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복과 색채

패션디자인, 의류학과, 의상학과 등 의복과 색채 간단 정리 3. 색의 일반적인 분류와 색의 3속성

728x90
반응형

3. 색의 일반적인 분류와 색의 3속성

1. 색의 일반적인 분류
일반적으로 색을 분류할 때는 색채를 전혀 느낄 수 없는 무채색과 색채를 느낄
수 있는 유채색으로 구분된다.


1.1 무채색(achromatic color) 
1) 무채색의 정의
무채색은 색이 구별되지 않으며 밝고 어두움 정도만을 갖는 색을 말한다. 색이
전혀 섞이지 않는 흰색, 회색, 검정 등과 같이 색의 밝기만 나타낸다
한국산업규격에서는 무채색의 기본색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1>    무채색의 기본색 (KS A 0011:2015)

기본색 이름 약호
White wh
(Neutral) Gray Gy
Black Bk

1) 무색채의 반사율
무채색의 반사율은 가시광선의 스펙트럼과 거의 평행을 이룬다. 반사율 정도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데 85%이상은 흰색 30%정도는 회색 3%이하는 검정색으로
보이게 되므로 반사율이 클수록 밝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채색의 특성으로
겨울용 의복은 반사율이 낮은 검정색에 가까운 어두운 색의 의복이 많이 보인다.

회색은 중성의 느낌으로 최근 의복에서는 흰색, 검정 ,네이비 색과 더불어 기본
색으로 쓰이고 있다.


1.2 유채색(chromatic color) 
1) 유채색의 정의
유채색은 색채를 느낄 수 있는 색을 말한다. 유채색은 무채색 이외의 모든 색이
속한다.  즉 가시광선에 포함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을
포함한 그 사이에 있는 색도 색이 섞이면 유채색이 된다. 인간은 약 200 만 가지의
색을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지각할 수 있는 색은 200 여 종이며 실생활에 필
요한 색은 대략 40-50여종으로 알려져 있다


< 2>  유채색의 기본색

대응용어 약호
Red R
Yellow red YR
Yellow Y
Green Yellow GY
Green G
Blue Green BG
Blue B
Purple Blue PB
Purple P
Red Purple RP

2. 3 색의 속성
2.1 3 색의 속성의 개념
색을 지각할 때 색이 갖는 기본적인 성질에 따라 색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색
을 구분하는 방법에 필요한 성질을 색상, 명도, 채도라고 한다 즉 색의 종류를
말하는 색상(hue)  과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value) 그리고 색의 선명한
정도와 색상을 포함하는 채도(saturation/chroma) 가 있다 우리는 색채를 느낄 때
이것 중 하나가 아닌 세 가지가 합쳐져 만들어진 색을 느끼는 것이다.


1) 색상
주변 사물은 색을 갖고 구별하여 표현하는데 이러한 색상은 스펙트럼을 통해 보
이는 가시광선으로 빨강기호 주황 기호 노랑 기호 초록 기호 G), ( : B), ( : BV) ( : P) 파랑 기호 남색 기호 보라 기호 등이 있지만 그 사이에는 많은
색들이 존재한다. 스펙트럼으로 구분된 색은 장파장인 빨강에서 단파장인 보라까지
나열된다.
먼셀 색체계에서는 색상환의 기준이 되는 색을 빨강(Red), 노랑(Yellow),  녹색
(Green), 파랑(Blue), 보라(Purple)   5가지 색이고 각각의 색 중간에 주황 연
두(GY), (BG), (PB), (RP) 청록 남색 자주 의 색을 첨가하여 총 10색으로 기준 색을 넓
혔다. 10개의 기준색은 각각 색상에 대표 색상으로 라는 번호를 붙여 5R, 5YR, 5Y
등으로 표기한다. 10  개의 기준 색상 사이에 중간색을 넣어 20, 40, 50, 100색상으
로 분할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20 색상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색상을 원
으로 배열한 것을 색상환이라고 한다.

