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1부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와 발전
크게 미국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단계를 4가지로 구분한다.
시각교육, 시청각교육, 시청각커뮤니케이션, 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이다.
1] 시각교육 1900-0930년대 -> 미국의 교육공학이 출발하게 된 처음 시발점이다.
■ 1900년대
-박물관 시설물을 학교교육에 활용 시도
-공교육에 슬라이드, 필름, 표본, 수집품 등의 교수매체 도입
■ 1910년대
-학교교육의 필름을 처음사용
-시각교육 관련 전문단체 설림
-사진, 영화필름에 관한 교사연수 실시
■ 1920년대
-시각수업에 관한 정기간행물 발간 →시각교육에 과한 체계적인 연구
-각종 시각적 매체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관심 증대
-미국의 전국교육연합회 산하에 ‘시각교육국’ 설립
■ 호반[Hoban]과 동료들
-학교 교육과정에 시각자료를 통합하고자 시도
-시각자료를 사실성의 정오에 따라 분류
2] 시청각교육(1930년대 말 - 1940년대 말)
■ 1930년대 말 [제2차 세계대전 전후]
-군사교육: 기존의 무성영화에 청각적 자료를 통합한 교육용 영화필름 활용
-OHP, 슬라이드 프로젝터 개발 ‧ 보급
■ 1947년
-‘시각교육국’ 이 ‘시청각교육국’ 으로 확대. 개편
-시청각 교재와 교구의 활용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 및 활동수행
-시청각 매체는 여전히 수업의 보조적 수단
뿐만 아니라 시청각 매체의 결과물인 자료나 어떤 산출물 이런 것들을 주로 강조를 했기 때문에
단적인 제한 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시청각 교육과 관련해서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 교육매체를 분류 대표적인 학자가 데일인호반과 동료들의 아이디어를 조금 더 발전시켜서 교육매체를 하나의 모형으로 교육매체를 분류 화 시켜놓은 대표적인 모형데일의 경험의 원추 가장 밑의 직접적. 목적적 경험이 경험의 넓이가 가장 넓고, 이것은 또한 그 경험을 하는 시간도 동시에 나타내 준다. 즉 위로 갈수록 경험의 시간과 시간이 짧아지는 의미임
어떤 경우, 어떤 학습자의 수준에서는 중간 수준의 사실성의 매체로 그 구체성을 학습하도록 할 수 또한 데일이 제안했던 경험의 원추 브루너가 제안했던 인지지적인 학습단계 관련성을 설정했다는 것이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브루너가 제안한 인지적 학습단계, 행동적 단계는 영상적 단계는 상징적 단계는 말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행동적 단계 + 직접적.목적적 경험 / 구성된 경험모형, 실물표본 / 극화된 경험
@ 영상적 단계 + 시범/ 견학/ 전시/ TV/ 영화/ 녹음, 라디오, 사진
@ 상징적 단계 + 시각기호, 언어기호
3] 시청학 커뮤니체이션(1950년대 초 - 1960년대 말)
■ 1950년대 초
-1953년 미국에서 ‘Audio-Visual Communication Review'발간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시각과 관점을 시청각 매체의 활용 분야에 적용
-다양한 상호작용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변환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두 개<쉐논과 슈람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다.
중요한 시사점 하나는,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서로의 경험의 장이 많이 공유되면 공유될수록 송신자의 메시지가 그대로 송신자에게 잘 전달이 되고 반대로 이런 경험의 장이 많지 않으면 서로 오해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 두 번째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벌로가 제안한 커뮤니케이션 모형>이다.
그의 모형은 Sender- Message-Channel-Receiver 의 단어 첫 자로 SMCR 모형이라고도 한다.
※ send·er[sendə(r)] 송신자, 보내는 사람, 발송자
message [mesɪdƷ] (글・말로 된) 전갈[메시지/성명]
channel [tʃӕnl] (텔레비전・라디오의) 채널
re·ceiver [rɪ‘si:və(r)] 수신자 / (전화의)수화기
이모형의 주요 하위 요소들송신자 전달내용 통신방법 수신자가 있는 네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의사소통이 일어난다.
그 대표적인 것들이 그 송신자가 가지고 있는
@ 통신기술 즉 말하고 듣고 쓰는 능력을 나타낸다.
@ 그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또 그 내용을 받게 될 수신자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지 하는 것들이 또 영향을 미치게 되고
@ 전달하는 내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는지 하는 수준도 영향을 미친다.
