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이 보약이라는 말과 침대는 과학이다?! 등 잠에 관련된 말들도 생각나는 데요!
낮잠은 우리몸에 좋은 역할들이 많지만 무조건 좋기만한 걸까요?
스페인에서는 낮잠 시간도 정해져 있을정도로 낮잠을 자는 것도 일종의 습관입니다. 최근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고 근무 형태가 재택근무로 바뀌면서 낮잠 습관을 갖게 된 사람들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낮잠은 하루의 활력을 재충전해주기도 하지만 자고 일어났을 때 오히려 머리를 무겁게 만들기도 합니다. 밤에 잠을 자는데도 낮잠의 유혹이 밀려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낮잠이 습관이 돼도 괜찮은 것일까요?

* 낮잠을 유발하는 두 가지 과정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의 사라 메드닉 교수(인지과학)는 워싱턴포스트 인터뷰에서 낮 시간대 졸음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과정을 두 가지로 설명했다.
첫 번째 시스템은 24시간 생체주기다. 생체주기는 밝을 때 깨어있고 어두울 때 잠들도록 한다. 또 시간이 오후로 접어들 때 코르티솔 호르몬의 분비량을 줄이고 인체 중심부의 체온을 약간 떨어트린다. 체온이 내려간다는 것은 잠들기 쉬운 여건이 된다는 뜻이다.
또 다른 시스템은 항상성이다. 항상성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유지하려는 과정을 말한다. 항상성은 깨어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면에 대한 욕구가 커지도록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런 이유로 낮잠을 원하는 것은 아니다. 전날 밤에 푹 자지 못해서 다음날 피로감을 느끼는 것일 수도 있다.
낮잠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능과 부작용
낮잠은 장단점을 모두 지니고 있다. 메드닉 교수는 낮잠을 잔 사람들이 패턴 인식 과제를 더 잘 수행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낮잠은 창조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하고 뇌의 힘을 증진했다.
낮잠을 잔 어린아이들은 기분이 더 좋았고, 어른들은 좌절감을 더 오래 견디고 충동을 잘 조절할 수 있었다. 신체적 지구력 향상에도 낮잠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낮잠을 자면 기억력이 개선됐고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이 감소했다.
낮잠의 부작용을 꼽자면 일어날 때 개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금세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혼미한 상태가 얼마간 지속한다. 이는 낮잠을 너무 오래 자서 수면의 가장 깊은 단계까지 내려갔기 때문이다. 가장 깊은 단계에 도달한 사람은 금세 깨어나기가 어렵다.
낮잠을 오래 자면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도 문제점이다. 시차를 겪는 것처럼 낮에 오래 자고 밤잠이 짧아지는 등 밤낮이 뒤바뀌면 앞서 언급했던 24시간 생체주기가 흐트러져 신체가 정상적인 리듬을 잃을 수 있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더위 등으로 잠 못이루는 밤에 도움을 주는 숙면유도 식품 베스트6와 효능을 소개합니다~ (1) | 2021.06.30 |
---|---|
간단하게 알아보는 머리카락으로 건강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1) | 2021.06.20 |
구내염은 고양이만 걸린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겪는 구내염에 관련된 건강정보와 빠른 치유법을 소개드려요! (1) | 2021.06.05 |
대다수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화병! 화병의 원인, 증상, 치료법을 간략히 소개드려요! (0) | 2021.05.28 |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불청객! 생리통 완화에 도움이 되는 식품과 효능을 알려드립니다! (0) | 2021.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