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작물학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40. 땅콩

728x90
반응형

 

40. 땅콩

1. 내력과 생산 및 용도

(1) 명칭과 내력

학명 : Arachis hypogea L.

내력 : 땅콩은 남아메리카의 브라질이 원산지로 추정된다.

(2) 생산, 용도 및 특성

분포

땅콩은 고온 작물로서, 따뜻한 지방에서 많이 재배된다.

성분 : 땅콩은 4050%의 지방30%정도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비타민 B1도 많아 영영가가 높으며 특유한 풍미가 있다.

용도

종실이 큰 대립종은 볶아서 먹거나 과자, 엿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호 식품으로 가공하여 이용되고, 소립종은 기름을 짜거나 땅콩 버터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인다.

변질된 땅콩에서 아플라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생겨 사람과 가축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므로 저장 및 이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재배 경영상의 특성

생육 기간이 길고 연작을 하면 기지 현상이 발생한다.

단위 생산량이 많고, 특히 모래땅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콩, 팥 다음으로 재배가 많다.

2. 형태 및 생태

(1) 형태적 특성

뿌리 : 싹이 틀 때 1개의 곧은 뿌리가 나와 깊이 발달하고

: 1쌍의 큰 떡잎과 2쌍의 둥근 작은 잎이 달리는 겹입이 있고, 잎자루는 길고, 턱잎은 짧다. 작은 잎은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고, 취면 운동을 한다.

꽃은 노란 나비꼴로서 꽃자루는 없으며, 긴 꽃받침통이 있다.

수정이 되고 꽃이 떨어진 다음에는 씨방자루가 땅 속으로 들어가 꼬투리를 맺는다.

꼬투리 : 한 꼬투리에는 대체로 14개의 종실이 들어 있다.

(2) 생태적 특성

발아 12이상이면 싹이 튼다.

땅콩은 단명 종자로서 수명은 12년 정도이다.

발아온도 : 23(소립종), 2630(대립종)

종자의 휴면 : 땅콩의 종자는 휴면성을 지니고 있는데, 휴면 기간은 보통 소립종은 950일이나, 대립종은 110210에 이르는 것도 있다. 휴면 타파는 4045에서 15일 간 처리하거나, 3ppm 정도의 에틸렌 처리를 하면 효과적이다.

개화 및 수정

유효 개화 한계기 : 7월 상순8월 중순까지

주로 이른 아침에 꽃이 피며, 꽃 피는 기간은 6090일 이다.

자가 수정을 원칙으로 하며, 자연 교잡률은 0.20.5% 이다.

결협 및 결실

결협 : 결협률은 평균적으로 총 꽃수의 10%정도에 불과하다.

꼬투리의 발달 : 꼬투리는 씨방자루(자방병)가 땅속에 들어간 후 3주일 정도가 되면 생체중이 최고에 이르고, 종실은 소립종이 7080, 대립종이 100일 정도가 되면 성숙에 이른다.

협실 비대의 환경 : 꼬투리와 종실의 비대에는 암흑과 토양 수분이 기본 조건이 된다. , 광의 조사는 결실과 자방병의 신장을 억제하고, 토양의 건조는 빈 꼬투리의 생성을 많게 한다. 또한, 결협 및 결실에 있어서는 석회의 효과가 크게 인정되는데, 특히 씨방이 포함되는 결실권에 석회가 부족하면 빈 꼬투리가 증가되며, 따라서 다른 비료는 근권에만 시용하면 되지만, 석회는 직접 결협권에 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인산(P)은 결협과 결실을 조장하고 성숙을 촉진시킨다.

3. 재배 환경

(1) 기상

땅콩은 고온 작물로서, 2527가 생육에 알맞다.

생육 기간의 적온 온도는 3600, 무상기일이 170일 이상

소립종은 대립종에 비하여 발아 적온이 낮고 생육기간도 짧다.

남부 지방에서는 대립종이, 중부와 북부 지방에서는 숙기가 빠른 소립종이 재배에 유리하다.

(2) 토양

토양 수분 : 최대 용수량의 5070%

생육에 알맞은 토양 산도 : pH 6 정도로 중성에 가깝다.

4. 분류와 품종

(1) 분류

여러 가지 특성의 종합적 기준에 따라

스패니스(Spanish): 직립형, 소립형, 성숙기간 가장 짧다.

