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문제연구론

교육, 교육학과, 방통대 등 교육문제연구론 핵심 요점 요약 정리 8. 교육과 시간

728x90
반응형

제8장. 교육과 시간

. 시간 체험의 다양성

1) 사회적으로 학습된 시간

- 개인의 시간경험에서는 심리적 리듬에 기초한 내적 흐름과 일상적제도적 표준시간이 교차함

-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수학적 시간관념은 태어나면서부터 생래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학습된 것임

- 시간을 엄밀하고 절대적인 것으로 보는 뉴턴식 관점은 강력하고 상식적일지는 몰라도 우리의 실제 시간경험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함

2) 시간에 대한 질적 체험

- 물리학자들이 시간을 구성하는 실제로 중요한 일부 요소들을 ‘t’라는 꼬리표를 달아놓은 호리병 속에 잡아놓는 데 성공했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Toda, 1975)

- 동일한 사람이 체험하는 시간들은 언제나 균질적이지 않고 역동적이며 이질적임

3) 몰류체험(flow experience: M. Csikszentmihalyi, 1988)

- 어떤 활동에 폭 빠져 있는 의식의 상태, 즉 깊이 몰두하여 자신의 행동을 미처 의식하지 못할 정도의 몰입 경험

- 몰류 상황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가 시간에 대한 왜곡된 지각(distorted sense of time)

- 무엇을 하는가에 대한 의식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엇인가에 완벽하게 몰두하는 경험이야말로 정신을 풍요롭게 하고 무엇인가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4) 학교의 관례적인 시간

- 학교에서의 시간운용방식은 상황과 맥락, 행위주체자의 수준과 의지, 관심 등을 떠나 획일적이고 규격화되어 있음

- 이러한 상황은 학습자나 교수자 모두에게 시간의 주인이 아닌 노예가 될 것을 강요함

- 지루하게 붙여진 시간, 억지로 토막 낸 시간, 누구에게나 부과되는 규격화된 시간표

5) 시간운용의 대원칙

- 학교를 지배하는 관례적인 시간의 틀을 과감하게 해체하고, 개개인의 교육의 리듬에 맞추어 자신의 시간을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

- 학교에서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고, 절도 있는 생활을 할 것을 강조하기보다는 모두가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자신의 시간을 충분히 영위하고 돌아갈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함

 

. 교육적 기다림

1) 기다림의 세 유형(Fujita, 1985: 110-115)

- 도구나 기계의 세계에서의 기다림 : 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음을 함축하거나 필요악과 같은 것으로서 가능하면 없어져야 할 비생산적이고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함

- 자연의 세계에서의 기다림 : 인간의 작동이나 태도와는 독립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에서 인간은 기다림 외의 행동을 할 수 없음

- 생성의 세계에서의 기다림 : 인간이 보다 인간답게 되어 가는 과정과 관련된 것으로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짐

2) 교육에서의 기다림

- 교육상황은 후지타가 제안한 세 가지 세계 중 생성의 세계에 해당됨

- 이 세계에서 기다림은 행동하는 것에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가짐

- 이 기다림은 불필요하거나 생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결과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임

3) 활쏘기의 교육체험(Herrigel, 1951/1984)

- 최대로 활이 당겨지면 발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발사는 사수가 의도하기도 전에, 마치 대나무 잎이 쌓인 눈처럼(일순간 미끄러져 떨어지듯이) 사수를 떠나가야 합니다.‛72-73)

- 대나무 잎에 쌓인 눈이 어느 순간 미끄러지듯이, 자연스럽게 활이 사수를 떠나는 경지, 그건 작위적인 서두름에 의해 가능하지 않음

- 배움의 참된 의미는 시간의 앞당김을 통한 외현적 목표에의 조속한 도달로 환원될 수 없음

4) 하나의 신중한 행위로서의 기다림

- 교육을 체험 그 자체로 보기보다는 무엇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념화하면 특정한 문제에 투자하는 시간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은 것이라는 생각을 벗어나기 어려움

- 만약 수업을 호흡법에서 시작했다면, 아마도 호흡에 결정적인 것이 들어 있다는 사실을 납득시킬 수 없었을 것입니다. 당신은 먼저 스스로의 거듭된 시도를 통해서 좌절을 겪어야 했습니다.‛38-39)

5) 인재시교와 줄탁동시

-인재시교(因材施敎) : 알려고 답답해할 때 지도를 함

-줄탁동시(啐啄同時) : 새가 알에서 부화할 때 밖으로 나오려고 톡톡 두드리는 그 순간에 바로 어미 새가 알껍데기를 쪼아줌

 

. 변화 가능성

1) 변화하는 인간

- 인간은 자신을 변하게 하는 무한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

- 시간의 자궁 속에 숨겨진 궁극적 인간은 없다. 인간은 자체의 성질을 주체적으로 규정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별도의 기제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것이 인간성의 위대한 진화를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를 마련해 준다.‛장상호, 1991: 4)

2) 기억의 재편

- 한 인간의 존재는 특정한 곳, 특정한 시점의 그의 현 모습으로 단순히 규정될 수 없음

- 시간이 흐르면서 현재나 미래는 물론 그의 과거까지도 재편됨

- 모든 사람의 기억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대한 예기 등에 의해 부단히 재편됨

3) 현재완료형 평가의 한계

- 학습자를 인식하고 평가할 때, 개인의 잠재 가능성보다는 과거나 현재 시점에 주목하는 현재완료형 관점에 의해 주로 의존하고 있음

- 과거가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억압적인 방식을 암암리에 강조할 때 학습자의 변화 가능성은 격려될 수 없음

4) 체험의 시간

- 체험의 시간은 체험이 변할 때 흐른다. 다시 말하면 체험의 시간은 물리적인 시간처럼 일정하거나 직선적인 것이 아니고 체험의 농도에 따라 주기적인 시간대를 가진다.‛장상호, 1991: 16)

- 같은 연령이라고 하더라도 갑과 을이 세계를 체험하는 폭과 높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그들은 그만큼 다른 인생의 기간을 향유하고 있는 것이다.‛장상호, 1991: 16)

4) 체험의 시간

- 체험의 시간은 체험이 변할 때 흐른다. 다시 말하면 체험의 시간은 물리적인 시간처럼 일정하거나 직선적인 것이 아니고 체험의 농도에 따라 주기적인 시간대를 가진다.‛장상호, 1991: 16)

- 같은 연령이라고 하더라도 갑과 을이 세계를 체험하는 폭과 높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그들은 그만큼 다른 인생의 기간을 향유하고 있는 것이다.‛장상호, 1991: 16)

 

. 유한성

1) 시간의 구속

- 특정한 시점에 태어나 일정 시간 동안만 존재하고 사라지는 인간의 시간적 유한성은 인간의 의식과 사고에 치명적인 한계로 작용함

- 하이데거(M. Heidegger, 1927/1994) : 그의 현존재개념은 순수하고 절대적이며 선험적인 자아와는 달리 취약성과 제한을 가진 인간의 유한한 존재방식을 전제함

2) 인간의 선입견

- 계몽주의 이후 근대의 서양철학에서는 무역사적인 이성의 개념을 상정하여 진리를 구하려고 하면서 선입견을 배제하려고 하였음

- 가다머(H. G. Gadamer, 1960/1982)는 이를 선입견에 대한 선입견이라고 비판함

- 해석의 과정에 작용하는 해석자의 의견이나 관심은 그의 자의적인 산물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온 전통에 속함

3) 인간의 유한성과 교육

- 인간의 유한성으로 인한 교육의 가치 및 교육적 진화에 관해 서강대학교 양미경 교수님과 인터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