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주거건축
1. 한옥의 형성과정
v 한옥
- 한국인들의 고유한 주거양식
- 한반도의 생태환경과 역사적 과정에 의해 문화적 지식의 축적,
전수, 변화를 겪어 온 결과
1) 움집에서 지상주거로
시대 | 주거형태 |
구석기 | 인공주거 이동생활로 인한 일시적 야영지나 임시 파난처 -동굴이나, 바위그늘 |
신석기 | 움집 -외부 : 평면은 원형이나 정사각형, 수직기둥 -내부 : 집안에 화덕을 두고 불을 지핌 -암사동 신석기 시대 움집 |
청동기 | 반움집 농경정착생활시작(튼튼한 주택 건설 필요) -외부 : 직사각형 평면 -내부 환경 개선: 배수로와 화덕 설치 |
철기 | 지상주거 -중국 목조가구식 구조의 건축양식 영향 -시대의 흐름에 따라 중국과 다르게 발전 |
2) 온돌과 마루의 발달
v 한옥의 대표적 특징 : 온돌, 마루
구분 | 온돌(겨울) | 마루(여름) |
용도 | 주거 공간 | 주거 공간(여름), 창고 |
공간 | 사적 공간 | -공적 공간 -전이 공간 : 외부와 방 연결 -완충 공간 : 방과 방 사이 관계 조절 |
(1) 온돌 : 난방 기술발전, 가사노동 절약, 기거양식 변화, 공간 환경 개선
- 바닥에 열기가 지나가는 통로 고래 축조, 그 위에 구들장을 깔
아 만든 난방 시설
- 초기 철기시대부터 원시적 형식의 온돌이 만들어 짐
(2) 마루 : 여름철 주거 공간, 곡물 창고
-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습기를 차단, 통풍 환기 가능
- 천장 높이가 온돌방보도 높고, 창호를 두어 개방적인 공간
- 방과 마루, 마당의 관계를 조절하는 공간으로 발전
- 고려 시대에 온돌과 마루가 함께 사용된 주거형식이 나타남
3) 채와 마당의 분화
v 한옥의 특징 : 여러 동의 건물과 다양한 마당-유기적 배치
(1) 마당 : 담이나 건물 등으로 둘러싸인 사적인 외부 공간
(2) 담장 : 신분에 따라 높이, 구조, 마감 규제
- 방어의 목적
- 외부 공간의 영역성 강화 : 기밀성이 높고 사유화된 외부공간 형성
(3) 시대별 한옥의 변화
v 동수묘(고분벽화) : 여러 동의 건물을 갖는 상류계층의 주거 모습
고대국가 | - 용도에 따라 건물과 공간이 분리된 주택 등장 - 세대별 생활공간 분리 (예: 서옥-사위가 사는 집) |
조선시대 | - 남녀의 생활공간 엄격하게 구분 짓기 시작 - 살림채 여러 동으로 분화 - 상류층 : 행랑채(하인), 사랑채(남자), 안채(여자) 별채(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 |
(4) 영역별 특징
v 각기 독립된 외부공간을 갖도록 담장으로 구획되어 독자적 영역 형성
행랑채 (행랑마당) |
-주택의 외곽에서 주인의 영역 보호, 출입 통제 -하인들이 농사나 가사작업 가능한 넓은 규모 |
사랑채 (사랑마당) |
-하인의 활동 감독, 안채로의 출입 감시 가능 위치 -손님맞이 공간(가장의 생활영역) -자연경관을 바라볼 수 있는 정원이 꾸며지기도 함 |
안채 (안마당, 후원) |
-여자들의 생활영역, 가장 은밀한 공간 -외부인의 출입 엄격히 통제, 시각적 노출X-폐쇄적 |
2. 한옥의 계층적 성격
1) 하류계층의 주거(천민-노비, 서민)
솔거노비 | 외거노비 |
-상전의 집 안에 기거(행랑채) -독립된 주택이 거의 없음 |
-상전의 집 밖에 기거 -독립된 주택 소유 |
(1) 외거노비주택
- 가장 낮은 계층의 주거로서 독립적 주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주택
