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특수아 상담의 과정과 기법
1) 상담의 과정 : 초기 → 중기 → 종결
① 초기 : 상담신청과 접수면접으로 시작
- 내담자의 이해 : 내담자가 자기를 있는 그대로 공개하도록 돕기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자기공개에 귀 기울이면서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왜 왔는
지, 어려움이 왜 반복되는지 이해
- 상담의 목표 설정 : 내담자가 원하는 변화를 이해하고 그것을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설정
- 상담의 구조화 : 상담에 참여하는 방식과 과정을 실천하는 일정한 양식과 틀을 정하기
상담의 시간, 장소, 기간, 요금 등의 물리적 요소
만남의 조건, 행동의 제약, 비밀유지 등의 심리적 요소
- 내담자와의 합의 : 문제, 목표, 역동, 방법, 과정 등에 대한 내담자와의 합의에 이해 도달
② 중기 :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작업 단계
- 내담자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 내담자 자신의 관점이나 태도가 문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탐색
- 감정적 표현을 통한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인식
- 통찰과 수용을 통한 내담자 스스로의 감정 조절과 능력 향상
③ 종결 : 상담은 언제 끝날 것인가 → 상담목표의 달성정도
- 여러 단계를 거친 종결의 과정
- 초기 단계에서 합의된 목표의 달성여부 확인하고 종결여부에 대한 평가
- 추후 상담의 가능성 열어두기
2) 특수아동상담의 과정
① 래포형성 : 상담자와 내담자의 동맹 및 신뢰관계
- 상담과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감
- 내담자에게 주의를 집중하고, 내담자를 무조건적으로 존중하고, 내담자의 입장을 수용하며, 내담자에
게 정확한 공감을 보여주기
- 추상성이 강한 언어보다는 구체적인 언어, 정교한 언어보다는 간결하고 명료한 언어, 관심과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한 언어보다는 도구 활용
② 문제의 규정과 역동의 확인
- 내담자가 지닌 문제를 확인하고, 문제를 유발시킨 개인의 특성과 환경간의 역동성 확인
③ 구조화 :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키는 상담의 틀
④ 5목표수립 : 실현 가능한 구체적은 형태로 진술
-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가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목표
⑤ 목표달성을 위한 기법의 활용
- 언어적 기법보다는 비언어적 기술(도구) 등을 활용하여 표현하도록 유도
⑥ 상담의 종결
- 장애아동, 장애아동의 부모, 상담자 합의하에 상담의 종결 시점 결정
- 종결된 이후 추후 상담가능성 안내
3) 상담의 기법 : 비언어적 기법과 언어적 기법
① 신체적 주의 기울이기(Egan, 1994) : SOLER
- 내담자와 정면으로 마주하기(Sequarely)
- 개방된 자세 유지(Open)
- 약간 앞으로 기울이는 자세 유지(Lean)
- 눈길을 마주하기(Eye)
- 이완된 자세 유지(Relaxed)
② 심리적 주의 기울이기 : 활기있고 따뜻한 표정, 고개의 끄덕임, 간단한 반응
③ 명료화 : 모호한 진술 다음에 사용되는 질문형태의 기법
④ 환언하기 : 내담자의 진술을 상담자가 그대로 다시 말하거나, 동일한 의미의 다른 말로 바꾸어 말하기
⑤ 반영 : 내담자의 말, 생각, 느낌, 행동 등을 거울처럼 비추어 내담자에게 되돌려주기
⑥ 요약 : 둘 이상의 언어적 표현들을 서로 묶어서 정리해 말해주기
⑦ 질문 : 내담자에 관한 정보 수집, 생각이나 감정을 탐색하기 위한 기법
-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 직접적 질문과 간접적 질문
- 이중적 질문
- 왜로 시작되는 질문
- 질문공세
⑧ 직면 : 언어적 진술과 비언어적 진술 사이에 불일치나 상충되는 부분이나 모순점에 대한 진술
⑨ 해석 : 내담자의 행동에 대한 가능한 설명이나 연관성 여부의 지적
⑩ 경청 : 소극적 경청과 적극적 경청
- 내담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소리와 듣고 싶어하는 소리 찾아서 듣기
4) 치료를 위한 조건
① 정확한 공감적 이해
- 사람을 대하는 대단히 진지한 태도
- 상대방의 입장을 진심으로 생각하기
②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수용, 배려, 존중)
- 내담자를 평가 및 판단하지 않고 내담자가 보이는 어떤 감정이나 행동 특성들도 그대로 수용하여 소
중히 여기고 존중하는 상담자의 태도
③ 진솔성(일치성, 진실성)
- 상담자가 매 순간 자신의 경험을 알아차릴 수 있고, 상담관계에서 그것이 나타나도록 내담자에게 전
달하는 것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2. 특수아 영역별 진단과 평가 : 심리검사 (21) | 2023.08.03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1. 진단과 평가의 개념 (19) | 2023.08.02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9. 특수아 상담의 유형과 원리 (21) | 2023.07.31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8. 특수아 상담의 정의와 목적 (23) | 2023.07.30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7. 통합교육 (1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