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작물학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43. 완두

728x90
반응형

 

43. 완두

 

1. 내력과 생산 및 용도

(1) 명칭과 내력

학명 : Pisum sativum L.

내력 :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하는 남부 유럽

(2) 생산, 용도 및 특성

분포와 생산 : 서늘한 기후에 알맞고, 추위에도 강하다.

성분 : 완두의 주성분은 당질(53.5%)이며, 그 주체는 전분이다. 단백질도 풍부하지만 지질은 적다. 어린 꼬투리에는 단백질과 비타민 A, B,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재배 경영상의 특성

완두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여 추위에도 강하나 기지 현상이 심한 이유로 널리 재배되지 못하고 있다.

 

2. 형태 및 생태

(1) 형태적 특성 완두는 뿌리가 깊게 자란다. .;

뿌리 : 싹이 틀 때 1개의 곧은 뿌리가 나와 깊게 자란다.

종실 : 한 꼬투리에는 대체로 56개의 종실이 들어 있다.

(2) 생태적 특성 완두는 두류중 저온발아성이 가장 강하다.

발아

완두는 장명종자로서 수명이 36년 간 유지된다.

발아온도 : 최저 12, 최적 2526, 최고 3537이다.

개화 및 결실

자가수정, 한 개의 꽃피는 기간은 15일 정도이다.

 

3. 재배 환경과 품종

(1) 기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고온건조에는 알맞지 않다.

(2) 토양

토양 산도는 pH 6.58.0이 알맞으며 강산성 토양에 극히 약하다.

완두는 연작을 가장 싫어하므로 35년식 윤작을 하여야 한다.

(4) 품종 : 우리나라에서는 종래 경협 만성종이 재배되어 왔으며

 

4. 재배와 수확

(1) 작부 체계

완두는 연작을 하면 기지 현상이 심하여 생육 상태가 불량해지고 심하면 식물체가 왜화(矮花)하여 수량이 극히 감소한다. 따라서 윤작을 실시해야 하며, 산성 토양에서는 기지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므로 석회를 충분히 시용하여야 한다.

(2) 파종

파종기 : 3월 하순 내지 4월 상순

(4) 병충해 방제

완두 병해 : 갈색무늬병,흰가루병,바이러스병,탄저병,뿌리썩음병

(5) 수확 및 조제 : 6월 상, 중순경

꼬투리를 식용으로 할 때는 개화 후 15일경부터 꼬투리째 수확하고, 푸른 종실을 식용으로 할 때는 꼬투리가 변색하고 마르기 전에 수확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