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놀이치료의 중요성과 치유적 힘
1) 놀이치료의 중요성 : 놀이를 통한 발산의 기회 제공
- 장애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대인관계능력이 부족하고 언어적 표현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부적응 행동, 환경에 대한 낮은 적응능력, 심리적 위축 및 공격적 성향 표출 : 놀이를 통하여 발산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놀이를 매개로 치료적 관계 형성 : 자신의 억눌린 감정, 긴장감, 불안 등 표현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치료과정을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 회복
- 적절한 놀이기술 습득하여 타인과 상호작용 형성가능 : 대인관계 능력 함양
2) 놀이치료의 치유적 힘
① 관계의 발달
- 아동은 치료자와 함께 놀이를 통해 부모와 직접적인 관계를 건전하게 형성하도록 돕기
- 놀이는 아동의 성장과 건강을 도와줌
② 성인의 책임
- 치료자와 함께 하는 놀이는 그 상황을 치료자가 책임지면서 유도 :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 도와주고,
치료자의 리드로 안전한 환경 경험
③ 퇴행욕구
- 발달적 놀이치료는 아동의 퇴행욕구 충족시킴
④ 감정이입적 조율의 발ㄷ 라
- 놀이치료를 통하여 아동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도움
⑤ 접촉의 강조
- 신체 감각기관의 접촉을 통해 아동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감각이 발달하고 자신의 가치에 대한 믿
음 형성
⑥ 자기조절 도모
- 놀이를 통해 아동 자신의 활동수준을 조절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필요한 규칙을 제공
- 치료자가 제공하는 규칙과 놀이를 따름으로써 자신의 신체와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됨
⑦ 즐거움
- 놀이는 아동을 관계 안으로 끌어들이고 기쁨과 흥분의 요소 제공
⑧ 애착형성
- 아동이 애착을 받으려는 노력은 생물학적 본능
- 놀이를 통하여 충족시켜줌
⑨ 긍정적 시각
- 놀이치료에서는 즐겁고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아동 스스로를 새롭게 바라보게 됨
꿈과 장애 에피소드 : 금세기 최고의 절단장애 여자스키선수 다이애나 골든 한쪽 다리를 절단한 불행을 딛고 미국 최고의 여자 스키선수로 우뚝서 세계인들을 감동시 켰던 다이애나 골든. 그녀는 장애를 극복하고 일어선 인간승리의 화신으로 오랫동안 전세 계 매스컴들의 칭송의 대상이 돼 왔으며 그녀의 스토리는 '스키에의 재도전'이란 제목으로 영화화 돼 우리 안방극장에도 소개된 적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링컨태생으로 다섯 살 때부터 스키를 타기 시작한 다이애나는 열두 살 때인 75년 골수암으로 오른쪽 다리를 잘라내야 했으나 각고의 노력으로 설원에 다시 돌아 와 비장애인들도 넘보기 힘든 놀랄 만한 활약상을 보였다. 외발스키로 슬로프에 다시 선 그녀는 82년 첫 출전한 세계장애인선수권대회에서 첫 금메달 을 목에 건 이래 미국 장애인스키선수권대회를 10차례, 세계장애인스키선수권대회를 19차 례나 석권했으며, 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장애인 대회전에서 우승 등 장애인 스키부문의 독보적인 존재로 군림해 왔다. 그녀는 장애인용 장비가 아닌 일반 장비로 이러한 성적을 올려 86년 미국스키협회가 매년 최우수선수에게 주는 베크상을 받았으며, 88년에는 '스키 레이싱'지에 의해 올해의 알파인 여자스키선수로 뽑혔다. 그리고 같은 해에 정상인 스키선수들을 제치고 미국 올림픽위원회 로부터 '올해의 여자스키선수'로 지목되는 영광을 누렸다. 그녀는 자신에게 따라 다니는 '용기있는'이란 수식어를 혐오한다. 그 단어가 모든 장애인들 의 능력을 얕잡아 보는 그릇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이애나의 스 토리는 과장해서 말하기 좋아하는 미국인들 사이에서는 이미 하나의 전설로 떠받들어지고 있다. |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9. 미술치료의 정의 및 특성 (23) | 2023.09.20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8. 특수아를 위한 놀이치료의 단계 (17) | 2023.09.19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6. 놀이치료의 정의 및 원리 (27) | 2023.09.17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5.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제거 등 (19) | 2023.09.16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4. 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등 (25)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