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복지, 경영학, 사회학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1장. 사회문화 일반론

728x90
반응형

11장. 사회문화 일반론


1. 사회문화의 개념과 특징 및 속성
1) 사회문화의 개념
사회문화란 말은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일상용어로서 쓰이는 의미와,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의미가 다르고, 또 인
류학에서 쓰이는 의미가 다르다.
① 일상용어로서의 문화는 좋은 취미, 또는 깨끗한 것, 질서 정연한 것 등의 의미로 쓰인다.
② 인류학에서는 포괄적 의미로서 사용된다. 프랑스 문화, 동양문화라고 하듯이 문화를 “ culture-as-everything"
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학에서는 문화라는 용어를 한정해서 사용한다.
③ 사회학자들은 문화를 지식과 가치체계로 파악한다.(culture-as-knowledge-and-belief-systems)
- E.타일러의 정의
: 사회성원으로서 인간에 의해 획득된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 기타의 능력이나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총합체를 말한다.


2) 사회문화의 특징 및 속성
(1) 공유성
문화가 사회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청소년문화는 성인과는 달리 청소년들 사이에
서만 공유되는 행동양식, 사고방식 등 여러 가지 청소년 집단의 특성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2) 다양성
환경에 대한 적응방식이 사회에 따라 상이한 것처럼 문화도 한 가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인사방
식이라든가, 음식에 대한 금기사항이 사회마다 다르듯이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 이라는
하나의 집단 카테고리는 성별, 학급별, 지역별, 관심영역별 등 다양한 기준에 의해 세분화될 수 있으며, 청소년 내
부에서도 다양한 문화가 존재할 수 있다.

 

(3) 학습성
학습성이란 문화는 일상생활을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하는 학습의 과정을 거친다. 즉 새로운 세대는 기성세대의
문화를 학습을 통해 습득하는데, 이를 사회화 또는 문화체계라 부른다.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 문화과정은
단일 집단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청소년들이 속해 있는 다양한 사회집단에 참여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학습하게
된다.

 

(4) 축적성
문화가 세대변화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해져 가면서 새로운 지식들이 기존 문화에 추가되고 축적된다는 것을 말
한다. 청소년 문화도 나름대로의 집단문화를 공유하고 집단의 규율이나 관행 등의 지속되며 이는 쉽게 변화되지 않
는다.

 

(5) 전달성
기존
의 문화는 머물러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다음 세대로 전승되면서 발전해 나간다는 것을 말한다.

 

(6) 체계성 또는 총체성
한 사회집단의 문화는 수많은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긴밀한 관
계를 유지하면서 하나의 전체 또는 체계를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 문화의 특성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다양
한 사회문화적 환경, 제도, 관행 등에 대한 총체적 파악과 청소년 문화를 둘러싼 다양하고 복잡한 맥락에 대한 이
해가 필요하다.

 

(7) 가변성 또는 변화성
문화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문화는 축적되면서도 어떤 형태의 문
화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즉 문화는 축적되고 지속적으로 계승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변화를 수반한다. 이때 한
사회문화는 다른 문화를 모방하여 새로운 문화로 변하기도 한다.

 