발렌시아(Valencia): 직립형, 소립종

버지니아(Virginia) : 직립형, 대립종

사우스이스트 러너(Southeast runner): 포복형

 

  스패니쉬 발렌시아 버지니아 사우스러너
가지의 굵기 굵다 굵다 가늘다 가늘다
잎의 크기 크다 크다 작다 작다
내병성 약하다 약하다 강하다 강하다
개화기 이르다 약간 이르다 늦다 늦다
성숙기간 짧다 약간 짧다 길다 길다
초형 입성 입성 입성포복성 포복성
1협 입수 2 34 2 2
종실 크기 작다 작다 크다 작다
지유 함량 많다 많다 적다 많다
휴면성 약하다 약하다 강하다 강하다
꼬투리크기 작다 길다 크다 작다

(2) 품종

품종의 특성

재배면 : 밀식 재배시에는 직립형, 바람이 심한 바닷가나 섬 지대에서는 포복형이 알맞다.

초형 : 직립형이나 중간형의 품종은 포복형 품종에 비하여 개체당 종실 수량은 적으나 밀식을 함으로써 더욱 증수할 수 있으므로 종자량이 많이 소요되더라도 직립형 품종을 취택하는 경향이 있다.

용도면

기름용의 경우 기름 향량이 많고 품질이 좋은 소립종

식용으로 할 때는 단백질 함량이 많은 대립종이 알맞다.

우리나라의 장려 품종(11개 품종)

직립형

소립종 : 올땅콩

중대립종 : 새들땅콩, 대광땅콩, 대풍땅콩

대립종 : 남광땅콩, 대원땅콩, 수원95

반직립형

소립종 : 진풍땅콩

중대립종 : 남대땅콩

극대립종 : 신남광땅콩, 왕땅콩

5. 재배

(1) 작부 체계

땅콩은 주로 홑짓기를 한다.

이어짓기를 하면 그루타기 현상이 나타나므로 12년 정도 윤작을 해야 한다.

그루타기 현상의 주된 원인

뿌리혹선충(근류선충)의 피해 증가

점무늬병 및 갈색무늬병의 발생 조장

토양 중의 석회 감소

(2) 파종

파종기 일평균 기온이 1617가 되었을때 심는 것이 알맞다.

남부 지방은 4월 하순5월 상순, 중부 지방은 5월상, 중순경

파종량 : 10a당 소립종은 9kg, 중립종은 12kg, 대립종은 15kg

(3) 시비

거름 성분 중에서 칼륨과 석회의 흡수량이 특히 많으며, 인산과 마그네슘의 흡수도 적지 않다.

(4) 관리

북주기 : 북주기는 씨방자루가 땅 속으로 자라 들어가는 것을 도와주는 중요한 작업이며, 꽃피기 시작할 때와 그후 15일 간격으로 한두 차례 북을 주되 씨방자루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병충해

병해

검은무늬병 : 78월 고온 다습할 때, 잎과 줄기에 많이 발생.

갈색무늬병 : 잎과 줄기에 암갈색 병반이 생기고

충해 : 선충, 점박이응애, 줄표주박바구미, 우단풍뎅이, 화랑곡나방

6. 수확과 조제

(1) 수확

꼬투리에 그물 무늬가 뚜렷하게 형성되면 수확한다.

대체로 10월 상, 중순까지 수확한다.

(2) 탈곡 및 조제 땅콩 종실 비율 : 중량 50%, 용량 30%

땅콩은 꼬투리에서 종실이 나오는 비율이 중량으로 50%, 용량으로 약 30% 정도이다.

7. 특수 재배

(1) 멀칭 재배 효과

땅콩은 일반적으로 일찍 피는 꽃일수록 완숙 꼬투리가 되는 비율이 높아서 처음 10일 동안에 핀 꽃은 약 85%가 완숙한 꼬투리가 되지만, 그 뒤에 꽃이 핀 것은 중숙 내지 미숙 꼬투리가 되는 것이 많다.

폴리에틸렌으로 멀칭 재배를 하면 지온이 높아지기 때문에 조파가 가능하고 또 보온에 의하여 출아와 초기 생육이 조장되며 개화가 촉진되고 유효 개화 기간이 길어져 증수 효과가 있다.

(2) 파종

파종 적기 : 멀칭 재배시 평균 기온이 1415일 때에 파종한다.

 

완두땅콩은 이어짓기를 싫어한다.

땅콩은 두류 중 가장 긴 생육기간을 갖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