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0. 진단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치료

728x90
반응형

60. 진단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치료

1) 미술작품의 상징성과 심리이해


① 미술작품과 그림이 가지는 상징성
- 인간의 의식성과 무의식성 동시에 내포 : 작품과 그림의 상징성(투사)
- 심상과 상징 : 내담자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 표현하지 않는 것, 잘 표현되지 않는 성격의 단면
포착 가능
-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상징 : 위장된 표상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의 도식/ 자아방어에 의한 위장
② 조형의 상징성
- 조형 : 모양을 만들다, 여러 가지 소재를 이용해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것
- 조형활동 : 생각이나 느낌을 조형요소를 이용하여 조형의 원리에 따라 표현하는 활동

조형요소 : 점, 선, 면, 형, 질감, 양감, 명암, 색, 색조, 공간감 등
조형원리 : 통일, 변화, 균형, 비례, 율동, 대비, 강조, 조화 등

- 내담자의 정서나 마음의 상태를 표현할 말들을 발견하는 순간부터 시작하여 감정세계를 구체적인 형
태로 나타냄으로써 감정의 부여
③ 미술매체
- 그리기매체 : 건식매체(파스텔, 오일파스텔, 크레용, 연필, 색연필, 수성 색연필, 사이펜, 목탄, 콩테, 마
가펜, 매직펜, 분필 등)와 습식매체(수채물감, 아크릴컬러, 유화물감, 포스터컬러, 구아슈, 염료, 칠보유
약, 마블링물감 등)
- 종이 및 바탕재 : 도화지, 화선지, 한지, 장지, 섬유, 수채화용지, 색켄트지, 두루마리종이, 스케치북,
색종이, 색한지, 화장지, 신문지, 모눈종이, 하드보드지, 포장지, 셀로판지, 사포, OHP필름, 알루미늄호
일, 다양한 잡지나 광고 카달로그 등
- 조소매체 : 습식매체(찰흙, 지점토, 유토, 컬러클레이, 석고붕대와 석고 등)와 건식매체(발포석고, 벽돌,
아이소핑크, 우드락, 폼보드, 비누, 파라핀, 다양한 목재, 철사, 모루, 빵끈, 색철사, 노끈, 지끈, 낚시줄,
솜, 스치로폼, 목재상자, 종이상자, 자연물, 곡식, 마른 열매, 조개, 돌, 자갈, 생활용품, 재활용품 등)
- 비정형매체 : 면도크림, 물, 비눗물, 생크림, 밀가루, 밀가루풀, 바셀린, 모래, 색모래, 소금, 모양 틀 등
- 미술도구 : 붓, 팔레트, 화판, 물통, 이젤, 줄칼, 주걱, 나무망치, 가위, 풀, 본드, 스카치테이프, 양면테
이프, 글루건, 칼, 자, 나무판, 픽서티브 스프레이, 다양한 색 래커, 테레빈, 스펀지, 각종 공예용구, 펀
치, 회전대 등
④ 발달단계에 따른 매체활용
- 1단계(2~4세) 난화기 : 커다란 검은색 크레용, 여러색 크레용, 매끄러운 도화지, 마커, 찰흙, 아클릴 컬
러,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는 아이만을 위한 손가락 그림 물감
- 2단계(4~7세) 전도식기 : 크레용, 찰흙, 물감, 컬러클레이, 털이 탈린 긴 붓, 흡수성이 있는 큰 도화지,
색연필, 색종이, 콜라주
- 3단계(7~9세) 도식기 : 색이 있는 크레용, 포스터물감, 색분필, 물감, 찰흙, 큰 도화지, 컬러 클레이, 탄
력이 좋은 붓

- 4단계(9~11세) 또래집단기 : 도화지, 크레용, 포스터물감, 찰흙, 두꺼운 종이, 다양한 목재, 클라주 재료
금속, 판화, 인쇄물 등
- 5단계(11~13세) 의사실기 : 수채화물감, 구아슈, 포스터물감, 탄력있는 붓, 찰흙, 리놀륨 판화, 두꺼운
종이, 각종 천, 나무, 오일파스텔 등
- 6단계(13~16세) 사춘기 : 다양한 매체 사용, 콩테, 파스텔 등


