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사찰을 찾아서
1.사찰의 형성과 전래
1) 인도에서의 사찰의 출현과 발전
(1) 승려들의 생활공간으로 출현
- 석가모니와 수행자들을 여러 곳을 떠돌아 다니며 생활 영위
- 안거 : 여름(우기)에는 함께 모여 살며 수행 전념(in 오두막)
- 석가모니와 불교 교단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집과 원림 기증
(2) 기원정사(기수급고동원-祇樹給孤獨園)
- 최초의 사찰, 이후 죽림정사 등 여러 지역에 사찰이 생김
(3) 정사(精舍)
- 명상과 수도를 위한 장소를 뜻함(비하라 언어)
- 원림이라는 뜻의 상가라마로도 불렸다.
- 사찰이라는 의미의 가람은 상가라마의 한자 음역어
- 아란야(난야, 한역) : 산속에서 고요히 수행하는 승려들의 오두막
(4) 석가모니 사 후 추모, 예배 기능 추가
- 스투파(탑) : 석가모니의 사리와 재를 나누어 석가모니 기념
(5) 사찰과 스투파는 별도로 존재-> 사찰 주변에 스투파 건립-> 사찰의 일부
- 사찰 : 수행공간 / 스투파 : 재가자의 신앙공간
(6) 불상
- 커다란 단독상으로 만들어져 예배 대상으로 봉안
- 비하라(승원) : 불상을 봉안한 불전
- 서력기원 1~2세기 전후 출현하여 사찰의 기본 구성 요소로 확립
1. 불교 전승에 의하면 인도에서 건립된 최초의 사찰은? 3
① 죽림정사 ② 부도사 ③ 기원정사 ④ 백마사
【해설】 죽림정사-기원 정사 이후 건립 / 부도사-중국의 최초 사찰
2. 석가모니가 열반한 후 그 유해를 화장하고 남은 사리와 재를 나
누어 세운 것은? 1
① 스투파(탑) ② 비하라(오두막) ③ 아라마(원림) ④ 상가라마(가람)
2) 불교와 사찰의 전래
(1) 중국과 인도의 교류가 시작된 전한 시기 이후 중국사회에 알려짐
(2) 후한 시기 외국인 불교 신자의 수 증가, 외국인 승려들의 적극적
인 포교활동으로 신자, 사찰 증가
(3) 부도사(최초의 사찰, 192년 서주)
- 붓다 즉 부처의 사당을 뜻함
- 중국 초기 사찰의 대표적인 구조 : 사찰 중앙에 탑, 사방 건물 배치
(4) 남북조시대
- 불전의 위상이 높아져 점차 사찰의 중심적 위치 차지
- 사찰 중심에 불전, 앞 뒤에 탑, 강당 배치, 회랑으로 감쌈
- 초기에 비해 탑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재질은 목탑->전탑
(5) 한국 불교
- 중국을 통해 전래되어 사상, 신앙, 성격, 구조 모두 중국의 영향 받음
3. 불교와 사찰이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 대해 잘못된 설명은? 3
① 불교는 중국 전한(前漢) 시기 이후 알려졌다.
② 불교와 사찰은 인도와 서역의 문화를 중국에 전달하였다.
③ 기록에 보이는 중국 최초의 사찰은 백마사이다. X 부도사
④ 남북조시대에 대규모 사찰들이 주요 도시에 속속 건립되었다.
