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62. 음악치료의 정의 및 원리

728x90
반응형

62. 음악치료의 정의 및 원리

1) 음악치료의 기초


① 음악치료의 정의
- 음악과 치료의 융합 : 예술과 과학의 교류적 과정

음악
- 멜로디, 하모니, 리듬을 갖추어진 우리 귀에 듣기 좋은 무리가 없는 아름다운 소리
- 우리 주변의 소음이나 침묵마저 음악의 범주에 포함
치료 : 의사가 행하는 의술이 아닌 약물이나 수술을 이용하지 않고 정신적 신체적 질병
치료

-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사람의 신체와 정신기능을 향상시켜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보
다 나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치료의 한 분야
- 음악이 변화의 매개물로서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해 주고 인간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며 자아실
현을 도와주는 과정
- 미국 음악치료협회(AMTA)의 정의 : 음악치료는 치료적인 목적(정신과 신체의 건강 복원, 유지 및 향
상)을 위해 음악을 사용하는 것 → 치료적인 환경 속에서 내담자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
성장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음악치료사가 음악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
- 자격 있는 음악치료사가 건강이나 학습의 문제를 가진 내담자의 심리적, 신체적, 인지적 및 사회적 기
능에 긍정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음악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것
② 음악치료에 대한 오해
- 음악감상을 통해서 정신치료의 일종 : ×
- 처방식 음악감상을 통한 병의 완치 또는 불건강한 상태의 개선 : ×
- 클래식, 세미 클래식 음악만을 사용 : ×

- 특정 종류의 음악을 CD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것 포함 : ×
- 전문적 훈련 없어도 음악적 배경이 있거나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스스로 할 수 있는 것 : ×
③ 음악치료사의 자질
- 다년 간의 음악수업 및 활동을 통한 음악에의 이해와 실기능력 바탕
- 음악치료학이 포함하는 다양한 인접학문에 대한 지식 구비
- 임상기술을 습득 및 개발한 전문가
- 다각적 치료팀의 일원
- 인간의 신체, 정서, 인지, 사회적 행동을 보다 적응에 가까운 쪽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개별화된 치
료 목표하에 음악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전문 임상가
- 음악치료의 홍보 및 교육에 주력하는 전문 직업인
④ 음악치료의 특징
- 음악치료는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서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에 영향력을 미침
- 음악치료는 고통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효과적인 비약물 치료 방법
- 음악치료는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잘 구성시켜 외부세계에 이를 표현하도록 만듦
- 음악치료는 사람과의 관계를 교류시키고 사회적인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
- 음악치료는 안정적이며 긍정적인 치료환경을 마련하여 치료 목적 달성
- 음악치료는 내담자의 생활환경을 보존하면서 치료적인 목적을 달성케 하는 경제적 방법


2) 음악치료의 원리


① 또래관계 발달에 의한 사회성 증진 : 음악치료가 주로 집단치료의 형태로 시행 → 집단 활동을 통해
다른 아동들과 관계를 형성하면서 집단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경험
② 비언어적 교류 수단으로서의 음악 : 음악을 통해 자유롭게 자신의 표현 → 자신이 표현한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직접적인 판단을 받지 않아 편안함 제공
③ 성취감을 통한 자긍심의 증진 :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악기들을 다루어 집단 활동에 참여 → 집단에 참
여한 다른 아동과 동등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인식을 하게 하여 성취감과 더불어 스스로에 대한 신뢰
와 만족감 제공
④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경험 제공 : 음악을 통해 슬픈 감정이나 기쁜 감정 또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
는 미묘한 감정 표현
⑤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 증대 : 핸드벨이나 즉흥연주 활동에서 자신의 역할이 전체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경험하면서 책임감 증대
⑥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형태의 협동과 경쟁 경험 : 음악에서의 경쟁은 다양한 음악적 양식을 통해서 협
동하면서 경쟁하는 경험 제공
⑦ 주의집중력과 기억력의 향상 : 치료자의 지시에 따라 음악활동이 이루어지므로 지시내용에 주의를 기
울이면서 집중
⑧ 치료적 환경에 필요한 즐거움과 오락 제공 : 우울하고 위축되어 있는 아동도 음악활동에 들어가면 즐
거운 마음을 갖게 되어 부드러운 치료분위기에서 치료시작

