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 대상관계와 인간의 행동
1) 대상과 대상관계
① 사회적 존재 :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는 존재
- 개인 내적 관계(intrapsychic relationship)
- 대인간 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
② 대상 : 태어나서 처음 만나는 사람
- 어린 시절 형성된 양육자와의 관계가 개인 내적 관계와 대인관계에 영향
정신분석 : 대상의 중요성 강조 vs 대상관계 : 대상과의 관계 중요성 강조
③ 대상관계
- 자기와 대상(타인, 양육자, 엄마)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 내적 표상
- 개인은 대상과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과 자기에 대한 표상이 형성되고, 행동에 대한 기대를 가지며
그와 관련된 감정들과 상황에서도 표상 형성
-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의 관계 → 성격발달과 정신병리의 핵심
2) 대상관계 이론의 핵심개념
① 대상의 세 유형
- 이 정도면 충분한 부모 노릇 → 건강한(혹 이상적) 자아 발달(진짜 자아)
- 충분한 지지와 공감을 토대로 양육 -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세상에 대한 탐험 시작 - 만족을 제 때에 제대로 주는 엄마 |
- 완벽한 부모 노릇 → 병리적 자아(가짜 자아)
- 자신의 욕구에 맞추어 자녀를 양육(부모가 아이의 욕구 잘못 판단) - 자녀의 욕구보다 자신의 증명에 관심 - 아이는 양육자의 욕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자녀가 부모의 눈치를 보면서 성장) |
- 거부 또는 착취하는 부모 노릇 → 거짓 자아(가짜 자아)
- 공감하기보다는 비난과 질책의 방식으로 양육 - 대상의 모습을 그대로 내면화하여 다세대 전수 - 나쁜 모습과 좋은 모습을 분열하여 나쁜 모습은 다른 사람에게 투사 |
② 역기능적 성격장애 : 병리적 혹은 거짓 자아로 파생
- 정신분열 성격장애 : 다른 사람과 관계 및 접촉 단절(유아를 거부하거나 거절하는 태도를 지니게 되면
유아는 두려움과 불안 경험하면서 다시는 경험하지 않기 위해서 대상과의 관계 단절)
- 자기도취적 성격장애 : 인정받고자 하는 영원한 갈망으로 인생 살아감(거부하는 엄마의 태도로 유아는
자신을 보잘것 없는 존재로 확인하면서 초라한 모습을 받아들이지 않게 되어 자신의 모습을 대단한
사람으로 생각)
- 경계선 성격장애 : 자신을 비하하거나 자신을 신뢰하지 못함(부모 자신의 욕구를 유아를 통해 충족하
게 되면 유아는 자율성 의지 상실하고, 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형편없는 것으로 판단)
③ 대상항상성
- 대상이 비록 불만족스러울 때도 계속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
- 사랑과 적개심의 감정을 인식하고 인정하는 능력
- 자신의 곁에 없어도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사실
- 자기항상성 : 실망스럽고 좌절스러운 경험이 있어도 자신에 대해 결점도 있지만 나는 괜찮을 사람이
다로 인식(I‘ m good enough)
④ 분리
좋음과 나쁨을 분리하여 경험하면서 나쁨의 경험과 감정은 완전히 차단
천사표 : 자신의 나쁜 측면을 수용하지 못하고, 타인의 나쁜 측면도 수용하지 못함
3) 대상관계에서 설명하는 문제와 상담
① 병리적 현상
- 분리, 분열, 투사적 동일시, 애착과 개별화간의 불균형
② 상담자
- 인격적 성숙성, 인격의 좋음과 살아있음, 따스함과 부드러움, 진정성과 안정감, 공격성과 튼튼함, 건강
한 자기애와 창조성 및 유머감각
③ 상담 : 좋은 대상과의 반복적인 깊은 만남과 경험을 토대로 재경험
- 해석을 통한 통찰
- 상담자와 갖는 관계의 질적 경험이 중요한 치유 요소
④ 상담기법 : 안아주기와 달래주기
- 안아주기 : 마음을 편안하고 포근하게 해 주기(신체적 및 정서적 심리적 안아주기)
- 달래주기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1. REBT와 인간의 행동 (34) | 2023.09.12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0. 인간중심이론과 인간의 행동 (32) | 2023.09.11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8. 정신분석과 인간의 행동 (20) | 2023.09.08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7.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과 상담 (24) | 2023.09.07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6. 청각장애의 이해 (23) |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