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종묘와 사직
1. 조선을 대표하는 공간, 종묘와 사직
v 좌묘우사(左묘右사) : [종묘]-[경복궁]-[사직] -> 5묘 제도
종묘건물, 종묘제례, 종묘제례약 세계문화유산 등재
종묘제례 :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
1) 유교문화의 정수가 구현된 공간
2)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위상
구분 | 종묘(左) | 사직(右) |
대상 |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 봉안, 제사 |
사(社-토지) + 직(稷-곡식) -국가의 안녕, 농사 풍요 |
효(孝)-조상 | 농업-백성 | |
공통 | 주관-국가 / 격-대사(大祀-가장 높음) / 음악-예,악 | |
위상 |
국가의례 : 종묘<사직 |
|
왕실 조상의 제사 국한 | 하늘제사 + 땅 제사 | |
실질적 운영 : 종묘>사직 |
1. 동아시아 유교문화와 왕실문화, 농업사회적 특징이 종합적으로 깃
든 문화공간은? 1
가. 종묘 나. 사직 다. 사찰 라. 성곽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라, 가
2. 종묘와 사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내용은? 2
① 종묘는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② 사직은 민간에서 주관하여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 곳이다.
③ 종묘 제사는 국왕이 자신의 선조에게 효를 실천하는 통로였다.
④ 사직은 유교문화의 경제적 기반인 농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해설】 종묘와 사직은 국가 주관이다.
3.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의 위상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3
① 종묘와 사직의 위상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② 사직 제사와 위상이 종묘 제사보다 높았다.
③ 실질적인 운영에서 사직 제사가 종묘보다 중시되었다.
④ 사직 제사는 종묘보다 공적 성격이 강하였다.
【해설】 실질적인 운영에서는 종묘가 중시
2. 종묘
1) 종묘의 유래와 변천
(1) 유례(어원) : 태묘(주 나라가 주공을 노 나라에 봉하면서 태묘가
노나라 주공의 사당을 뜻하게 됨)
(2) 구조 : 동상이실, 서상 구조
- 동당이실 : 하나의 묘에 2개의 실
- 서상 : 서쪽 끝이 가장 높은 신위 (살아서는 동쪽이 가장 높음)
- 대실 7칸 중 5칸은 석실(5묘 제도), 종석 : 신주를 석실에 보관
- 담장 안 – 정전, 공신당, 신문, 동문, 서문
- 담장 밖 – 신주 7칸, 향관청 5칸, 좌우 행랑 각각 5칸,
남쪽 행랑 9칸, 재궁 5칸
- 월랑 – 비와 눈을 피하기 위해 태종 때 지음
(3) 변천 (5묘-제후국 -> 7묘 황제국, 고종)
왕 | 태조 | 명종 | 임진왜란 | 영조 | 헌종 |
칸 | 7칸 | 4칸 | 소실, 재건 | 4칸 | 4칸 |
합 | 11칸 | 11칸 | 15칸 | 19칸 |
- 고요함을 숭상하기 때문에 증축은 굉장히 신중한 사항
- 물자조달의 어려움으로 황장목-> 소나무로 변경
- 서쪽에 영녕전이 있어 동쪽으로만 증축 가능해 동쪽 담장 밖
부속건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
- 친진(親盡 : 제사지내는 대(代)의 수가 다됨, 4대)이 된 국왕은 후대
의 국왕과 신하들이 공덕을 평가해 종묘 정전에 계속 봉안할지
결정-> 불천지주(친진이 되면 영녕전으로 옮겨져야 하나 공덕이 높은
왕은 정전에 계속 남아있음)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7 | 17 | 18 | 19 |
태조 | 태종 | 세종 | 세조 | 성종 | 중종 | 선조 | 인조 | 효종 | 현종 | 숙종 | 영조 | 정조 | 순조 | 문조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
태조 | 불천지주(不遷地主)-세실 | 1 세 |
1세 | 1세 | 1세 | 1세 | 1세 |
<서쪽이 상위>
2) 영녕전의 건립과 운영
v 영녕(뜻 : 조종과 자손이 함께 편안하다.)