 

3) 음악치료의 유형


- 행동주의적(음악활동 중심) 음악치료와 정신역동적(내면 통찰과 즉흥 연주 중심) 음악치료
① 행동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음악치료
- 행동수정에 초점을 둔 정확한 자료와 분석관찰로서의 치료 방법
- 음악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내담자의 음악 외적 행동들을 치료 목적으로 두고, 문제되는 행동들을 음
악을 이용해 보완 수정하는 방법
- 단계적인 목표와 그에 따르는 활동 및 절차를 지님
-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측정 가능한 용어로 설계한 계획에 따라 행동 증가와 감소 평가
- 미국 켄사스 대학 중심의 음악치료 학파
②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하고 각 개인마다 잠재력이 있으며 모든 인간은 잠재력을 펼칠 수 있는
자아실현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
- 내담자의 자신의 잠재력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제공하는 목적으로 음악 사용
- 미국 뉴욕대학 중심의 음악치료 학파
③ 정신분석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 내담자 자신의 가능성을 자각 못하게 막는 장애물과 개인적 목표를 달성 못하게 막는 장애물 제거하
기 위하여 무의식 세계를 탐색
- 내담자와 치료사가 언어와 상징적 즉흥연주를 사용하여 즉흥연주에서 나타나는 전이와 역전이 중요시
- 영국 메리 프리슬리에 의해 발전된 모델
④ 생체의학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 인간의 뇌 기능에 미치는 음악의 영향력과 음악의 효과에 바탕
- 통증과 음악이 뇌로 전달되어지는 과정, 감정을 일으키는 뇌 부분에서의 음악적 자극의 신경전달과정,
대화와 움직임에 연관된 음악에 대한 생리적 반응, 불안과 스트레스 생리학에 대한 음악의 효과
⑤ G.I.M.(guided imagery and music)
- 미국 Helen Bonny가 발전시킨 음악치료 방법으로 어린 시절 정신적 쇼크를 가지고 있던 청소년의 의
식세계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시작
- 음악의 연상작용을 통해 내담자의 상태, 결핍 등을 치료사가 대화로 이끌어내는 치료 방법
- 음악이 무의식에 있는 감정을 자극하여 전에 느끼지 못했던 기분을 느끼게 하고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치료 : 이완된 몸과 마음의 상태에서 고전음악을 감상하는 동안 일어나는 심상을 통하여 자아실현을
경험할 목적으로 사용
과정 : 선택된 음악을 듣기 위한 준비 → 이완과 집중 → 음악의 청취

