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특수아를 위한 음악치료
1) 지적장애 내담자를 위한 음악치료
① 지적장애 내담자를 위한 음악치료의 원리
- 음악 프로그램은 각 개인의 정도와 필요에 따라 맞추어져야 함
- 반복되는 동작과 노래로 내담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도전과 새로운 것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야 함
- 분별과 인식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해 음 또는 악기를 식별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법 개발
- 내담자의 마음을 끌 수 있는 재미있는 노래를 다양하게 준비
- 내담자와의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해 내담자에게 흥미로운 노래로 의사소통 유도
② 음악치료의 영역
- 의사소통 : 음악적 행위를 통해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언어발달 능력을 높이며 음을 분별하고
집중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메시지를 이해하는 능력 높여 의사소통 기술 향상
- 학습기술 : 다른 사람과의 합주나 동작 노래 등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집중력과 지시를 따르는 능력,
지속적, 기억력 향상
- 운동기술 : 일어서기, 앉기, 뛰기 등을 통해 손과 발의 협응, 대근육 동작, 민첩성, 이동기술 등 향상시
키면서, 악기 연주 동작을 통해 소근육 운동 향상
- 정서적 행동 : 잘 구성된 음악 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알 수 있도록 유도
- 조직화 능력 : 음악활동에 참여할 때 지시 따르기, 차례 지키기, 기다리기 등의 경험을 통하여 순서에
의해 동기 유발
- 사회적 기술 : 집단 음악활동으로 집단에서 필요하고 환경 받는 구성원이라는 경험 제공하고, 다른 사
람과 협동하는 능력 기르고 사회적 행동 발달
2) 지적장애 내담자를 위한 음악치료 활동
① 소리인식 : 음악과 쉼
- 레코드에서 나오는 소리에 맞춰 악기를 연주 : 음악이 멈추면 악기연주도 멈추기
- 음악에 따라 움직이기 : 음악이 멈추면 움직임도 멈추기
② 소리의 위치를 알아맞춤 : 가리키고, 보고, 소리가 나는 곳을 말하기
- 소리 나는 카세트 녹음기를 숨기고 소리 나는 곳을 가리키도록 하기
- 눈을 감고 왼편의 사람이 손뼉을 치면 따라 치기
- 앞에 스테레오 녹음기를 놓고 소리 나는 곳을 가리키도록 하기
- 눈을 감고 방의 가운데 서도록 한 다음 벨소리를 내는 사람을 향해 손을 가리키기
③ 소리의 구별
- 세기 : 입으로 소리를 세게 또는 약하게 내보기, 큰 음악을 들을 때 힘차게 행진하고 작은 음악 소리
에는 발꿈치를 들고 조용히 걷기
- 리듬 : 들은 리듬을 소리를 내며 따라 내기, 들리는 음악의 박자에 맞춰 박수치기
- 음정 : 같은 음정과 다른 음정을 구별하기, 들리는 음정에 맞추어 입으로 소리 내기
- 색깔 : 음악 소리를 듣고 악기를 알아맞히기, 악기 소리가 바뀔 때마다 동작을 바꾸기, 녹음기에서 누
구의 소리가 들리는지 알아맞히기, 녹음기에서 나오는 소리가 남자 목소리인지 여자 목소리인지 알아
맞히기, 주변 환경에 들리는 소리를 말하기
④ 소리 인식 : 구별
- 합창에서 한 성부를 듣고 알아내기
- 음악을 들으며 어떤 특정한 악기가 몇 번 나오는지 세어 보기
⑤ 소리 기억
- 리듬을 따라해 보거나 가락을 따라 부르기
- 지난 음악치료 시간에 했던 것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기
⑥ 시각적 상태
-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기
- 사물과 눈을 맞추치기
⑦ 눈의 초점과 셈
- 많은 그룹의 악기에서 특별한 악기를 골라내기
- 악보에서 틀별한 음표나 표시를 골라내기
⑧ 눈을 따라감
- 움직이는 대상을 눈으로 따라가기
- 악보를 따라가거나 가사를 손으로 짚으며 따라가기
- 악보를 읽기
⑨ 보는 것 구별 : 색깔
- 노래에서 나오는 색깔을 가리키기
- 특정한 색깔에 따라 특정한 동작을 취하기
- 노래에서 나오는 색깔의 옷을 입고 있는 사람을 가리키기
보는 것 인식
- 모양 : 모양이 같은 것끼리 구별하기, 노래에서 가리키는 모양의 물건을 알아맞히기, 글자, 숫자, 음표
읽기
- 크기 : 노래에 따라 크게 혹은 작게 동작 취하기, 길고 짧은 음표에 맞게 소래 내어보기, 악기를 크기
순으로 놓아보기
⑩ 식별력
- 기억 : 합중에서 빠진 악기 말하기, 악보를 보고 연주한 후 보지 않고 해보기
- 차례 : 실로폰 바를 차례로 놓기, 벨을 크기 순서대로 놓아보기
⑪ 신체 인식
- 노래에서 가리키는 신체 각 부분을 짚어보기
- 노래에서 나오는 몸의 부분을 움직이기
⑫ 반사속도
- 인도자의 행동에 따라 동시에 몸을 움직익
- 인도자를 따라 악기 연주를 동시에 하기
⑬ 균형
- 직선 위를 따라 행진하기
- 한쪽 발을 든 채 게임하기
