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 미술치료의 정의 및 특성
1) 미술치료의 이해
① 미술치료의 정의
- 심신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작업(그림, 조소, 디자인기법 등)을 통하여 심리
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예술치료의 한 분야
- 회화요법, 묘화요법, 그림요법 등
- 심리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미술활동이 첨가된 새로운 심리치료 분야로 교육, 재활, 정신치료 등의 다
양한 분야에서 활용
② 미술치료를 바라보는 관점
- Naumburg : 심리치료과정에서 미술을 매개체로서 이용하는 방법
- Kramer : 내담자가 만든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승화와 통합과정을 도와주는 것(치료로서의 미술)
Ulman : 미술심리치료와 치료로서의 미술을 통합
③ 미술치료의 목적
- 심리치료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조형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갈등을 조정
- 자기표현과 승화작용을 통해서 자아성장의 촉진
- 미술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간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기
- 인간이 표출하는 본능적 미술표현과 그 과정 속에 있는 심리학 해석을 찾아내서 내담자가 감정적으로
또는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중재하기
④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구분
미술교육 | 미술치료 |
기술을 가르친다 | 지시하지 않는다 |
사물의 고유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 사물의 심리적인 색상을 허용한다 |
창조성에 있어 결과를 중시한다 | 창조성에 있어 과정을 중시한다 |
지적인 표현을 중시한다 | 내면의 솔직한 표현을 중시한다 |
타 아동 작품과 비교되기 쉽다 | 타 아동 작품과 비교할 수 없다 |
융통성과 상상력이 결여될 수 있다 | 융통성과 상상력이 촉진되거나 개발된다 |
미술로 표현하는 것에 흥미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
미술로 표현하려는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
2) 미술치료의 특성
① Wadeson(1980)이 말하는 미술치료의 특성
-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아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다.
- 구체적 유형의 자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 자료의 영속성을 통하여 재통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미술은 본능적으로 공간적이며 시간적인 요소가 없다.
- 미술은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유발시킨다.
- 미술활동은 즐거움과 흥미를 느끼게 한다.
② 장애아동 미술활동의 중요성
- 그림은 언어의 표현 : 아동의 그림과 언어 사이에는 공통요소가 많음
- 그림은 획득한 개념과 생활경험의 표현 : 생활경험의 깊이, 폭, 내용 등 암시
- 그림은 자아상의 표현 : 대상과 모델에 대하여 단순히 그대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동화해서 가시적
인 심상으로 만들어 냄
- 그림은 창조적 사고의 표현 :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 장애가 창조적 작업 속에서 해소
- 그림은 욕구의 표현 : 그림을 통한 욕구불만의 모습 표현
- 그림은 환경에 대한 인간의 태도의 표현 : 환경으로부터 받는 심리적 압력이나 억압의 표현
③ 미술치료의 적용대상
- 개인 및 특수집단 : 부적응 행동에 대한 진단과 치료 및 표현활동
- 임상 : 정신병원의 입원 외래, 상담실
- 특수학교 : 신체장애아나 자폐아, 지적장애 및 표현력이 부족하거나 또는 공격적인 아동의 적응 행동
④ 물리적 환경 및 치료시간
- 물리적 환경 : 적당히 넓은 공간, 충분한 채광, 미술도구, 조용하고 비밀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
- 치료시간 : 대상, 목표, 방법에 다라 다양하게 결정되지만 대체적으로 주 1~2회 정도의 상담과 미술치
료가 병행해서 이루어져야 함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1. 특수아의 미술치료 (28) | 2023.09.22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0. 진단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치료 (30) | 2023.09.21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8. 특수아를 위한 놀이치료의 단계 (17) | 2023.09.19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7. 놀이치료의 중요성과 치유적 힘 (19) | 2023.09.18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6. 놀이치료의 정의 및 원리 (27)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