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지적장애의 정의 및 분류
1) 지적장애의 정의
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 지적기능과 적응행동상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하여 교육적 성취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② 장애인복지법(2010)
-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고 자신의 일을 처리하
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
③ 미국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협회(2010) <2010년 지적 장애 : 정의, 분류, 및 지원체계>
- 지적장애는 지적기능과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기술로 표현되는 적응행동에 있어서의 심각한 제
한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며 18세 이전에 나타난다.
▪ 개인이 현재 나타내고 있는 기능상의 제한성은 그 개인의 동년배 문화에 전형적인 지역 사회 환경맥락 안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 ▪ 타당한 진단평가를 위해서는 개인의 의사소통 능력, 감각능력, 운동능력, 행동 요인들에서 의 차이뿐만 아니라 문화적 및 언어적 다양성도 고려되어져야 한다. ▪ 개인이 보이고 있는 특정 능력에서의 제한성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 다른 강점도 함께 있을 수 있다 ▪ 개인의 제한성을 기술하는 주된 목적은 그 개인에게 필요한 지원이 무엇인지 그 윤곽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개별화된 적절한 지원이 장기간 주어지면, 지적장애인의 생활 기능성은 일반적으로 향상 될 것이다. |
2) 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 명칭 변경
- 국제보건기구나 미국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협회에서 설명하는 최근의 장애개념을 더 반영
- 기능적 행동과 상황적 요인을 강조하는 것이 임상장면의 실제와 맞음
- 사회생태학적 틀에 기초한 용어로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논리적 기초를 제공
- 장애인 당사자에게 덜 불쾌하게 느껴짐
- 국제적 용어와의 일관성이 더 높음
▪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 장애를 개인 안에 내재하는 결함으로 인식 ▪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 환경적 맥락에서의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 일반아동과의 조기통합교육 |
3) 지적장애를 정의할 때 중요한 점
① 지적 기능 : 개인이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의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총체적 능력
- 유의하게 평균이하인 지적 기능 : IQ 검사에 의해 결정(70~75)
- 표준편차 2이하를 지적장애로 규정
② 적응행동 : 한 개인이 가정 및 사회생활 등의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삶의 변화와 환경적
요구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성 기술이 포함되며 적응행동검사를 통하여 측정
- 6시간 정신지체 : 학교에서의 6시간은 정신지체가 있지만 그 외의 시간 동안 생활에 아무 문제가 없
는 아동을 정신지체로 분류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에 따라 일상생활에의 적응능력 고려해야 함
- 표준화된 측정 :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행동 중 하나가 평균이하 표준편차 2이하
- 사회성숙도검사, 한국판 적응해동검사, 지역사회적응검사, KISE적응행동검사
4) 지적장애의 분류
① 미국지적장애 및 발달장애협회의 지적장애의 분류(2010)
- 간헐적 지원(경도, mild) : 필요한 때에 제공되는 지원으로 간헐적 성격의 특성을 지니며 개인이 항상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생의 전환기에 단기간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의미, 지원
이 고강도 혹은 저강도로 제공될 수 있음
- 제한적 지원(중등도, moderate) : 일정한 시간에 걸쳐 일관적으로 그러나 간헐적인 아닌 시간제한적인
것으로 지원 제공
- 확장적 지원(중도, severe) : 적어도 몇몇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요구되는 지원으로 시간제한적 아님
- 전반적 지원(최중도, profound) : 항구성을 지니는 고강도의 지원으로 전반적 환경에 걸쳐서 제공되며
잠재적으로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성격의 특성을 지님
AAIDD 분류의 한계 ▪ 지원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지원강도척도가 사용, 가정생활, 지역사회생활, 평생교육, 고용, 건강 및 안전, 사회활동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영역과 관련된 지원 요구를 빈도, 시 간, 유형의 세 가지 축으로 측정 ⇒ 측정의 어려움 |
② IQ검사에 의한 분류
- 경 도(Mild) 지적장애 : 지능지수의 -2 표준편차에서 -3 표준편차
- 중등도(Moderate) 지적장애 : 지능지수의 -3 표준편차에서 -4 표준편차
- 중 도(Severe) 지적장애 : 지능지수의 -4 표준편차에서 -5 표준편차
- 최중도(Profound) 지적장애 : 지능지수의 -5 표준편차 이하
표준편차가 15로 구성된 지능검사 ▪ 경도 지적장애는 IQ70-56 ▪ 중등도 지적장애는 IQ55-41 ▪ 중도 지적장애는 IQ40-26 ▪ 최중도 지적장애는 IQ25 이하 |
③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지적장애 분류
- 지적장애 1급 : 34 이하의 지능지수를 가진 자로서 일상의 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이 뚜렷하게 곤란
하여 평생 동안 독립이 어려우며 타인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수준
- 지적장애 2급 : 35 이상 49 이하의 지능지수를 가진 자로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
고, 어느 정도 지도와 감독을 받으면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지 않는 단순한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수준
- 지적장애 3급 : 50 이상 70 이하의 지능지수를 가진 자로서 교육을 받으면 어느 정도의 사회적· 직
업적 재활이 가능한 수준
④ 최근의 분류
- 중도지적장애 < 의사소통과 사회성 기술에서 확장적 지원이 필요한 지적장애로 표현
- 지적장애를 개인의 내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문제로 보는 시각 반영
- 사회적 관점에서 지원에 초점을 두어 생각하는 관점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6. 지적장애의 원인과 특성 (20) | 2023.08.07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5. 지적장애의 진단 (12) | 2023.08.06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3. 진단과 평가를 위한 검사 (12) | 2023.08.04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2. 특수아 영역별 진단과 평가 : 심리검사 (21) | 2023.08.03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11. 진단과 평가의 개념 (19)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