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복과 색채

패션디자인, 의류학과, 의상학과 등 의복과 색채 간단 정리 5. 표색 방법과 표시법

728x90
반응형

5. 표색 방법과 표시법

1. 다양한 색 체계의 표색방법과 표시법
1.1 색채 표준
색채 표준화는 색에 대한 기준을 통일하고 표준화하여 색채를 과학적으로 관리하
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색채를 측정할 때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재현성과 과학
성을 갖고 상용될 수 있는 색 체계가 필요하다.
색채 표준화를 위한 기준으로 먼셀 표색계, 오스트발트 표색계 CIE 표색계
NCS표색계 , DIN표색계 , PCCS  등 다양한 색 체계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것을
활용 정도에 따라 현색계와 혼색계로 구분된다.


1) 현색계
현색계는 사물의 색을 색상,명도 채도인 색의 3속성에 따라 분류된다 대표적
으로 먼셀 표색계, NCS표색계 , DIN표색계가 있다


2) 혼색계
혼색계는 사물 색에서 반사되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분류된다. 이러한 혼색계
는 색광을 혼합하여 얻어진다. 대표적으로 오스트발트 표색계 CIE표색계가 있다


1.2 색 체계
1) 먼셀의 표색계
미국의 색채연구가인 먼셀(A. H. Munsell, 1858-1919) 에 의해 1905년에 창안되었
다.  1940년 미국의 광학협회(Optical Society of America) 에 의하여 수정된 수정
먼셀 색 체계를 만들었다.  또한 1905년 먼셀은 모든 색채를 색의 3속성에 따라 정
리하여 이를‘색입체(Color Tree)’ 라고 명명하였다.


(1) 먼셀의 색입체
색입체는 색의 3 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를 가지고 세로의 중심축에는 명도를 배
치하고 주위에는 색상을 방사상으로 늘려 채도를 구성하였다.
① 색상

색상은 기준색으로 빨강(R) 노랑(Y), 녹색(G), 파랑(B), 보라(P) 의 5색을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고 중간에 주황(YR), 연두(GY), 청록(BG), 남색(PB), 자주(RP) 를
배열하여 10색상으로 분할하였다
② 명도
명도는 1 에서 9까지 번호를 붙이고 번호가 낮으면 저명도의 검정 번호가 높아
밝기가 증가하면 고명도의 흰색이 되도록 하였다.
③ 채도
채도는 무채색 축을 0 으로 하고 수평방향으로 차례로 번호가 커진다 번호가 증
가하면 채도가 높아지게 되지만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의 번호는 색상에 따라 차이가 난다.


(2) 먼셀의 표기법
먼셀은 색상을 Hue, 명도를 Value, 채도를 Chroma  라고 규정하고 기호를H, V, C
로 약자로 표기하여‘HV/C’ 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5R 4/14’ 로 표기되는
데 5는 기준색인 10색의 대표 숫자이며 R은 색상 4는 명도 14는 채도를 말한다


2) 오스트발트의 표색계
독일의 물리화학자 오스트발트(W. Ostwald, 1853-1932) 1916년 오스트발트 표
색계의 개념을 창안, . 발표하였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특징은 혼합하는 색량의 비
율에 의하여 만들어진 체계이다. 오스트발트 표색계의 기본이 되는 색채는 모든 파
장의 빛을 완전히 흡수하는 이상적인 검정색 B, 모든 파장의 빛을 완전히 반사하는
이상적인 흰색 W,  이상적인 순색 C라고 하여 이 세 가지의 비율을 기호화하여 색채를 표시하였다.


(1) 오스트발트의 색입체
오스트발트의 노랑, 파랑 빨강 청록의 4색을 배치하고 사이에 주황 남색 보
라 연두를 배열하여 8색을 기준하였다 이것을 다시 3등분하고 번호를 붙여 총 24
색상이 된다. 즉 무채색 축을 중심으로 24색을 가진 등색상 삼각형이 배열되어
색입체가 구성된다.