2) 진단 도구로서의 미술활동


① 인물화성격검사(Draw A Person)
- 보다 더 깊이 있는 무의식적 심리현상의 표현
- 용지와 도구 : 남녀상을 그릴 수 있는 28 × 21 백지 2매, 4B연필
- 성이 다른 두 사람 그린 후 그려진 인물에 대한 생각이 어떠한지 인물의 성격, 배경, 신분에 관한 질문
② 집-나무-사람검사(House Tree Person)
- 다른 과제보다 솔직하고 자유스런 언어표현을 시킬 수 있는 기법
- 용지와 도구 : 8.5× 11 도화지 4장, 연필, 지우개
- 집, 나무, 사람(동성과 이성)을 그린 후 그림에 대한 20가지의 질문
③ 동적 집-나무-사람검사(Kynatic House Tree Person)
- HTP를 전체적으로 보고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함
- 용지와 도구 : 8.5× 11 도화지 1장, 연필, 지우개
④ 동적 가족화검사(Kynatic Family Draw)
- 가족화에 움직임을 첨가한 일종의 투사화로 개인을 통해 가족의 역동성 파악하기 용이
- 용지와 도구 : A4용지, 연필, 지우개
⑤ 나무그림검사
- 특정인물을 상징하며 그 사람에 대하여 갖고 있는 감정과 욕구 확인
- 무의식적으로 느끼고 있는 자신의 모습
- 용지와 도구 : A4용지, 연필, 지우개
⑥ 풍경구성법(Landscape Montage Technique)
- 강, 산, 밭, 길, 나무, 사람, 꽃, 동물, 돌 등 10가지 요소를 차례대로 그린 후 그리고 싶은 것 그려넣기
- 용지와 도구 : 도화지, 사이펜(흑색), 크레파스 혹은 색연필
⑦ 학교생활화 또는 친구화
- 학교의 친구와 선생님을 그려서 내담자의 학교생활 분석
- 놀고 싶은 친구, 하고 싶은 것 등을 그려서 분석
- 용지와 도구 : 도화지, 연필, 색연필

 

3) 치료 도구로서의 미술활동


① 테두리법
- 내담자에게 도화지를 제시하면서 내담자가 보고 있을 때 용지에 테두리를 그어서 건네주는 방법
- 자아가 허약한 내담자에게 사용
② 난화이야기법
- 난화법과 이야기법을 종합하여 응용
- 심상의 형성이 중요하며 이야기를 만들어나가게 식으로 상담
③ 꼴라쥬기법
- 거부의 감소, 분노의 노출, 희망에 대한 상징 등 다양하게 활용
- 표현이 쉽고 그리는 것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우수하나 선택할 수 있는 매체가 많아야 함
④ 역할교환법
- 채색이나 꼴라쥬, 난화, 그림 그리기 등에서 내담자와 상담자가 서로 번갈아 가며 작품 제작
- 래포형성이나 거부감 감소, 흥미유발 및 촉진 등에 효과적
⑤ 갈겨그리기법
- 내담자에게 사이펜을 주어 손으로 직접 갈겨 그려서 선을 따라 가게 한 후 어떻게 보이는가, 어디가
어떻게 되어있는가 등의 이야기
⑥ 감정차트만들기
- 도화지에 몇 개의 칸을 구분하고 최근의 감정을 그리거나 색종이로 나타내게 하는 기법
⑦ 상호의존역할놀이법
- 짝을 지어 서로 역할을 바꾸어 그리기
⑧ 만다라그리기
- 내담자의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법
- 고요체험으로 집중력을 향상시켜 학습능력향상과 품행교정 및 말더듬 등의 부적응 행동을 교정
⑨ 조소활동법
- 점토로 인물상을 만들거나 자기의 느낌을 표현케 하여 해석

* 꿈과 장애 스토리 : 다운증후군을 극복하고 연극배우가 된 파스칼 뒤켄
잘 나가는 세일즈맨 해리의 차에 어느 날 생면부지의 청년이 무단승차한다. "나…나…나, 다
운증후군이다."라고 소개하며 오르는 조르주. 영화 <제8요일>의 한 장면이다. 그 다운증후군
역에 감독 자코 반 도마엘이 파스칼 뒤켄을 캐스팅한 이유는 "다운증후군 역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건 다운증후군"이라는 것이었다.
그는 연극무대에서 활동하던 뒤켄을 불러들였고, 이 시도는 성공하여 영화는 서로 다른 세
계에 속한 두 남자가 서로의 세계를 이해하고 인정하며 행복을 발견하는 과정을 지극히 선
량하게 그려내 세일즈맨 헤리역의 다니엘 오퇴유와 다운증후군 연극배우 파스칼 뒤켄이 나
란히 칸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게 하였다.
다운증후군의 장애인이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실로 놀라운 사실이다.
우리의 현실에서는 어디 생각이나 할 수 있는 일인가! 시상식 직후 기자회견에서 뒤켄은 선
배 배우이자 통역자가 돼버린 다니엘 오퇴유의 어깨에 고개를 비스듬히 기대고 기쁨에 들뜬
소리로 말했다고 한다.
"매우…매우… 기쁘다. 고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