(1) 건립
- 종묘 정전에서 4대가 지나 친진이 된 신주를 옮겨와 봉안
- 세종 때 태조의 추존 4대를 봉안하기 위해 건립(목조, 익조, 도조, 환조)
5 | 6 | 7 | 8 | 9 | 10 | 1 | 2 | 3 | 4 | 11 | 12 | 13 | 14 | 15 | 16 |
정종 | 문종 | 단종 | 덕종 | 예종 | 인종 | 목조 | 익조 | 도조 | 환조 | 명종 | 원종 | 경종 | 진종 | 장조 | 영친 |
<가운데가 상위>
(2) 구조(봉안 순서 : 동협실-> 서협실)
변천과정 | 서협실 | 정전 | 동협실 |
초기 | 1칸 | 4칸 | 1칸 |
성종 | +1=2칸 | +1=2칸 | |
임진왜란 후 | +1=3칸 | +1=3칸 | |
현종 | +1=4칸 | +1=4칸 | |
헌종 | +2=6칸 | +2=6칸 | |
현재 | 6칸 | 4칸 | 6칸 |
6. 영녕전을 설명하는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3
① 종묘 정전에서 친진이 된 신주를 옮겨와 봉안하는 사당이다.
② 세종 대에 태조의 추존 4조만을 봉안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③ 건립 초기부터 좌우 협실은 오늘날과 같이 각 6칸이었다.
④ 신위는 먼저 동협실에 봉안되었다가 실이 다 차면 서협실로 옮겼다.
【해설】 초기-1칸, 성종-2칸, 임진왜란 후-3칸, 현종종-4칸, 헌종-6칸
5. 종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① 종묘 정전은 동당이실의 구조에 맞춰 건립하였다.
② 태종 대에 비와 눈을 피하기 위한 동서 월랑을 지었다.
③ 세실(世室)로 정해지면 5묘의 대수(代數)에서 제외되었다.
④ 영녕전이 동쪽에 있어 종묘 증축은 서쪽으로만 가능하였다.
【해설】 서쪽에 영녕전이 있어 동쪽으로만 증축 가능
3) 공신당과 칠사당(일곱 신)
구분 | 공신당(배향당) | 칠사당 |
대상 | 역대 군왕들이 재위에 있을 때 가장 공이 큰 신하 | 일곱신 |
위치 | 왼쪽(동쪽) | 오른쪽(서쪽) |
특징 | 봉안된 군주가 불천지주 -> 공신당에 남음 X 위판을 본가 자손 |
|
기타 | 정전이나 영녕전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격 (전>당) |
4. 종묘 정전에서 친진이 된 신주를 옮겨 와 봉안하는 사당은? 1
① 영녕전 ② 공신당 ③ 배향당 ④ 칠사당
【해설】
공신당 : 역대 군왕들이 재위에 있을 때 가장 공이 큰 신하
배향당 : 공신당은 배향이라고 하기도 함
칠사당 : 일곱신을 모시는 당
v 칠사당의 일곱 신
일곱신 | 담당 | 제사시기 |
사명지신 | 궁중의 낮은 신, 삼명을 살핌 | 봄 |
사호지신 | 출입 | |
사조지신 | 음식 | 여름 |
중류지신 | 건물 실내 거처 주관 | 6월 토왕일 |
국문지신 | 출입 | 가을 |
공려지신 | 살벌(殺伐) | |
국행지신 | 도로 통행 | 겨울 |
7. 종묘 정전의 서쪽에 위치했으며,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에 기록된 일
곱 신을 모셨던 곳은? 4
① 악공청 ② 찬막단 ③ 성생판 ④ 칠사당
4) 부속 건물과 기타
악공청 | 종묘제례 시 악공들이 악기 준비 및 대기 |
수복방 | 종묘를 지키는 사람들의 거처 |
전사청 | 신주(神廚)-종묘 제사 음식 준비 |
찬막단 | 전사청에서 만든 제수를 진설해 놓고 살핌 |
제정 | 제사 명수와 음식 마련에 필요한 물 조달 하는 우물 |
성생판 | 종묘 대제에 사용할 소, 양, 돼지 적합한지 살핌 |
재궁 | 제사 전 국왕의 목욕재계, 의복 정제 |
망묘루 | 종묘를 살펴보는 관청 종묘서->종묘관리 |