(2) 오스트발트의 표기법
표기법은 W-B, W-C, C-B 8 각 변에 각각 8단계 등색상 삼각형을 형성하는데 이것에
기호를 붙인다. W C a, c, e, g, i, l, n, p 에서 방향으로 와 같이 알파벳을 하나씩
건너 뛰어 표기한다. C B a, c, e, g, i, l, n, p 에서 방향으로 똑같이 호 표기하여
이들의 교점이 되는 색을 Ca, Ia, pn, pl . 또는 로 표시된다
a p . 는 흰색이며 는 검정색 된다 흰색을 표시할 때는 색상번호와 흰색과 검정색의
비율을 붙여 나타낸다. 17lc 17 예를 들면 로 기록되었다면 색상은 이고 흰색 비율

8.9%, 44% 100-(8.9+44)=47.1% . 검정색 비율 되며 따라서 의 색 함유량이 된다.


< 1>기호와 혼합비율

기호 a c e g i l n p
흰색 89 56 35 22 14 8.9 5.6 3.5
검정색 11 44 65 78 86 91.1 94.4 96.5


3)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 표색계
1964 년 일본색채연구소가 새로운 표색계로 PCCS를 발표하였다 PCCS는 색의 3속
성에 따른 기호를 표시하는데 명도와 채도를 톤(Tone)이라는 표시를 하여 색채조화
를 나타내고 있다.


(1) 톤
톤은 명도와 채도의 복합개념으로 13톤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위치는 색상별로
차이가 있다. . 표기는 색상 변화와 톤의 약자를 붙여서 사용한다.


(2) 톤의 표기법
색상-명도-채도의 형식으로 표색하고 있다 표기는 색상 명을 영문 대문자로 색
상 수식어는 소문자로 표기하고 빨강색부터 번호를 붙여 1:pR, 2:R 등으로 표기한
다. 유채색은 2:R-8.0-3S’ (2:R=색상 , 8.0=명도 , 3S=채도 )로 표기되고 무채색은
n=-5 . 로 표시된다

 

4) DIN(Deutsches Institute fur Nornung) 표색계
1955년 독일공업규격 ‘DIN6162 Farbenkarte’ 로 제정된 표색계이다.


(1) DIN 표기법
DIN 표기법은 색상 T(Farbton), S(Sattigungsstufe), 포화도 암도
D(Dunkelstufe) 의 속성으로 나타내어 색상은 오스트발트 표색계와 같은 24색상이나
포화도는 0-7의 범위로 표시하고 암도는 0-10의 범위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D=0 S 0-7 이고 가 인 색에는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 말하는 흰색에서 순
색의 색 계열이 나열되게 된다. T( ), S( ), D( ) 색의 표시방법은 색상 채도 명도 의 순
으로 2:6:1 . 이라고 하는 것처럼 표기한다

 

5) NCS(Natural Color System) 표색계

스웨덴 색채연구소는 인간의 색 지각에 기초한 색채연구소로 유명하다. NCS 표색
계는 유행에 따라 변하는 트렌드 컬러가 아니라 일반적인 자연색을 베이직 색으로
하여 색채에 대한 표준을 제시하였다.


(1) NCS 색입체
NCS . , 색입체는 색 공간의 중간을 자른 수평단면이다 기본 색상인 빨강색 노랑
색, , 4 100 . 녹색 파랑색의 분할된 기본색들 사이에는 똑같이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2) NCS 표기법
인간이 구별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6 , , , 가지 색채인 흰색 검정색 빨강색 노랑
색, , . 6 녹색 파랑색을 기본색으로 정하였다 표기법은 얼마나 많은 색채들이 이 가
지 기본색을 기초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S2030-Y50R S NCS (Second 이 있다면 는 색채 견본의 두 번째 발행본
Edition) . 2030 20% 30% Y50R Y( 을 뜻한다 은 검정색과 유채색을 가진 색이고 은 노
랑) R( ) R=50%, Y=50% . 와 빨강 의 혼합비율로 를 지니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6)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I’ Eclairage) 표색계
CIE . 표색계는 혼색계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색 체계이다 현색계는 광원이나
시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정량화된 색 표준을 필요로
하게 되어 1930 CIE 년 국제조명위원회인 에서 광원과 관찰자의 정보를 표준화하여
관찰자가 표준 광원에서 관찰하는 색을 수치화시켜 제시하였다.


