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진단과 평가를 위한 검사
1) Sattler(2008)의 진단과정
2) 진단을 위한 검사 절차 단계
① 정보수집 단계
- 아동평가를 위한 필요한 정보 얻기 + 부모와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과정
- 개인정보수집 : 아동과 가족사항 및 주변환경에 대하여 질문
- 의뢰사유 : 아동의 행동문제를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하기
부모의 의뢰문제 안에 존재하는 핵심적인 문제 찾기
- 생육사 : 임신기부터 현재까지 아동과 주변의 상황에 대한 자료 수집
계획된 임신여부, 임신기의 특별한 상황, 임신기간 및 분만상태, 신생아 관련 정보, 수유, 배 설, 수면 등의 발달과정, 신변처리, 인지, 작은 운동 및 협응, 큰 운동, 언어, 감각적 문제, 양 육상의 특이사항, 심리평가의 진단 및 교육력, 교과활동 및 과외활동 등 |
- 아동과의 면접 : 부모가 제공한 정보에 대한 확인 및 아동의 견해 듣기
아동과의 라포형성과 아동의 입장에서 듣기
가족내 아동의 위치, 구성원들의 성격특성, 구성원들간의 정서적 친밀도, 누구랑 시간보는지
확인, 또래와의 관계, 학교 혹은 유치원에서의 만족도, 자신에 대한 지각 정도
② 검사 베터리 구성 단계
- 심리검사는 본질적으로 개인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도구 활용
- 검사 실시하기 전에 의뢰된 문제에 대한 지각
- 목적에 맞는 도구의 확인
- 도구에 대한 정보 확인
- 선택한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비롯한 실용성 확인
- 가장 적절한 도구의 선택
③ 검사의 실시 단계
- 검사실시의 사전준비 : 검사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통찰 필요, 검사기술을 갖추고 있을 것, 적절한 검
사환경(오전시간 활용, 쾌적한 환경을 위한 소음과 조명, 출입 통제)
- 검사준비의 점검 : 검사자체에 대한 완전한 이해, 실시요강의 숙지, 충분한 연습, 필요한 검사도구 구
성 확인, 준비물 점검
- 검사 시 기록 : 피검자의 조건 관찰기록, 특이한 반응이나 행동 기록하여 해석시 활용, 검사상황이 특
별히 좋지 않은 경우 기록
④ 보고서 작성 단계
- 의뢰사유와 관련된 정보 제공
- 임상적인 가설검증과 수행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 제공
- 치료계획뿐만 아니라 면접, 심리측정, 관찰과 같은 여러 가지 정보의 제공
- 피검자의 상태에 대한 기록
보고서의 내용 ▪ 이름, 생년월일, 성별, 검사일, 학력, 검사자 등 기록 ▪ 평가도구 : BGT, K-WISC III, HTP, KPI-C, KFD, 기초학습능력검사 1. 의뢰사유 : 가정 및 학교에서의 반항적 태도를 보이며, 학교에서 또래와의 잦은 다툼으로 교사에 의하여 의뢰됨 2. 아동의 첫 인상 및 행동관찰 : 이쁘장한 외모에 마른 체구의 여아로 검사실에 입시하였을 때 수줍게 얌전히 자리에 앉아 검사에 임하였다. HTP와 BGT의 그림 과제를 제시하였을 때 거 부하거나 주저하면서 그림을 그렸고, KFD는 거부하였으며, 지능검사 도중에는 자신의 생일에 대해서 대답을 하지 못하였고 전반적으로 검사에 자신없는 태도를 보임. 3. 검사결과 ① BGT : 다각형의 겹쳐 그리기 등에서 오류를 보이는 등 시각운동협응력에서 문제가 시사, 회상 시에는 2개를 외상하고 있어 시각기억력의 약화보임 ② K-WISC-III : 전체지능 49이하/언어성지능 51이하/동작성지능 51이하, 인지적 자원이 매우 빈약하여 ‘ 경도의 지체 수준이하’ 로 나타남 ③ 기초학습능력검사 : 현재의 학력 배치수준은 [2,6]으로 실제 학년인 6년에 비하여 상당히 저 조한 수행능력 ④ 정서평가 : 자아탄력(32T)이 아주 낮게 평가되었으며 운동발달(60T) 및 언어발달(65T)에서도 다소 지연을 보임, 특히 평소 얌전한 행동특성에 비하여 과잉행동의 경우 임상수준까지 올라 간 것은 불안 및 우울 척도의 향상이 부주의한 행동을 높게 한 것으로 사려됨 ⑤ HTP : 그림의 크기가 작고 왼쪽에 편향되어 그렸는데 환경에서의 부적응과 과거로의 도피 성향과 함께, 아무도 살지 않는다는 굴뚝 있는 조그마한 집을 통하여 가정에서의 심리적 거리 감 표현, 나무의 뿌리는 불안함과 약한 자의식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음 4. 검사결과의 종합 정서적으로 우울감, 불안감 및 화가 내재되어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갈등이 시사됨. 제한된 지적 자원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부적 피드백을 받아왔던 것으로 보이고 이와 관련하여 자아 상도 부정적이고 갈등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가족과의 부정적 정서도 내재되어 있 는 것으로 보임, 이를 토대로 학교생활과 또래관계에서도 부적절감을 시사할 수 있음 5. 제언 인지적 결함을 보이는바 특수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자신의 불만에 대하여 언어적 해소가 아 닌 공격행동으로 나타나는바 자기주장훈련을 통하여 자기표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고, 가족 의 역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가족상담과 함께 이루어져야 함. 지속적 운동을 통하여 협응력 향 상이 요구되기도 함 |
⑤ 결과상담 단계
- 보고서에 제시된 바를 명확하게 설명
- 이해를 돕고자 검사용지를 제시하거나 검사 도구를 보여주기
- 검사결과를 토대로 권고사항에 대한 상담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5. 지적장애의 진단 (12) | 2023.08.06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4. 지적장애의 정의 및 분류 (23) | 2023.08.05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2. 특수아 영역별 진단과 평가 : 심리검사 (21) | 2023.08.03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1. 진단과 평가의 개념 (19) | 2023.08.02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0. 특수아 상담의 과정과 기법 (17)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