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ADHD의 상담적 접근
1) 의료적 중재(약물치료)
① 약물치료의 효과 : 미국 약 150만명 이상의 아동이 약물치료 처방 받아 80% 호전
- 행동변화(활동량의 두드러진 감소, 글씨쓰기 호전 등), 인지기능, 대인관계수행 등에서의 호전
- 집중력 강화제 : 메칠페니데이트, 암페타민, 페몰린
집중력 강화제 이외의 약물 : 항우울제, 항정신병 약물, 기분안정제 외
② 약물치료의 부작용
- 수면장애
- 식욕부진
- 복통, 두통, 구토 등
- 민감성이나 불안 및 안절부절
2) 개인치료 전략
① ADHD 아동은 몸으로 부딪히고 행동함으로써 시행착오를 통하여 배움
- 자극이나, 신기한 것, 무엇인가를 얻기 위해서, 반복적인 것과 지루한 것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행동
→ 많은 활동과 신기함으로 추구하기 때문에 늘 새로운 방법과 도구 필요
② 놀이치료
- 놀이를 통하여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내면의 감정을 놀이방식을 토하여 표현하기
- 놀이를 통하여 적절한 행동과 대처방식을 아동 스스로 찾아내고 적절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돕기
③ 인지행동치료
- 아동의 부적응적인 인지를 확인하여 적응적인 인지로 대체시키기
- 특정 상황에서 스스로 적절하게 대처하는 전략을 사용하도록 가르치기
-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기
④ 부모 상담 및 행동치료
- 아동 스스로 조절할만한 능력이 성숙되지 않은 경우 부모의 역할과 개입을 통하여 아동의 환경과 행
동을 변화시키는데 초점
- 관심과 보상을 주는 방법 및 모델링과 실습 등의 방법을 통하여 아동 도와주기
■ ADHD 자녀의 행동을 다루기 위한 부모의 역할 - ADHD 자녀 행동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 제공(가능하면 피드백 자주 주기) - 그릇된 행동의 처벌 전에 올바른 행동에 대한 동기 부여하기 - 자녀 행동을 관리하는 데에 있어서 항상 일관성 유지하기 - 자녀의 문제나 장애를 항상 부모 자신의 개인적인 잘못으로만 돌리지 않기 - 하루를 마무리 하면서 불편한 감정이나 행동 정리하여 다음날로 연장되지 않도록 하기 - 자녀의 문제를 자녀만이 가진 문제로 보지 말고 자녀도 힘들어 한다는 것을 인정하기 -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는 아동 본인에게 나쁜 결과가 돌아가게 하기 - 자녀에게 항상 시키고자 하는 행동을 정하기 - 어떻게 하면 부정적인 결과를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해 항상 설명해주기 |
⑤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
- 자기 자신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기
- 분노감정을 포함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인지하여 자신의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 증진시키기
⑥ 대인관계 및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초등 저학년) : 관계형성, 감정인지 및 표현, 친구 사귀기 및 유지하기, 문제해
결기술 익히기, 적용 및 정리하기
-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초등 고학년) : 관계형성 및 목표설정, 자기인지, 분노조절 및 공격성의 대안
찾기, 자존감 높이기
⑦ 장기적 치료
- ADHD는 장기간 지속되는 질환 : 약물치료와 규칙적인 심리적, 정서적, 행동적 지원 프로그램 및 상담
필요 → 인내심을 갖고 약물복용 준수해야 하며, 심리적 지원 제공
⑧ ADHD 아동 행동의 시각 전환
- 과잉행동 : 정열적
- 창조적
- 고집이 센 : 불굴의 의지
- 지나칠 정도로 한 사람에게 신뢰성을 가짐
- 쉽게 용서해 주는 성격
- 민감성
- 위험을 무릅쓰는 태도
- 융통성
- 유머감각이 풍부
- 충성심
- 직관적 사고
- 공상 : 풍부한 아이디어
- 감정이 풍부 : 동정심 많음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5.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의 이해 (38) | 2023.08.27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4.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49) | 2023.08.26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2. ADHD의 교육적 접근 (42) | 2023.08.24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1.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이해 (49) | 2023.08.22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0. 정서 및 행동장애의 상담적 접근 (48)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