(1) CIE 표기법
CIE XYZ 3 XYZ . 표기법은 계의 자극치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표색계라고 한다
Yxy RGB . 1976 표색계와 표색계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년에는 기존의 표색계를 수
정하여 L*a*b*, L*u*V*, L*c*h . 등을 규정하였다 국제 표준화에 사용되는 표시법은
모든 표기법을 사용하는 좋으나 XYZ, Yxy, L*a*b*, L*u*V*, L*c*h 표색계 중에 한
가지를 선택하고 먼셀, NCS, KS . 등을 함께 표시하는 것이 좋다


2. 색명법
색명이란 색 이름에 의하여 색을 표현하는 표색의 일종이며 색명은 부르기 쉽고,
기억하고 상상하기 쉬워서 옛날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가장 일반적인 전달 방법으
로 사용되고 있다. , , , , 색명은 식물 동물 광물 자연 계절에 대한 명칭으로 일상생
활에서 쉽게 사용된다.


2.1 기본색명
기본적인 색의 구별을 나타내기 위한 전문용어이다. (KS A 0011) 한국산업규격 에
제시되어 있는 유채색의 기본색명은 빨강, , , , , , , 주황 노랑 연두 초록색 청록 파랑
남색, , . , , . 보라 자주이다 무채색의 기본색명은 흰색 회색 검정색이다

 

2.2 계통색명
색상의 성질과 계통은 학술적인 면에서 체계화하여 명명하는 것으로 기본 색명에
수식어를 붙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reddish), 색상에 관한 수식어는 빨강색을 띤
노랑색을 띤(yellowish), (greenish) . , 녹색 띤 등으로 표현된다 명도 채도의 차이
를 표현하며 톤의 분류에서 볼 수 있는 light( ), dull( ), dark( ), 맑은 탁한 어두운
deep( ), vivid( ), pale( ) . 진한 선명한 연한 등이 있다 계통색명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이나 산업계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색채에 대한 기본 지
식이 있어야 한다.


2.3 관용색명
관용색명은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온 습관상으로 사용하는 색의 고유색명과 현대
에 와서 사용하게 된 현대 색명으로 나눌 수 있다. , , , 식물 동물 광물 자연 현상
등에서 이름을 딴 것 등이 있다.


1) 한국의 전통색
옛날부터 사용해 온 고유색명에는 우리말로 된 하양, 검정 빨강 노랑 파랑
보라 등이 있고 한자말로 흑 黑 백 白 적 赤 황 黃 녹 綠 청 靑 등이
있다. 또한 전통 색체계인 오방색 적 청 황 백 흑 과 오간색 녹색 벽색 홍
색, 유황색 자색 이 있다


2) 동물색
동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색명으로 쥐색, salmon( ), sepia( 연어의 색 오징어 먹물
의 회갈색), peacock blue( ), ( ) . 공작새의 꼬리털 회청색 비둘기 색 등이 있다


3) 식물색
식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색명에는 살구색, 복숭아색 팥색 밤색 오렌지색 장
미색, 레몬색 가지색 쑥색 등이 있다


3) 광물색
광물의 이름에서 유래된 색명에는 고동색, 금색 은색 에메랄드그린 코발트블
루, 황토색 등이 있다


4) 자연현상에서 유래된 색
자연 현상에서 유래된 색명에는 하늘색, 바다색 무지개색 등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