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24.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728x90
반응형

24.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 사회적 관계의 손상 : 타인의 정서상태 인식, 감정표출, 애착 및 관계형성을 하는데 어려움
- 언어소통과 언어결함 : 똑같은 말 되풀이하거나 맥락에 맞지 않는 말을 하는 반향어 사용
- 지적 기능 : 다양한 범위의 IQ
- 감각자극에 대한 비정상적 반응 : 과잉반응과 과소반응
- 동일성과 보존성에 대한 고집 : 동일성과 보존성에 대한 강박적 욕구
- 의식적 및 비정상적 행동유형 : 상동행동


1) 사회적 관계 특성
①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비구어적 행동의 사용에 있어서 손상
- 눈 맞춤이나 응시행동에 있어서의 문제
- 대화 중 몸짓을 거의 사용하지 않음
- 얼굴 표정을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이상하게 사용함
- 독특한(평범하지 않은) 억양이나 음성을 사용함
② 연령에 적절한 또래 관계 형성의 실패
- 친구가 없거나 매우 적음
- 자기보다 나이가 많거나 적은 아동들 또는 가족구성원들과만 관계를 형성함
- 특별한 관심을 근거로 관계를 형성함
- 집단 상황에서 상호작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게임의 협동적인 규칙을 지키기 어려워 함
③ 다른 사람들과 즐거움, 성취 또는 관심을 나누지 않음
-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 TV 프로그램, 장난감을 즐기고 다른 사람들과 나누려고 하지 않음
- 활동이나 관심이나 성취에 대한 다른 사람의 관심을 요구하지 않음
- 칭찬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거나 반응하지 않음
④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성 결여
- 다른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음
-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음
- 다른 사람이 다치거나 흥분할 때 관심을 보이지 않음


2) 의사소통 특성
① 언어발달의 지연
- 언어발달이 거의 일어나지 않거나 늦게 발달되어 말의 의미 이해하지 못함
- 정상적인 옹알이는 하지만 사람이나 사물을 지적하는 단어사용능력에 결함
- 37% 정도는 적절시기에 단어를 사용하다가 24~30개월 정도에서 멈춤
② 의사소통능력의 결함
- 타인과의 대화를 시작 유지하는 능력에서 결함
-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독백처럼 중얼거리지만 관심없는 주제에 대해서는 대답하지 않음
- 상징적인 제스처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지 못함
- 이름 부를 때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음
③ 이상한 언어 사용
- 정형화되고 반복적인 언어 및 즉각적인 반향어 사용
- 대명사의 반전
- 비유적인 표현의 사용


3) 행동특성
① 제한된 범위의 관심영역에 지나치게 강도 높은 독특한 관심을 보임
- 특정 주제에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고 다른 주제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음
- 특정 주제나 활동을 종료하는데 어려워 함
- 다른 활동에 방해가 됨
- 독특한 주제에 관심을 보임
- 특정 관심 영역에 대한 비상한 암기력
② 특정 비기능적인 일과나 의례적 행동에 융통성 없이 집착함
- 정확한 순서에 따라 특정 활동을 수행하기를 원함
- 일과의 사소한 변경에 대하여 쉽게 흥분함
- 모든 변화에 대하여 사전 통보를 필요로 함
- 일과나 의례적인 행동이 지켜지지 않을 때 매우 불안해함
③ 상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성 습관을 보임
- 흥분했을 때 손을 펴서 흔듦
- 손가락을 눈앞에 대고 흔들거나 꿈틀거림
- 손의 자세가 특이하거나 손을 움직임
- 장시간 빙빙 돌거나 몸을 앞뒤로 흔듦
- 발뒤꿈치를 들고 걷거나 뜀
④ 사물에 특정 부분에 대하여 지속적인 집착을 보임
- 사물을 비기능적으로 사용함
- 사물의 감각적인 부분에 관심을 보임
- 움직이는 사물을 좋아함
- 독특한 사물에 집착함

장애 STORY
'핑리안'은 어린 천재화가이다. 그림공부를 한번도 정식으로 배워본 적 없던 그는 6살에 처
음 연필을 쥐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작품 1장이 경매에서 10만달러에 팔리기도
한 핑리안의 그림은 터치와 색감이 너무나 뛰어나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다
고 한다. 그가 가지고 있는 서번트신드롬(savant syndrome)은 자폐증 등의 뇌기능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이와 대조되는 천재성을 동시에 갖고 있다.
'서번트 신드롬' 환자로 알려진 사람 중 절반에 가까운 숫자가 자폐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나머지는 다른 발달장애 증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자폐증에서 이런 석학적 능력을
가진 경우는 약 10%로 추정되며, 학습에 어려움을 가진 사람을 포함하는 비자페증 집단에
선 1% 미만에서 이런 능력이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나 뇌손상 환자 2천명중 1명이
이런 증상을 보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