- 부엌과 하나의 침실(가랍집, 호지집, 오두막집, 오막살이집)
(2) 서민계층의 민가
- 서민: 양인(농農, 공工, 상)이라고 부르지만 대부분은 농민
- 권위의 표현이나 육적 생활방식보다는 농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주택 필요
- 지역의 자연환경에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주거 형태와 건설 방법
- 주거공간과 생산공간 일체
- 살림채와 부속채
- 낮은 건축 수준
- 토속성, 경제성, 친환경적
2) 중류계층의 주거
v 중류층 : 소규모 토지를 소유한 자영농, 중인계층-관청 하급관리
(1) 도시주택의 모습 : 읍성이나 도성에 위치
(2) 부속채 없이 살림채만 갖음
- 농업생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사육공간, 수장공간 불필요
(3) 도로와의 경계에는 대문채를 두어 사생활 보호
(4) 주거 공간은 응축적이고 내향적으로 배치
(5) 실용적 중시, 상류계층의 건축 요소 부분적 채택
3) 상류계층의 주거
v 상류층 : 양반계층-성리학을 공부하는 사대부계층으로 관료로 등
용될 수 있는 정치적 특권을 소유하고 농민을 지배하는 지배계층
(1) 행랑채의 규모는 그 집의 사회적 신분이나 경제력 상징
(2) 반가의 특징
- 주거 영역이 여러 채의 건물과 많은 공간으로 분리
- 행랑영역, 사랑채 영역, 안채 영역과 각 영역의 건물과 마당
- 넓고 다양한 마루공간 : 안채의 대청마루-육간대청
- 내구적, 내력적 구조
- 입면의 의장적 고급성
- 지붕 : 서까래 위에 부연을 설치하여 처마를 길게 냄
3. 한옥의 지역적 성격
1) 북부지방의 주거
함경도 | 평안도 |
외채형 양통집(또는 겹집) -건물 한 동에 모둔 주거 공간 배치 |
이자형(二) 쌍채집 + ㅁ자형 부속채 -살림채와 대문채가 평행으로 배치 -살림채+부속채=ㄱ자형 살림채 |
-난방과 방어에 효율적 -재산보호 |
-마루가 없음 -집촌형 취락 발달 -폐쇄적 앞마당과 입면 구성 |
2) 중부지방의 주거
(1) ㅁ자형으로 지극히 폐쇄적
- 외부에 대해 방어나 사생활 보호 유리
- 내부에서는 환기나 채광이 가능
- 바람이 거센 섬 지방이나 산간지역에 유리한 형태
(2) 평면은 모두 홑집형인데 살림채에 대청마루를 둔다.
(3) 곱은자 집
- 주택건물을 ㄱ자형이나 ㄷ자 형으로 구부려 만든 집
- 한국 주택 건축의 독특한 형태
3) 남부지방의 주거
(1) 분산형 주거형식
- 각 건물은 방이 일렬로 배열된 홑집
- 살림채와 부속채가 독립적인 건물로 분리되며 넓고 개방적인 안마당
(2) 살림채에 생산공간을 두지 않는다.
- 악취나 해충의 피해 감소
(3) 살림채는 일자형 홑집으로 채광과 통풍에 효과적인 형태
(4) 넓은 창호와 툇마루 발달
4) 제주도와 울릉도 지방의 주거
(1) 제주도
- 분산형 주거형태를 갖지만 살림채는 폐쇄적인 돌담으로 둘러
‘겹집’의 평면 형태를 갖음
- 겹칩 : 보온이나 방어가 아닌 방풍의 필요성으로 인해 만들었음
(2) 울릉도-겨울철 눈
- 내부생활이 편리한 집 : 겨울 폭설로 인한 외부 통행 어려움
- 우데기집 : 살림채는 홑집이지만 처마 밑으로 ‘우데기’라는 방설벽
을 설치하여 만들어 집
- 귀틀벽 : 지붕에 쌓인 눈을 지탱하기 위해 수직하중에 강함
1. 한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① 한국인들의 고유한 주거양식이다.
