |
심리학과 필수 과목 상담 심리학 핵심 요약 요점 정리 4. 정신분석 (0) | 2021.10.16 |
심리학과 필수 과목 상담 심리학 핵심 요약 요점 정리 2. 내담자, 상담의 기본 원리 (3) | 2021.10.14 |
심리학과 필수 과목 상담 심리학 핵심 요약 요점 정리 1.상담이란 (1)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