@ 송신자가 속한 사회제도에서도, 어떤 가치관, 종교는 어떠한 것인지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송신자가 일상생활을 하는 문화양식에서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위요소들을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내용들 메시지를 실제로 통신내용으로 전환시킬 때 송신자의 전달내용과 관련해서는 하위요소가 5가지로 내용, 요소, 처리, 구조, 기호 즉
@ 내용은 전달하고자 하는 실제 의미자체
@ 요소는 전달되는 양태, 형식으로 그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예) 말, 글, 몸짓, 표정
@ 처리는 그런 내용이 전달되는 방식으로 볼 수 있고
@ 구조는 실제 그 내용들을 어느 정도나 하위부분들로 나누어서 그 부분들을 어떤 순서로 조직해서 전달할 것인가 하는 것들을 나타내는 것
@ 기호는 요소에서 보았던 말, 글, 음악, 소리 이런 형태들을 다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요소들을 통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통신 방법을 통해서 수신자에게 전달되는데
통신방법에 해당되는 것은
@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이러한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서 수신자에게 전달이 되고
전달된 통신내용은 그 수신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하위요소들,
@ 송신자의 하위요소들과 같은 것으로서 송신자와 마찬가지로 그 요소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전달 된 내용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해독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의사소통이 일어난다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모형은 어떤 의사소통과정이라든지 또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제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교수학습과정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이러한 의사소통이 일어날 때, 어떤 요소들을 강조해야 하는지 어떤 요소들을 고려해야 되는지 라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해 주고 있다.
그래서 몇 가지 특징들을 보면,
교수자와 학습자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강조
교육교수학습과정에서도 교육내용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
이제는 촉각, 후각, 미각 이런 것들을 통해서도 어떻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들에 대한 관심을 가짐으로써 경험의 범위를 확대
교수자로부터 학습자로 의사소통이 되는 그러한 쌍방향의 의사소통을 강조 위의 노란 띠들의 시사점을 제안해 준 것이 벌로가 제안한 커뮤니케이션 모형이다.

■ 1960년대
-교육에 ‘체제’ 개념 도입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활발
-행동주이 이론에 가반한 프로그램 수업과 교수기계 개발
교수기계이다.
최초의 개별화 수업이 가능하게 한 기계였다.
학습내용을 교수기계가 가르쳐주고 학습자들이 반응하고 그 반응이 맞았는 지 틀렸는지 확인 할 수 있는 정답을 제시해 주고 즉 교수매체가 수업의 수단이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교수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계기
4] 교수공학 및 교육공학(1970년대 - 현재)
■ 1970년대
-‘시청각교육’ 이 ‘교육공학회’로 변경
-‘교수공학(instructional technology)' 이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 실행. 평가하는 것을 강조
■ 1990년대 이후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 개발 ‧ 활용 ‧ 관리 ‧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
-학교교육, 기업교육, 군대교육, 평생교육 등 다양한 교육분야에 적용
1970년 최초로 교수공학이란 말을 본격적으로 사용
2.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1] 태동기(1950년대 초 - 1960년대)
■ 1951년
-‘한국시청학교육회’ 발족 : 시청학교육의 이론과 칠천에 관한 조사연구, 계몽, 보급
-매일 15분씩 국영부산방송국에서 ‘라디오 학교’ 프로그램 방송
■ 문교부 산하 ‘시청각교육원’ 설립(1957년)
-시청각교육 전문가 양성 목적
-각 급학교에 시청각교육 전담교사 배치 및 시청각실 설치 (1963년)
-매일 1기간씩 교과목 라디오 방송 시작 (1963년)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TV 학교방송 시작 (1970년)
2] 성장기(1970년대 - 1980년 초)
■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도입
-‘한국행동과학연구소’ (1968년 설립)
-프로그램 수업의 원리 강조
■ ‘한국교육개발원’ 설립(1972년)
-라디오 및 tv 학교방송 프로그램의 기획 및 제작 전담
-체제적 관점에 기초한 새로운 수업체제모형 개발 ‧ 보급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1972년)
-고등교육의 기회 확대 및 계속교육을 통한 평생교육
-우리나라 대표적인 원격교육기관
-인쇄매체, 라디오, tv, 컴퓨터, 인터넷 등 활용
3] 성숙기 (1980년대 중반 - 199년대 중반)
■ 우리나라 최초로 ‘교육공학’ 설립 (1984년)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 ‘한국교육공학회’ 발족 (1985년)
-월례 ‧ 연차 연구회의,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개최
-학술지 ‘교육공학연구’ 발간
■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강조
-컴퓨터보조수업(CAI,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교육용 멀티미디어 등장
* 성숙기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이르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가장 최초의 대표적인 계기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984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한양대학교 사범대학에 교육공학과가 설립된 것이다. 이것은 교육공학분야가 성숙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컴퓨터 기술이 굉장히 발달하면서 이제는 컴퓨터를 통한 프로그램이 문자나 그래픽으로 만 구성해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들을 포함한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음성 이런 것들을 아주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해서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학습내용을 전달해 줄 수 있도록 컴퓨터기술이 발전하게 되어 이 성숙기에 활발하게 활용되었던 중요한 현상 중에 하나이다.
