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강낭콩
1. 내력과 생산 및 용도
(1) 명칭과 내력
① 학명 : Phaseolus vulgris L.
② 내력 : 열대 아메리카로 추정되고 있다.
(2) 생산, 용도 및 특성
① 분포
㉠ 강낭콩은 높은 온도에 알맞지만 고랭지나 고위도 지방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 경기도 및 전라 남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다.
② 성분 : 강낭콩의 주성분은 당질(61.0%)이고 그 대부분은 전분이며, 단백질도 많은 편이다.
④ 재배 경영상의 특성
㉡ 콩이나 팥에 비하여 생육 적온이 낮아 저온에 잘 견디고 생육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만파에 잘 적응하고 재배가 용이하며, 작부 체계면에서 여름 밭작물의 주위작이나 혼작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2. 형태 및 생태
(1) 형태적 특성
① 뿌리 : 싹이 틀 때 1개의 곧은 뿌리가 나와 자라고 …
③ 잎 : 떡잎, 초생엽, 본엽(3장의 작은 잎을 가지는 겹잎)
⑥ 종실 : 한 꼬투리에는 대체로 3∼5개의 종실이 들어 있다.
(2) 생태적 특성
① 발아
㉠ 강낭콩은 상명종자로서 3년 이상이 되면 거의 발아하지 않는다.
㉡ 발아온도 : 최저 10℃내외, 최고 38∼42℃, 최적 온도 26∼27℃
② 개화 및 결실
㉡ 자가수정, 이른 아침부터 오전 10시 사이에 많이 개화한다.
3. 재배 환경과 품종
(1) 기상 √ 강낭콩은 주야 온도차가 클수록 좋다.
(2) 토양
② 강낭콩은 질소의 고정 능력이 약하므로 지력이 높아야 하며 척박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하고 인산 및 마그네슘의 부족에도 민감하므로 시비에 유의해야 한다.
③ 알맞은 토양 산도는 pH 6.2∼6.3 정도로 산성 토양에 대해서는 두류 중에서 가장 약하고 염분에 대한 저항성도 약하다.
(4) 품종 : 최근의 우량 품종 - 강낭콩 1호, 프로바이더(provider)
4. 재배와 수확
(2) 분류
③ 파종기 : 10℃ 이상이 되고, 4월 중, 하순∼5월 중순까지
(3) 시비 및 관리
① 시비 : 강낭콩은 다른 두류에 비하여 뿌리혹의 착생과 질소 고정이 떨어지기 때문에 거름을 넉넉히 주어야 한다.
(4) 병충해 방제
① 강낭콩 병해 : 오갈병, 흰가루병, 갈색무늬병, 녹병, 탄저병
(5) 수확 및 조제 : 6월 하순 ∼ 7월 중순경
√ 강낭콩, 동부, 완두, 녹두는 생육기간이 짧다.
√ 한 꼬투리의 종실 : 동부 6∼12개(多), 완두 5∼6개, 강낭콩 3∼5개
√ 두류 중 강낭콩은 산성 토양에 가장 약하다.
'식용작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43. 완두 (0) | 2022.04.11 |
---|---|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42. 동부 (0) | 2022.04.10 |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40. 땅콩 (0) | 2022.04.07 |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39. 녹두 (0) | 2022.04.06 |
농업직, 농촌 지도사, 농업 연구사, 지방직, 국가직 시험 대비 식용작물학 핵심 요약 정리 38. 팥 (0) | 202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