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4.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728x90
반응형

34.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1) 틱장애의 정의
① 틱(tic)
- 갑자기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몸짓을 하거나 또는 소리를 내는 현상
- 불수의적(일부러 하는 것이 아님)이며 일정한 리듬이 없고 뚜렷한 목적이 없다는 특징
- 만 4~6세에 시작하여 10~12세에 가장 많이 출현
② 틱의 구분
- 단순 틱 vs 복합 틱 : 하나 또는 소수의 근육 수축 vs 여러 근육의 동시 수축
- 운동 틱 vs 음성 틱 : 골격 근육 vs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
- 간대성 틱 vs 긴장성 틱 : 짧은 근육수축 vs 지속적인 근육 수축
- 일과성 vs 만성 : 1년 미만 vs 1년 이상

DSM-V
- 뚜렛장애 : 운동틱과 음성틱을 모두 경험하는 경우(⇒ ADHD, 학습장애, 강박증 동시)
- 만성 근육 또는 음성 틱 장애
- 잠정적 틱장애(일과성 틱장애 : 4주 이상 1년 미만 근육 및 음성 틱)

③ 잘 나타나는 틱
- 단순 운동틱 : 눈깜빡임, 얼굴 찡그리기, 코 찡그리기, 입 벌리기, 머리 끄덕이기, 머리 흔들기, 머리
돌리기, 어깨 으쓱이기, 팔다리 흔들기 등
- 단순 음성틱 : 킁킁거리기, 기침하기, 코들이 마시기, 입맛 다시기, 협차기 등
- 복합 운동틱 : 신체, 사물만지기, 깡충 뛰면서 돌기, 다른 사람 행동 따라하기 등
- 복합 음성틱 : 자신 또는 타인이 한 말 반복하기, 갑자기 악담하기 등

 

2) 틱의 변화
① 틱의 역학
- 대개 운동틱이 있은지 몇 년 후에 음성 틱이 나타남
- 틱은 대개 얼굴과 목에서 처음나타나 시간이 지나면 신체의 아랫부분, 팔/다리로 진행됨
- 10대 초반에 증상이 최고조에 도달(전체 아동의 10~20% 일시적 틱 증상 보임)
- 성인이 되면 증상이 많이 좋아지며, 일부는 성인기에도 증상을 보임
- 틱은 전형적으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음
- 틱은 ADHD, 강박장애, 불안관련 장애와 공존하는 경향
② 틱이 주로 악화되는 시기
- 학기초
- 또래와 다툼
- 학습곤란
- 피로
- 감정적 흥분의 상태
- 가정내 불화


3) 틱의 유발 원인
① 뇌 구조적 기능적 이상과 신경전달체계의 이상
- 중추신경계의 전두엽(뇌 기능의 조율 담당)과 기저핵(운동기능을 조절하는 중추이고 감각과 운동의 조
화 담당)의 병변
- 할로페리돌의 약물이 틱 증상 억제한다고 알려지면서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이 원인으로 인식
-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중 도파민의 활성화
② 유전적인 요인(틱의 가족력, 일란성 쌍생아의 일치율 등)
③ 출산과정에서의 뇌손상, 세균감염과 관련된 면역반응의 이상
- 임신 첫 수개월에 심한 오심과 구토
- 임신기 중 심한 스트레스
- 임신기 중 커피(하루 2컵 이상), 담배(하루 반 갑 이상), 술(하루에 2잔 이상)
- 저체중의 쌍생아, 뇌병변 증거가 있는 저체중 출산 아동
④ 스트레스 또는 정서적 흥분
- 또래관계
- 학교생활 및 학업성적
- 신체적 피로
- 환절기
- 가정내 생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