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개론

사회복지, 경영학, 사회학 등 사회학개론 핵심 요점 정리 13장. 사회화의 개념과 인격발달

728x90
반응형

13장. 사회화의 개념과 인격발달

1. 사회화 개념 및 의의
사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관점은 인간은 다른 사람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고는 결코 사람다운 사람이 될
수 없다는 생각이다. 사람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가 바라는 “ 사람다운 사람” 으로 성장하는 과
정을 사회화라고 한다.
즉 인간이 인간답게 되어가는 과정. 생물적 욕구를 충족 → 사회의 양식을 습득
문화를 내면화하는 과정. 지위에 알맞은 역할을 습득하는 과정


2. 사회화를 담당하는 기관과 생애주기
1) 사회화를 담당하는 기관(agency)
① 가족 -동일한 사회화 방식을 갖는 것이 아니다(계층에 따라 차이)



② 학교
Bowles and Gindis:학교교육을 통해 기존의 사회계급 구조가 재생산된다. 학교자체가 교육방식을 달리함


③ 매스미디어 TV 등
④ 동년배(peers)
전통사회 - 일가친척, 부모들에 의해 교육전담
현대 - 동년배가 가장 영향을 많이 주고받음. 기성세대와의 생각 적 차이로 동년배가 영향을 많이 미침.
동년배와 어울릴 수 있는 여건이 많다.

 

2) 사회화와 생애주기
① 성인사회화(제2차적 사회화): 성인된 순간부터의 사회화
옛날 :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현대 : 변화무상한 시대 → 계속적인 사회화 필요
② 재사회화 : 기존가치나 규범과는 전혀 다른 가치나 규범을 습득해 가는 것. 전통사회에서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현대사회에서는 많다. ex)이민, 입대, 결혼
③ 중년위기(midlife crisis)
옳고 가치 있다고 느끼던 것이 중년쯤에 허무하다고 느끼게 됨. 상실감, 무력감, 허탈감. 착실하게 살아온 사람에
게 더 많이 나타남. 자기의 인생이 아닌 부모나 주위환경에 의해 맹목적으로 추구하던 것에 어느 순간 눈을 뜸.
보통 사춘기가 폭발시기이나, 착실했던 사람은 중년에 폭발
④ 노인들의 재사회화
어떤 사회적 지위에도 역할은 있는데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은 역할 없는 역할을 수행(roleless role) 사회적으로
정년이 되는 경우가 많은 65~66세에 사망률이 가장 높음 → 갑작스럽게 역할이 없어짐에 따른 심리적 타격


3. 사회화와 인격발달에 관한 이론
1) 쿨리(Charles H. Cooley)
자아개념은 타인의 눈을 통해서 인지된다고 본다. 그의 용어로는 “ 거울에 비친 자아” (the looking-glass self)이
다. 개인이 자신을 알 수 있는 방법은 타인의 마음속에 비쳐진 자신의 모습을 이해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타
인의 “나” 에 대한 평가는 그의 마음속에 그려져 있고, 나는 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그의 마음속에 그려진 나
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 타인의 마음이 곧 거울이다. 거울은 거울 앞에 선 사람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여
비추어 준다. 거울 앞에 서있는 사람은 거울에 비쳐진 자신의 모습을 보고 비로소 자신의 얼굴에 무엇이 묻었는지
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자아” (self)란 타인의 마음이라는 거울 속에 비쳐진 자신의 모습이다.

 

2) 미드(George H. Mead)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미드는 그의 저서 『 마음, 자아, 사회』 (Mind,
Self, and Society, 1934)에서 자아와 마음의 발생, 그리고 그것을 형성시키는 사회적 훈련과정을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① 갓 태어나 아기들 마음속에
自我란 없다. 자아란 부모와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비로소 형성되는 것이다.
② 갓 태어난 아기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과 타인을 구별조차 하지 못한다.
점차 자신과 구별되는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게 되면서 타인이 아닌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기에
自我槪念을 형성시키는 “중요한 他者” (significant others)가 된다.
言語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아기는 부모와 가족 이외의 다른 사람들과도 상호작용을 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자
아를 발전시키게 된다. 미드는 특히 언어와 기타 여러 가지 의사소통 상징들을 대단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들
상징을 매개로 하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어린이들은 자아개념이 확립되고 사회적 자아도 생겨난다.
④ 언어와 기타 상징을 이해하고 구사하면서 친구와 이웃 사람들, 그리고 사회의 일반인들과 상호작용의 폭이 확대된
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선과 악에 대한 개념이 발전한다고 한다. 사회와 일반인들이 자신에게 어떻게 행
동하기를 기대하는가를 파악하고 그 기대에 따라 행동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한 아기는 사회가 기대하는 사람
으로 성장하고 사회화되는 것이다. 이때의 사회와 일반인의 기대를 미드는 “
一般化他者” (generalized
others)라고 한다.
⑤ 미드는 자아(self)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아인 I와 객관적이고 객체로서의 자아인 Me로 구분한다. 한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I와 Me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비로소 한 사람의 인격체를 가진 진정한 인간이 된다.
I : 주체적이고 능동적이며 본능적인 자아를 말한다. 자기 스스로를 지배하는 독립적인 자아이다.
Me : 사회에 의하여 형성되는 객체로서의 자아이다. 자기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판단하는 객관적인 자아
이지만 자기 자신이 판단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되는 것이다.