⑭ 지속력
- 음악이 멈출 때까지 행진하기
- 음악이 가리키는 행동을 계속하기
⑮ 방향
-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이며 몸의 서로 다른 부분을 인식하기
- 노래에서 지시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⑯ 손으로 잡고 놓기
- 타익기 6연주 막대를 취었다 놓았다 하기
- 손가락으로 잡고 연주하는 악기를 연주하기
⑰ 사회성
- 합주 : 다른 사람과 함께 노래 부르기, 다른 사람과 함께 악기 연주하기, 다른 사람과 함께 동작 취하기
- 그룹별 경쟁 : 곡목 알아맞히기, 작곡자 알아맞히기
⑱ 발성훈련
- 동물의 소리를 노래로 불러보기
- 주위 환경의 소리를 노래로 불러보기
⑲ 호흡조절
- 관악기를 연주하기
- 풍선을 이용한 게임하기
⑳ 표현력
- 악기를 통해 현실의 감정을 표현하기
- 다른 사람의 기분을 악기 연주를 통해 알아맞히기
- 악기 연주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하기
3) 자폐증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대인관계 형성하지 못하며, 고립된 자기만의 세계 속에 살며 언어장애 수반되
어 있는 장애 →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지각적인 결함, 의사소통에 있어 어려움
①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목적
- 음악을 매개로 치료사와 접촉관계를 통하여 사회적 인격의 형성
② 자폐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에 사용되는 음악요소
- 리듬 : 단순한 리듬형의 반복, 당김음을 사용하는 리듬형, 셋잇단음표를 사용한 리듬형
- 선율 : 자폐아에게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좋은 요소
한 옥타브안에서 이루어지는 선율
- 형식 : 긴 곡보다는 짧은 시간 내에 주의 집중을 요하며, 즐거움과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간단한 곡 사용
4) 창작곡을 활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17)
① 대상 : 자폐아동 3명 대상
-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에 의해 선발
② 프로그램 실시
- 주 3회씩 30분 동안 총 20회기 개별 음악치료 실시
- 창작곡 17곡으로 구성
- 가사를 중심으로 언어연령이 34~72개월인 자폐성 아동 대상 곡 개발
③ 프로그램의 내용과 구성
- 1회기 : Hello Song, Good bye Song → 스카프 불기 발성활동 / 피아노, 우쿨렐레, 스카프, 에코마이크 사용
- 2회기 : 나는 나는 → 종이불기 / 피아노, 우쿨렐레, 에코마이크, 종이
- 3회기 : 내 이름은 나는 나는 → 비눗방울 불기 / 피아노, 우쿨렐레, 에코마이크, 비눗방울
- 4회기 : 색깔 어디 있나요? → 솔 발성 / 피아노, 공명실로폰
- 5회기 : 냠냠냠 → 솔 발성 / 피아노, 붐웨커, 과일쉐이커
- 6회기 : 숫자놀이 → 미 발성 / 피아노, 과일쉐이커, 5Bell
- 7회기 : 손가락 그림 → 미발성 / 피아노, 5Bell, 쉐잎사운드
- 8회기 : 동물친구 → 도 발성 / 피아노, 쉐잎사운드
- 9회기 : 흔들흔들 → 도 발성 / 피아노, 쉐이크
- 10회기 : 치카치카 → 라 발성 / 피아노, 쉐이크
- 11회기 : 콩콩 → 라 발성 / 피아노, 쉐이크
- 12회기 : 나의 하루 → 파 발성 / 피아노, 에코마이크
- 13회기 : 아름다운 사계절 → 파 발성 / 피아노, 에코마이크
- 14회기 : 반대로 → 레 발성 / 피아노
- 15회기 : 나의 하루, 아름다운 사계절, 반대로 → 레 발성 / 피아노
- 16회기 : 나 너 우리 → 시 발성 / 피아노
- 17회기 : 누구랑 무엇을 → 시 발성 / 피아노
- 18회기 : 나 너 우리, 누구랑 무엇을 → 도 ~ 시 발성 / 모든 악기
- 19회기 : 전체 노래 → 도 ~ 시 발성 / 모든 악기
- 20회기 : 전체 노래 → 도 ~ 시 발성 / 모든 악기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6. 발달장애 아동의 상담사례 (13) | 2023.09.27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5. 자폐성장애 아동의 상담사례 (20) | 2023.09.26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3. 음악치료 활동 (17) | 2023.09.24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2. 음악치료의 정의 및 원리 (37) | 2023.09.23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1. 특수아의 미술치료 (28)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