2. 삼국시대의 사찰
구분 | 고구려(소수림왕) | 백제(침류왕) | 신라(법흥왕) |
시기 | 4세기 후반 | 4세기 후반 | 6세기(수용 5세기 초) |
지역 | 평양과 주변 지역 | 부여, 익산 | |
구조 | 중심-팔각목탑 주변-동서북쪽 대형 건물지 |
일탑일금당식 | 초기 -> 일탑삼금당식 백제와 비슷 |
사찰 | 청암리사지 | 정림사지 | 황룡사, 분황사 |
1) 고구려의 사찰
(1) 중국에서 온 승려들을 위해 초문사와 이불란사 건립
(2) 광개토대왕 시기에 평양에 9개 사찰 건립
(3) 아스카데라(일본 최초 사찰) 배치에 영향을 줌
(4) 사찰(기록 부족으로 파악 어려움)
- 청암리사지 : 청암리 토성, 금강사로 추정
- 정릉사지 : 전(傳) 동명왕을 남쪽
- 봉산 토성리사지 : 황해도 봉산
4. 현재 확인되는 고구려 사찰 유적이 아닌 것은? 1
① 군수리사지X 백제 ② 청암리시자 ③ 상오리사지 ④ 정릉사지
2) 백제의 사찰
(1) 중국 남조의 동진에서 수용, 다음해 사찰 건립
(2) 웅진 천도 이후
- 국가 재건 과정에서 불교 더욱 중시했고, 사찰 건립과 관련된
양나라 선진 기술 수용하여 국가체제 발전 활용
- 대표적인 사찰 : 대통사(공주)
(3) 사비 천도 이후
- 사비 도성과 주변에 대형 사찰 건립
- 부여지역의 정림사지, 구아리사지, 군수리사지, 동남리사지,
능산리사지, 금강사지, 서복지사지, 왕흥사지, 임강사지
v 정림사지 : 새 도성의 상징, 백제사찰의 기본적 형태로 계승,
일본 시텐노지 등 다수 고대 사찰에 영향을 줌
- 무왕 때 익산지역 중시-> 미륵사와 제석사 건립
v 미륵사 : 삼원식 사찰, 우리나라 목탑의 시원
5. 백제의 불교 수용과 사찰 건립에 대한 잘못된 설명은? 2
① 4세기 후반 불교를 공식적으로 수용하였다.
② 공주 대통사는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교류를 잘 보여 준다.
X 중국 양나라
③ 사비 천도 이후 도성에 대형 사찰을 건립하였다.
④ 부여 정림사지는 사비 도성을 대표하는 기능을 하였다.
3) 신라의 사찰
(1) 5세기 초 불교가 전해졌지만 정식 사찰은 6세기에 창건
(2) 흥륜사 : 왕경 서쪽 입구, 불교 정식 수용, 백제 대통사지 건축 기술 수용
(3) 황룡사
- 왕궁을 지으려다 사찰로 변경
- 신라 말까지 왕경의 중심적 사찰로 기능
- 9층 대형 목탑 새로 조성 : 최초, 일탑일금당-> 중건, 일탑삼금당
(4) 분황사
- 품(品)자 형태로 배치
- 분황사에서 만들어진 중국의 전탑과 비슷한 석탑은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
v 황룡사와 분황사가 세 새의 금당을 둔 것은 기존의 일탑일금당을
일탑삼금당으로 변형시킨 신라 자체의 양식
6. 신라에서 왕궁을 지으려다 사찰로 변경한 것으로, 6세기 후반 창
건되어 신라 말까지 왕경의 중심적 사찰로 기능한 것은? 3
① 분황사 ② 삼랑사 ③ 황룡사 ④ 영묘사
3. 통일신라 시기의 사찰
v 통일 이후 왕경과 주변에 대규모 사찰 건립
1) 선대 국왕들의 명복을 비는 사찰 건립
(1) 사찰 건립과 보수 등의 일을 담당하는 성전 등장
- 사천왕사 : 통일신라 최초의 사찰
- 감은사, 봉덕사, 봉성사, 봉은사
2) 귀족들도 가족의 명복을 빌기 위한 원찰 건립
(1) 석굴암, 불국사
- 김대성이 전세와 현세의 부모를 위해 건립
(2) 귀족들이 거주하는 5소경 지역에는 대규모 사찰 건립
(3) 지방 행정 중심지에도 크고 작은 사찰 건립
(4) 승려들은 수행을 위해 산속에 사찰 건립
3) 지역별 사찰 형태
(1) 경주-쌍탑일금당 / 그 외 지역 - 일탑일금당
(2) 불국사(8세기 중엽 건립)
- 여러 구역으로 구분된 다원(多院)사찰
- 서로 다른 모양의 다보탑, 석가탑
4) 9세기 선종의 유입과 선종 사찰의 전국 각지 출현
(1) 경주에는 선종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주요 선종 사찰은 신라 중심 외곽에 건립
(2) 산속 평지에 위치, 강당 대신 법당 등장
(3) 쌍탑일금당식과 일탑일금당식 모두 나타남
(4) 주요 선종 사찰에는 부도와 탑비 건설
4. 고려시대의 사찰
1) 숭불정책 – 개경 : 10개, 개경 주변 : 원찰 창건
v 원찰 : 자신의 소원이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특별히 건립하는 절
(1) 자복사 : 고을의 신앙 중심지 역할
- 각 고을의 안녕 기원
- 고을별로 거행되는 연등회 개최
(2) 원관사찰 : 여행자들이 쉬어갈 수 있는 숙박시철을 갖춘 사찰
- 파주 혜음원지에는 국왕이 머물렀던 고급 숙박 시설 발견
(3) 전국의 많은 사찰을 종파별로 묶어서 관리
(4) 사찰의 구조 : 쌍탑일금당, 일탑일금당(일탑일금당이 일반적)
(5) 불교성행 + 대장경과 불경 목판 인쇄 발전
=> 대장전과 경판당이 사찰의 필수요소로 등장
2) 고려후기 원 나라 불교 영향
(1) 중국식 탑-경천사지 십층 석탑 / 티베트식 탑 –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3) 고려 말 중국의 선종 사찰과 비슷한 새로운 사찰 건립
7. 통일신라~고려시대 사찰에 대해 잘못된 설명은? 2
① 통일신라 시기에는 쌍탑일금당 형식의 가람이 대표적 사찰 형태
로 자리 잡았다.