4] 도약기 (1990년대 후반 - 현재)
■ 교육정보화 사업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 환경 구축
-교육용 멀티미디어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컴퓨터 관련 교육과정의 강화
-정보교육 담당교원 양성 및 교원연수
이런 교육정보화 사업을 진행을 할 때 교육공학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이 사업에 함께 결합해서 일을 진행을 했고 또 그럼으로써 성공적으로 마무리 진행될 수 있도록 큰 기여를 했던 것이 교육전문가들의 역할이라고 불 수 있다.
■ 교육공학 관련 학과 및 학회 설립
-전국 4개 대학에 ‘교육공학과’ 설립
-전국 14개 대학에 ‘컴퓨터교육학과’ 설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전국학교컴퓨터교육연합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원, 한국기업교육학회, 한국산업교육학회 등 설립
■ 강의 내용정리
1.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시각교육 -> 시청각교육 ->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 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2. 한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태동기 -> 성장기 -> 성숙기 -> 도약기
Ⅰ.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은 1910년대부터 이루어진 시각교육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시각교육 -> 시청각교육 ->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시청각매체의 등장) (커뮤니케이션 및 체제이론)
그 이후 교수체제설계 및 개발이론이 도입되고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 관점의 교수학습체제의 성격이 강조되면서 교수공학 또는 교육공학의 학문적 체계가 정립되기에 이르렀다.
Ⅱ. 한국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
우리나라의 교육공학은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대 초에 시청각교육이 도입되었던 것을 계기로 교육공학의 역사가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초 : 시청각교육이 중심이 된 태동기
1960년대 : 프로그램 수업이론이 도입되고 수업체제 개발이 확산되던 1960년대에 이르는 동안 성장기를 맞게 됨
1980년대 : 교육공학 연구가 활성화되고 연구영역이 확대되면서 교육공학의 성숙기가 도래
1990년대 중반 : 1990년대 중반 이후 교육정보화 사업과 사이버교육의 확산으로 인해 교육공학의 도약기를 맞고 있음
* 심화학습
브루너(Bruner)의 저서나 그의 인지학습 이론에 관한 자료들에서 지식의 표상양식에 관한 브루너(Bruner)의 설명을 읽어본 다음,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Cone of Experience)에 제시되어 있는 교수매체들의 구체성과 추상성을 브루너(Bruner)의 지식의 세 가지 표상양식에 비추어 이해할 경우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을 가르치는데 어떤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본 뒤 동료들과 토론해 보시오.
Tip:
'Dale의 경험의 원추'와 'Bruner의 지식의 표상양식'의 내용을 비교하여 생각해보세요.
- Dale의 경험의 원추 Vs Bruner의 지식의 표상양식

<2강. 연습문제-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
1. 미국 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① 시각교육-시청각교육-시청각 커뮤니케이션-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② 시각교육-시청각 커뮤니케이션-시청각교육-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③ 시청각 교육-시각교육-시청각 커뮤니케이션-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④ 시청각 교육-시청각 커뮤니케이션-시각교육-교수공학 및 교육공학
2. 데일의 ‘경험의 원추’에서 브루너의 지식의 표상양식 중 상징적 단계에 해당하는 매체는?
① 시범
② TV
③ 녹음
④ 시각기호
3. 벌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이 초기 교육공학의 개념형성에 기여한 점이 아닌 것은?
① 송신자와 수신자가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점
② 일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
③ 메시지가 내용, 요소, 처리, 구조, 기호 등 다각적인 형태로 구성된 점
④ 시각과 청각 이외에도 촉각, 후각, 미각 등이 포함되어 경험의 범위를 확장시킨 점
4. 매체나 고안물과 같은 하드웨어적 성격에서 벗어나 특정 학습목표를 토대로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실행, 평가하는 소프트웨어적 관점으로 교수-학습과정을 이해하게 된 시기는?
① 1930년대
② 1950년대
③ 1970년대
④ 1900년대
5. 한국교육공학의 역사적 발전을 시기별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태동기, 성장기, 성숙기, 도약기의 네 단계로 분류할 때, ‘성장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세 기관은 무엇인가?
[정답] 1.① 2. ④ 3. ② 4. ③
5.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교육공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교수설계이론과 모형 (0) | 2022.05.15 |
---|---|
알기쉽게 정리한 교육공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요구분석 및 과제분석 (0) | 2022.05.14 |
알기쉽게 정리한 교육공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교수체제설계 (0) | 2022.05.13 |
알기쉽게 정리한 교육공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3.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0) | 2022.05.12 |
알기쉽게 정리한 교육공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