3. 사회문화의 구성요소와 형성요인
1) 사회문화의 구성요소
① 상징 : 인간만이 상징을 만들고 전달하고 해석할 수 있다. - 대차적 존재∨
② 언어 : 상징이 보다 더 구체적으로 된 것
Sapir-Whorf가설 :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현실은 언어에 의해 이해되고, 재구성된다. 언어가 다른 사회는 성원들
이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도 다르다.
③ 가치 :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바람직하고 나은 것인가에 대한 한 사회를 공유하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
가치관이 없으면 시행착오만을 거듭하게 됨. 이미 행해진 행동을 합리화시킴. 포괄적인 지향점을 제시
④ 규범(Norm) : 구체적인 행동 하나하나를 제시하는 행위에 대한 규칙
W.Sumner 습속(Folkways:
習俗) : 사회성원들이 오랫동안 시행착오를 통해 익숙해진 행동의 방식 = 관행, 관습,
습관,
常道(상식에 맞는 사람의 도리). 어겨도 다른 성원들에게 직접적 피해가 없음 → 제재도 약함 원규
(Mores :
原規): 한 사회를 유지, 존속시키는 중요한 행동규범. 어길시 직접적 피해가 크다.→ 제재가 강함
▶ 습속, 원규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사회, 시대에 따라 다르다.
ex) 자리양보가 예전에는 원규에 속했으나 지금은 습속. 다른 사회문화를 이해하지 못해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⑤ 법 : 규범에 대한 공식화되고 표준화된 표현양식
문제점 : 전통에 상반되거나 이해관계에 의해 제정된 법이 있을 수도 있다
ex)일제의 토지개발사업, 일본식 한자로 법제정
⑥ 제도 : 법을 포함해서 규범이 갖는 기능을 사회적으로 보다 구체화시킨 것
⑦ 테크놀로지, 물질문화
W.F.Ogburn의 문화지체현상 :물질문화의 속도에 비해 그에 상응하는 정신문화의 속도가 늦은 데서 나타나는 현상

 

2) 사회문화의 형성요인
① 인간의 생물적 조건-대개의 문화는 생물체 자신을 유지 존속시키는 목적. 의.식.주
② 주변의 자연환경을 이용(주어진 환경 내에서 선택)
③ 시간의 흐름
④ 정치, 경제적인 변화

 

4. 사회화를 통한 조직문화의 보존
(1)용어정의
① 사회화
사회와 상호작용을 이루는 것을 말하는데, 사회체제에 존재하고 있는 규범, 관습, 가치관 등에 적응하는 과정이다
(재사회화는 일차적으로 사회체제와의 관계에서 사회화를 이루고 사회 내의 특정 조직에 속해 있으면서 그 조직의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은 재사
회로 보아야 한다).
② 조직문화
재사회화를 이루는 틀로써 후속세대에게 전수되어 지속적으로 유지, 보존되는데, 모방과 학습에 의해 전이되기도
한다. 또한 조직에 대한 충성심과 복종을 유발시키고 조직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좌우하기도 한다.
③ 문화전수
문화전수의 핵심과정은 사회화(socialization)인데, 사회화는 문화보존의 수단이면서 문화를 바꾸려는 의식적인 전
략수단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⑵ 의 의
① 조직구성원들은 사회화를 통해 필요한 가치, 능력, 대인관계에 필요한 지식 등을 습득한다(엄밀히 말하면 재사회
화). 구체적으로 자기의 역할과 기능행태를 익히고 업무수행능력을 증진시키고 규범과 가치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
② 사회화는 후속세대나 신참자의 문화변용 또는 문화접변(다른 문화와의 접촉으로 인한 변화현상 또는 변용과정,
acculturation)을 일으켜 조직 전체의 문화적 통합성을 유지시킨다.
⑶ 신참자가 조직에서 겪는 문화변용의 양태
① 동화(assimilation)
신참자의 인식이나 가치관이 조직의 문화에 일방적으로 흡수 또는 적응되어 신참자와 조직의 문화적 차이가 사라
지는 결과이다(
어떤 공무원이 조직에 자신의 가치관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② 격리(separation)
신참자가 조직문화를 거부하여 자신의 문화를 유지하려 하거나 조직문화에 적응하려는 능력이나 의욕이 없어 그
들을 어떤 직무영역에서 분리 또는 고립시키는 것이다(제재형식을 취한 한직으로의 좌천 등).
③ 탈문화화(deculturation)
조직의 문화나 신참자의 개인문화 모두 신참자의 행태를 지배하지 못하고 그 영향력을 잃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
으로서 조직구성원의 문화적 정체성은 모호해진다(
조직의 문화나 신참자의 문화가 다 같이 그의 행태를 지배하
는 영향력을 잃을 때 나타나는 반응).
④ 다원화(pluralism)
적응과정에서 조직문화와 신참자의 개인문화가 서로 상호 장점을 수용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어떤 구
성원이 조직문화의 장점을 배우려는 노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