② 조선시대의 주거양식만을 부르는 말이다. X 구석기시대부터
③ 한옥의 특성은 한반도의 생태환경과 관련이 있다.
④ 문화적 지식이 축적, 전수, 변화를 겪어 온 결과물이다.
2. 한옥의 대표적 특징의 하나로 바닥에 열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축
조하고 그 위에 구들장을 깔아 만든 바닥 난방시설은? 4
① 마당 ② 마루 ③ 담장 ④ 온돌
3. 마루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마루는 여름철에 시원하게 지낼 수 있는 주거공간이 된다.
② 마루는 곡물을 썩지 않게 보관할 수 있는 창고로도 기능한다.
③ 마루는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와 습기를 방바닥으로 전달한다. X 차단
④ 마룻바닥에 깔린 공간의 천장 높이는 온돌방보다 높다.
4. 한옥에 관련된 설명으로 맞는 내용은? 1
① 담장은 사유화된 외부공간 형성을 시사한다.
② 고구려의 부경은 ‘사위가 사는 집’을 뜻한다. X 서옥
③ 고대부터 성리학적 규범에 따라 남녀의 생활공간을 분리하였다. X 조선
④ 신라시대의 담장 설치는 신분에 따른 제한을 두지 않았다. X
5. 조선시대 하류계층 주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
① 외거노비의 주택은 독립적 주생활을 위한 최소 수준으로 지어졌다.
② 솔거노비도 외거노비와 마찬가지로 독립주택에서 생활하였다.
③ 농민들의 집은 주거공간과 생산송간이 일체화되어 있었다.
④ 민가는 건축 수준은 낮지만 토속성과 친환경성을 보여준다.
【해설】 솔거노비는 상전의 집안 행랑채에 기거
6. 조선시대 반가(班家)의 계층성을 나타내는 표현 요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① 행랑체 ② 육간대청 ③ 초가지붕 ④ 솟을대문
7. 외채형 양통집의 특징으로 알맞은 설명은? 1
① 난방과 방어에 효율적이다.
② 무더운 한반도 남부지역에 적절하다. X 북부
③ 경상남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경상남도는 남부지역
④ 일자로 배열된 분산형 홑집이다. - 남부지방의 주거 형태
【해설】 외채형 양통집(또는 겹집)은 북부지방-함경도에 나타나는
주거형태로 건물 한 동에 모둔 주거 공간 배치했다. 외채형 양통
집의 특징으로는 난방과 방어에 효율적, 재산보호에 효과적이다.
8. 폐쇄적인 방형 안마당을 특징으로 하는 중부지방의 주거는? 4
① 이자집 ② 양통집 ③ 우데기 ④ ㅁ자집
9. 남부지방의 주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살림채와 부속채가 독립 건물로 분리되어 있다.
② 여름의 채광이나 통풍에 유리하다.
③ 방어에 편리하게 하려고 집중형 주거형식을 택하였다.-북부지방 주거
④ 기후조건에 대응하여 넓은 툇마루를 갖는다.
10. 도서지역 주거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2
① 제주도 가옥의 살림채는 겹집으로 되어 있다.
② 제주도의 겹집은 방어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X 방풍
③ 울릉도의 우데기는 처마 밑으로 설치한 방설벽이다.
④ 울릉도의 귀틀벽은 수직하중에 강한 구조이다.
'한국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7. 조선의 능묘제도 (1) | 2022.09.24 |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6. 성곽 (2) | 2022.09.23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4. 사찰을 찾아서 (1) | 2022.09.22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3. 종묘와 사직 (1) | 2022.09.22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2. 종묘와 사직 (1)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