숙면을 위한 곡
Bach:골드 베르크 변주곡
Debussy:PianoSonata(비의 정원)
Mozart:자장가
Schubert:아베마리아
기억력을 높여주는 곡
Beethoven:로망스 G-major
Vivaldi:플롯 Sonata(충실한 양치기)
증오와 질투를 완화시키는 곡
Bach:크리스마스 Oratorio(목자의 음악)
Bach:마태 수난곡
Beethoven:장엄 미사곡 D-major
Faure:Requiem
초조,욕구불만,분노를 식혀주는 곡
Beethoven:SymphonyNo.7A-major제4악장
Rossini:가극(윌리암 텔)서곡 폭풍
Vivaldi:ViolinConcerto(화성에의 영감)
생의 즐거움과 용기가 솟아나는 곡
Beethoven:PianoSonataNo.33(열정)f-minor제
3악장
Haydn:CelloConcertoD-major
Mozart:현악5중주 No.5g-minor제4악장
Rossini:가극(알제리의 이탈리아 아가씨)
명랑하고 경쾌해지는 곡
Bach:이탈리아 ConcertoF-major
Bizet:비제의 모음곡
Mozart:봄의 동경
평온한 기분이 되는 곡
Bach:브란덴부르크 ConcertoD-major
Debussy:교향시(바다)
Handel:합주,협주곡 No.2F-major
Tchaikovsky:발레 음악(백조의 호수)
슬픈 기분을 어루만져 주는 곡
Beethoven:PianoSonataNo.26(고별)E-major
Brahms:SymphonyNo.4e-minor
Chopin:환상의 폴로네즈 A-major
Kreisler:사랑의 슬픔
Schubert:가곡집(겨울 나그네)
Handel:모음곡(왕궁의 불꽃 음악)
Handel:SymphonyNo.94(놀람)G-major
우울한 기분을 달래주는 곡
Liszt:헝가리 광시곡 No.2c-minor
Mozart:SymphonyNo.40g-minor
Schumann:Piano5중주 E-major제2악장
Tchaikovsky:우울한 세레나데
자살방지를 위한 곡
Bach:미사곡 b-minor
Faure:엘리제(비가)
Mozart:프리메이슨을 위한 장송곡
Tchaikovsky:SymphonyNo.4f-minor
Tchaikovsky:SymphonyNo.6(비창)b-minor
불안한 기분을 진정시켜 주는 곡
Bach:토카타 Adagio와 FugueC-major
Bach:환상곡과 FugueG-major
Bach:미사곡 B-major
Mozart:Requiem
피로한 마음에 상쾌한 기분을 주는 곡
Debussy:PianoSonata(물에 비친 그림자)
Vivaldi:ViolinConcerto'FourSeasons'중 봄
Haydn:StringQuartetF-major(세레나데)
Beethoven:ViolinConcertoD-major
16)

 

⑥ 창조적 음악치료
- 미국 피아니트스겸 작곡가 Paul Nordoff & 영국 특수교사 Clive Robbins 발전시킨 음악치료 방법
- 치료자사 치료적 음악과 상황을 연속적으로 창조하고 내담자가 적극적인 음악만들기에 관여하여 적극
적이고 표현적인 것에 초점을 두는 치료방법
- 음악은 치료적 성장을 위한 자극과 반응으로 사용되고, 언어적 상호작용은 최소한 사용
- 치료 안에서의 음악이 아니라 치료도구로서 음악 사용
⑦ 자유로운 즉흥음악치료
- Juliette Alvin에 의해 발달된 접근방법
-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규칙, 체계, 주저없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즉흥연주하도록 하면서 내담자에게 절
대적인 자유주기 방법 활용
- 음악치료과정은 지적, 신체적, 사회적, 감정적 성장의 연속 단계에서 계획되어지고 충족되어야 하는
발달과정으로 봄
- 발달과정에서 내담자가 자기, 타인, 사물에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도와주는 것 강조
- 즉흥연주는 치료에 대한 포괄적 음악적 접근의 한 부분으로 사용
- 악기사용이 매주 중요한 접근 : 악기는 치료의 통합적인 부분으로 사용되고 내담자와 치료사의 관계
에 중요한 역동적 기능 제공


2. 음악치료 활동


1) 음악치료의 방법
- 음악에 대한 사람의 반응은 각양각색의 주관적 경험이기 때문에 어떤 음악이 좋다고 판단과 평가 안됨

① 수동적 음악치료
- 음악감상을 통하여 내담자의 긴장이완을 돕거나 심상을 촉진시키는 방법
② 적극적 음악치료
- 내담자와 치료사 간의 즉흥연주,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등 내담자의 반응을 끄집어 낼 수 있는 음
악적 활동하는 방법

즉흥연주
- 즐겁고 창조적인 음악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한 방법
- 음악을 이용한 여러 가지 활동
- 적극적인 참여를 상황에 따라 창조적으로 유발시키는 수단
- 즉흥연주과정에 참여하면서 음악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이 치료경험의 중심이 되게 함
- 치료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매개체를 제공하여 내담자의 치료적 성장에 동기와 긍정적
영향 부여
- 음악이라는 틀을 통해 자신의 내부경험 표출과 표출된 내부경험의 인정은 즐거운 경험
이 되고 보다 나은 삶으로 도약하기 위한 토대 제공

 