② 9세기 들어 선종 사찰들은 경주에 주로 자리 잡았다.
③ 고려는 숭불정책을 추진하여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④ 고려 사찰에서는 쌍탑일금당과 일탑일금당 형식이 모두 나타난다.
【해설】 경주에는 선종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주요 선종 사
찰은 신라 중심 외곽에 건립
5. 조선시대의 사찰
초기 | 임진왜란 후 | 조선 후기 |
승유억불 | 중흥의 시기(17세기 이후) | 민간 신앙적 요소 |
지원 사찰과 승려 축소 -사찰 : 도심X, 산속O -지원 : 국가X, 왕실, 개인O |
-계기 : 의승병들의 성과 -결과 : 불교교단 재정비, 쇠퇴한 사찰 중창 -현재 주요 전통 사찰 (사동중정형) |
8. 조선시대 사찰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4
① 조선왕조는 불교를 장려하여 사찰을 지원하였다. X 숭유억불
② 사찰은 도심지를 중심으로 계속 건립되었다. X 도심지 사찰은 점
점 사라지고 산속에 사찰만 남게 됨
③ 사찰의 구조에서 강당과 법당이 계속 유지되었다. X 강당 대신
법당이 등장
④ 17세기 이후 중수된 사원들은 사동중정형을 기본 구조로 하였다.
6. 사찰의 주요 전각과 예배 대상
1) 불전
전각 | 예배 대상 |
대웅전 | 석가모니 대웅은 부처를 의미 |
대적광전 | 비로자나 법신불 |
극락전 | 아미타불 서방 극락세계의 부처 |
약사전 | 약사불 동방유리광세계의 부처 |
미륵전 | 미륵불 미래의 부처 |
팔상전 |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 가지의 사건으로 정리한 팔 상을 형상화한 조각이나 그림을 봉안 |
9. 불교의 개창자인 석가모니를 모신 불전은? 1
① 대웅전 ② 약사전 ③ 극락전 ④ 미륵전
2) 보살과 신들을 위한 전각
전각 | 예배 대상 |
관음전 | 관음보살 현세의 어려움을 구원 |
지장전 | 지장보살 지옥 중생들의 구제자 |
나한전 | 아라한 초기 불교에서 수행의 최고경지에 이른 사람, 아라한의 준말 |
천왕문 | 4천왕 천상세계의 지배자, 불법의 수호신 |
금강문, 인왕문 | 금강역사 (인왕) 인도의 신, 불교에 흡수되어 사찰 입구를 지키는 신 |
산신각과 칠성각 | 산신, 북두칠성 - 민간신앙 |
10. 사찰의 전각 가운데 조선 후기의 민간신앙과 관련된 전각은? 3
가. 관음전 나. 나한전 다. 산신각 라. 칠성각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한국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6. 성곽 (2) | 2022.09.23 |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5. 주거건축 (0) | 2022.09.23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3. 종묘와 사직 (1) | 2022.09.22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2. 종묘와 사직 (1) | 2022.09.21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 궁궐 (1)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