먼셀의 색상환

2) 명도
명도는 밝은 색과 어두운 색으로 구분한다. 명도는 사물의 표면의 나타나는 명암
에 관한 색을 말한다. 이러한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명도 단계를 그레
이 스케일(gray scale) .이라고도 한다 즉 순수한 검정을 0순수한 흰색을 10으로
보고 그 사이를 9 단계로 구분하여 11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검정에 가까운
저명도와 회색에 가까운 중명도, . 흰색에 가까운 고명도로 나눌 수 있다
모든 표면색의 명도는 흰색과 검정색 사이에 넣을 수 있으나 현실에서 이상적이
고 완전한 검정과 흰색은 존재할 수 없으므로 먼셀의 색체계에서는 1.5 단계부터2,
3, 4 ~9.5 단계로 명도차를 분류하고 영어 Neutral의 이니셜을 따서
N4, N5, N6, N7, N8, N9, N9.5 . 로 표기한다
** : 그레이 스케일 그레이 스케일은 무채색의 밝고 어두움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표
시한 것을 말하며 컴퓨터그래픽에서는 흑백 명암 모드를 말한다. 이것은 흰색과 검정색 사이의 256 단계의 무채색으로만 표현된다


3) 채도
채도란 색의 순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을 보고 느끼는 탁한 정도를 의미
한다. 채도는 사물 표면색과 빛의 색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빛의 차이와 표면색의
차이에서도 채도의 차이가 나타난다. , 즉 사물에 들어있는 색에 특정한 파장의 빛
이 어느 정도 반사되고 흡수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파란색과 하늘
색의 색상은 동일하지만 채도와 명도가 다르다. 파란색은 채도가 높고 하늘색에 비
해 명도가 낮은데 이것은 파란색 파장의 빛만을 반사하기 때문에 채도가 높은 순수
한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이다.
채도는 유채색의 순수한 정도를 뜻하며 C 로 표기한다 1에서 14단계로 표시하는
데 단계가 높을수록 맑은 순색에 가깝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명도가 혼합되면서 탁
한 색이 된다. /2, /4, /6, /8 등 짝수 단위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실제 색
사용에 있어서 순색보다는 채도가 낮은 색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1, /3을 추가
하기도 한다. 먼셀 색입체는 명도 축에서 바깥으로 멀어질수록 채도는 높아지고 명
도 축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낮아진다. 또한 각각의 색상 마다 채도의 번호가 다르
게 나타나 가장 높은 채도의 값이 다르다.

명도와 채도

(1) 순색: 특정한 색상 계열 중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말하며 색입체의 명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색을 지칭한다. , 즉 노랑에 명도나 채도가 섞여 있어도 채도가
가장 높은 순색은 노랑이 된다.
(2) 청색: 여러 색 중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의미한다 채도가 가장 높은 원
색을 말한다. 명청색은 순색에 고명도인 흰색을 섞어서 나타나는 색이고 암청색은

순색에 저명도인 검정색을 섞어서 나타나는 색이다.
(3) 탁색: 채도가 매우 낮은 색으로 순색이나 청색에 중명도인 회색을 섞을 때 나
타나는 색이다.


4) 먼셀(Albert H. Munsell)  의 표기법
먼셀의 표기법은 색상번호와 기호를 먼저 쓰고 명도, . 채도 순으로 기술한다 먼
저 색상(hue),  명도(value)  및 채도(chroma) 의 기호를 H, V, C . 한다 이때 명도와
채도의 숫자를 구분하기 위해 명도와 채도 사이에 / . 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색상
5R, 6, 7 . 5R 6 7 명도 채도 의 표기한다면 다음과 같다 이것의 읽는 방법은 의 로 읽
는다.

HV/C,                             5R 6/7

  2-2 (KS) 한국산업규격
먼셀의 색체계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서 색의 표시방법은 1968년 교육부와 한국
공업규격에서 먼셀의 표준 20 색상환으로 규정하여 사용하였다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와 같은 색감각의 성질을 특징하는 색의 속성이나 이것을 배열하며 척도
화한 수치 또는 기호를 말한다. 지금은 2015년에 개정하여 공시한 한국표준색체계
(KS A 0011:2015) 를 바탕으로 사용하고 있다


3. 색입체의 형성과정
색입체(color solid) 는 색의 3속성을 3차원적인 공간에 배열한 것으로 명도를 중
심에 세워 가장 위에는 고명도의 흰색을 아래도 내려갈수록 중명도인 회색, 가장
아래는 저명도인 검정이 되도록 한다. 명도 축 주변에서는 스펙트럼 순으로 채도를
수평으로 배열하여 명도에 가까운 채도는 0을 시작으로 명도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
할수록 순색의 고채도가 되고 명도에 가까우면 저채도가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