2) 음악의 치료적 요소


임상에서 치료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음악의 힘
① 음정
- 진동수에 의해 생기며, 진동수가 많으면 높은 음정이 나고 진동수가 낮으면 낮은 음정
높은 음정은 자극적이면서 신경의 긴장을 낮은 음정은 이완적 효과를 유도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음정 : 음의 높낮이에 따라 신체의 위 아래 지시하는 활동
음의 대조는 청격변별력, 주의집중, 방향성 제시 활용
② 강약
- 강도는 진동의 폭에 의한 것으로 진폭이 크면 음량이 커짐
- 부드러운 음향은 친밀감을 가져다주며 안전한 분위기를 조성
- 강약의 변화는 개인의 정서상태나 기분에 심리적 생리적 영향
③ 음색
- 소리의 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악기의 특성과 사람의 음성을 구별시켜 주는 음악의 요소
- 악기소리를 구분하고, 악기에 따른 그림이나 동작, 글씨를 인지하도록 훈련하는 능력
- 특정 악기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치료자와의 친밀감 형성
④ 화성
- 주파수가 다른 두 개의 음들이 동시에 날 때 맺어지는 관계
- 화성의 진행을 통해 긴장과 이완하게 되는데 협화음과 불협화음의 결합은 긴장과 이완의 역동적 드라
마 형성
- 음악적 진행이 불협화음이 많아도 결국 협화음으로 끝나면서 정서적 안정감 제공

- 노래부르기와 악기연주를 풍부하게 하여 즐거움 음악적인 경험을 갖게 하고 표현력과 동기를 향상시

- 느린 박의 아르페지오 베이스음은 부드럽고 큰 동작을 유발시키며,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베이스음은
뛰기나 박수치기, 북치기 같은 반복적 동작을 유발
- 5음 음계의 화음은 조화를 이루는 화음 → 내담자와 치료자가 화성속에서 완전히 조화를 이루면 내담
자의 자신감과 자존감 높이며, 치료사에게 이해되고 있다는 경험 제공
⑤ 리듬
- 이완기간 사이사이에 산재하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박자나 악센트로 특징지어지는 흐름 도는 움직임
- 리듬은 활동에 활력을 주고, 신체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
- 가사를 리드미컬하게 패턴화하여 노래하는 것은 발성을 자극하여 말을 하게 돕는 활동
⑥ 가사
- 노래가 중심이 되는 치료에서 분리될 수 없는 부분
- 가사는 정서를 이완시키고 경험과 느낌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상상력을 자극
- 이미 만들어진 가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즉흥적으로 만들어 사용
- 아동의 현재 활동을 묘사하는 가사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언제, 무엇을, 어떻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
시켜 주어 자신의 정체성을 획득하게 도와줌


3) 음악치료의 반응


- 음악은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반응의 유발
① 생리적 반응
- 미국 탬플 대학의 딜레오 머란토 교수팀 : 음악 감상과 신체 이완법이 인간의 면역체계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침 → 암환자의 면역 증가요법의 사용
- 통증의 경감 : 통증이라는 부정적 자극으로부터 음악과 연상을 이용한 긍정적 자극으로 이끌어 내어
통증의 경함
② 심리적 반응
- 음악 자체가 정서를 유발하지는 않음 → 음악을 듣는 사람의 과거 경험이 음악과 연관되어 정서적 반
응 유발
- 음악의 성격은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과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으로 구분 :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은 빠
른 빠르기, 강한 박자, 음악적 구조의 급작스러운 변화 등의 성격을 포함하고,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
은 그 반대 성격
- 흥분을 지향하는 음악은 노인성 치매 환자를 위해서 신체적 자극과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에 비하여
안정을 지향하는 음악은 흥분을 가라앉히고 신체적 이완 촉진이 필요한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사용
③ 사회적 반응
- 음악을 통해 사회적인 현상을 노래하고, 자신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함
- 언어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잠재된 내면의 문제를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자기인식을
통하여 표현되면서 새로운 사회적 교류를 이루도록 연결
- 집단 음악치료 → 집단 구성원들을 참여시키고 동기를 유발시켜 유대감을 갖도록 도와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