⑥ 대부분의 사회화는 가족 속에서 아동기에 형성된다.

 

3) 프로이드(Sigmund Freud)
쿨리와 미드는 사회화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프로이드는 인간의 생물학적인 충동 즉
본능을 얼마만큼 충족했는가의 정도가 개인의 인격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특히 그는 5세까지
어린이의 욕구충족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그 영향이 평생 동안 지속된다고 보았다. 그에 의하면 갓 태어난 영아
는 입을 통해서 사물을 인지하고 입을 통해서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한다고 본다. 조금 더 자란 아기들은 항문을 통
해서 만족을 느끼고, 더 자란 아동은 성기를 통해서 만족을 느낀다고 한다.
각 단계에서 아동이 경험한 만족과 불만족의 정도가 잠복기를 거쳐 사춘기에 이르고 성인이 되면 아동기의 경험
이 인격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이와 같이 아기가 자라는 과정에서 매 단계마다 욕구를 충족하는 신체부위가
변하고 그 때마다 모든 단계에서 충분히 욕구를 충족한 아동은 원만한 인격이 형성되고, 불만이 쌓인 아동은
成人
이 된 후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애정결핍증, 결벽증에 시달리거나 사회질서를 안 지키는 등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프로이드는 자아개념을 id, ego, super-ego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Id : 본능적, 충동적인 자아이다. 인간 성장을 뒷받침하는 힘의 원천이다.
Ego : 이성적이고, 합리적, 타산적인 자아이다. Id의 충동을 통제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Super-ego : 사회적 양심으로 작용하는 초자아라고 한다. 선과 악을 판단하는 사회적 자아로서 사회적 산물이다.

 

4) 에릭슨(E. H. Erikson)
에릭슨은 프로이드와는 달리 개인의 인격발달은 일생을 통해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사람은 성장해감에 따라 주위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단계별로 겪게 되는 사회적 경험이 개인의
인격형성에 영향을 주고 이와 같은 과정은 일생 동안 계속된다고 한다. 에릭슨은 개인의 인격발달을 8 단계로 설명
했다.
① 영아기 : 신뢰감과 불신감 형성의 단계
② 아동기 : 자율성이 개발되는 단계이다. 꾸지람만 받고 자라는 아동은 죄의식이 형성되기도 한다.
③ 소년소녀기 : 자아정체감이 형성되기도 하고, 정체감 혼돈과 역할 혼돈에 빠지기도 하는 단계.
④ 청년기 : 친밀한 인간관계를 확립하는 단계이다. 애정이나 우정을 나누는 사람과 감추는 것 없이 모든 것을
다 드러내 보이면서도 부끄러움이 없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경험을 하지 못한 사람은 고립
감과 고독감을 경험하게 된다.
⑤ 장년기 : 자신보다는 자녀와 주위 사람들, 그리고 국가와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도움이 되어 주려고 노력하
는 단계이다. 반대로 자기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은 주위 사람들에게 외로움과 서운함을 느끼고, 자녀에
게 항상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⑥ 노년기 : 비로소 인격적 완성을 이룬다고 한다. 영아기에서 부터 불신감, 죄의식, 자아정체감의 혼돈, 고립감
을 경험한 사람들은 타인에 대한 배려보다는 자기몰두에 빠지고 생애의 마지막 단계인 노년기에 와서 절망
을 경험하고 일생을 후회하는 단계이다.

 

5) 행태론적 견해
행태론자(behaviorist)들은 상벌(賞罰)의 역할을 대단히 강조한다. 대표적인 행태론자인 스키너(Skinner)는 쥐나 비
둘기 등의 동물의 실험에서 상벌이 행동변화와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마찬가지로 어린아이들도 잘하는 행위에는
칭찬을, 그리고 나쁜 행위에는 벌을 주고, 이러한 과정이 일관성 있게 되풀이되면 부모에게서 인정받지 못하는 나
쁜 행위는 안 하게 된다는 것이다.

 

6) 모델론의 견해
반두라와 로스(Bandura and Ross)는 대부분의 성공적인 사회화는 어린이들이 成人의 행위를 모방하는 결과라고
본다. 모델이론에서는 성인의 역할이 강조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