향대청 | 향(香), 축문(祝文), 폐백 보관 |
8. 종묘 제사에 사용되는 음식을 만들던 부속건물의 명칭은? 2
① 향대청 ② 전사청 ③ 망묘루 ④ 수복방
3. 사직
1) 고대~고려 : 사직의 탄생과 변천
(1) 우리나라 사직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
- 사직단의 모습, 제사의식에 대한 구체적 기록은 전해지지 않음
(2) 고려시대에 구체적으로 확인됨
- 991년(성종) : 개성-불은사 서동
- 1052년(문종) : 개성 안 서쪽에 새로운 사직단 건립
(3) 고려시대 사직단(황제국 제도를 따름)
- 사단과 직단의 따로 만들어짐
- 각각 길이 5장, 높이 3장 6촌, 단의 사방에 계단 설치 : 조선의 약 2배
2) 조선 : 사직의 건립과 정비
(1) 1395년, 고려의 절반 규모, 형태는 고려를 따름
(2) 태종 대 부터 사직 운영에 필요한 제도 정비 본격화
- 의식과 제도 중국 송나라 유 제도 도입
(3) 세종 대에는 집현전 설치, 중국과 우리나라의 고제(古制) 연구 심화
- 한층 유교적으로 정비
- 사직 관리 전담 부서인 사직서 설치
- 위판 개정(제후국) : 국사지신, 국직지신-(태->국)
(4) 임진왜란, 병자호란이후 정비 사업 : 숙종 대~영, 정조
9. 조선시대 사직의 제도 변천에 대해 맞게 설명한 것은? 1
① “좌묘우사(左廟右社)” 원칙에 따라 건립되었다.
② 지방 군현에 고을 단위의 사직은 설치되지 않았다. X
③ 세종 대에 위판을 황제국의 격에 맞게 개정하였다. X 고종
④ 임진왜란 직후부터 파괴되었던 사직은 본격적으로 정비하였다. X
【해설】 사직제도 변천
-지방의 각 군현에도 고을 단위의 사직을 설치하여 봄, 가을에 제
사를 지내도록 함
-고종 대에 대한제국으로 격상되면서 황제국의 격에 맞게 개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크게 파괴된 사직이 본격적으로 정
비된 것은 전란이 끝난 130여 년 후인 17세기 후반 숙종 대 이후이다.
3) 대한제국기 : 황제국 제도로의 격상
(1) 제후국-> 황제국으로 바뀜에 따라 사직 또한 격상
- 명칭 : 국사지신-> 태사지신, 국직지신-> 태직지신
- 규모 : 이전에 비해 2배로 확대, 단의 계단 3개-> 5개
(2) 실질적 위상은 종묘, 영녕전보다 낮아짐
(3) 일제 강점기에 공원으로 바뀌면서 심각하게 훼손-> 복원사업 진행
10. 대한제국기 사직의 변화상으로 맞지 않은 것은? 2
① 사직의 외형적인 제도를 격상하였다.
② 사직의 실질적 위상이 대사(大祀)중에서 가장 높아졌다.
③ 사직의 위판 칭호는 ‘태사지신’, ‘태직지신’으로 변경하였다.
④ 사직 제도는 황제국의 격에 맞게 조정되었다.
【해설】 외형적 제도는 격상되었으나 실질적 위상은 가장 낮아짐
'한국사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4. 사찰을 찾아서 (1) | 2022.09.22 |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3. 종묘와 사직 (1) | 2022.09.22 |
한국사, 한능검, 공무원, 사학, 방통 등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요점 정리 1. 궁궐 (1) | 2022.09.21 |
한 눈에 정리되는 한국사 정리 한능검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정리 4. 일제강점기 2 (4) | 2021.09.29 |
한 눈에 정리되는 한국사 정리 한능검 시험 대비 핵심 요약 정리 3. 조선초기~일제시대 hwp (3) | 202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