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1. 진단과 평가의 개념

728x90
반응형

11. 진단과 평가의 개념

1) 진단과 평가의 의미
① 특수아동의 발견과 교육 및 상담 계획서 작성을 비롯하여 효과측정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적용하
기 위해 상태와 상황의 파악
② 정확한 파악을 위해 대체적으로 객관적인 검사도구를 사용


2) 진단과 평가의 목적
① 아동을 특수교육의 대상자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결정
② 아동이 과거나 현재의 수행수준이 미약함에도 앞으로 더 높은 성취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③ 손상된 기능 영역 중에서 회복이 가능한 영역의 변별
④ 아동의 회복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강점의 확인


3) 진단과 평가의 방법
① 표준화검사 : 형식적 평가
- 표준화된 검사를 활용하여 평가
- 검사의 제작단계에서 검사의 구성요소, 실시과정, 채점 방법, 채점에서 결과 해석에 이르기까지 구조
화된 절차
- 결과 해석을 위한 표본샘플로 규준이 작성되어 있으며, 같은 연령, 같은 학년 수준의 다른 아동들과
비교하기 위해 발달점수, 연령점수, 학년점수, 퍼센타일점수 등으로 구성되어 해석
- 검사 실시의 간편성,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추어 객관성의 확보
-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내담을 하는 등의 피험자의 의도개입이 있을 수 있으며 검사제작에 있어 문항
내용의 제한성

② 관찰 : 직접관찰을 통한 정보수집
- 평가항목이 없는 특이 행동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는데 활용
- 결과물의 관찰, 사건 혹은 시간 중심의 관찰
-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한 구체적 조작적 정의 이후, 그 정의에 따른 행동에 빈도수, 속도, 비율, 지속
시간, 위치, 등의 기록
③ 면접(interview)
- 자유롭고 융통성 있는 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개인의 정보, 태도, 신념 등의 확인
④ 검목표(checklist)
- 대상아동의 일상 혹은 특정 상황에서 나타나는 관찰 행동을 측정
- 검목표에 표시된 대상자의 특성이나 발달단계의 행동을 열거한 목록의 평가를 통하여 해당영역의 특
성 파악
⑤ 질문지
- 질문에 직접 반응할 수 있도록 작성된 방법으로 당사자 혹 보호자의 표기


4) Cross & Goin(1975)이 제시하는 특수아동의 진단과 평가 단계
① 선정(locating) : 지역사회에서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아동과 접촉 시도(서비스에 대한 대중적 인식
제고)
② 선별(screening) : 심도 있는 조사를 필요로 하는 아동을 선별
③ 진단(diagnosis) : 의학적, 발달적, 교육적 손상의 범위 판정하여 처치 프로그램 배치 결정
④ 평가(evaluation) : 특별 프로그램의 실시 및 종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