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인간중심이론과 인간의 행동
1) 인간관
① 인간마다 현실을 각기 달리 지각하고 주관적인 경험이 행동을 지배함
- 외부적 현실 < 내부적 경험
- 피동적 삶 < 자유로운 능동적 삶
②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유로우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유목적적이며,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방향
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가는 미래지향적 존재
③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경향성을 가지고 태어남
④ 문제를 지닌 사람도 당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람도 당신
2) 핵심개념
① 현상학적 장
- 경험적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으로 불리는 개념
-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객관적 실체 < 주관적 경험)
-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에 대한 각 개인의 현재의 해석
② 자아(성격 구조의 핵심)
-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인식
- 자아개념은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개인의 개념으로 자아상
- 건강한 자아 : 경험에 개방적이고, 자신의 감정을 수용하고, 과거나 미래에 얽매이지 않고, 현재의 삶
에 충실히 살아감
- 두 자아 : 현실자아(real self)와 이상자아(ideal self)
→ 현실자아 :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
→ 이상자아 : 앞으로 자신이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며, 어떤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지
에 대한 인식
자아는 자신이 세상에서 경험하는 것을 어떻게 지각하는가를 바탕으로 하여 변화하는 역동적 과정
③ 자아실현경향성(self actualization)
- 모든 인간은 성장과 자기증진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며, 고통이나 성장방해요인에 직면하여 극복
할 수 있는 성장 지향적 유기체임
- 성장지향적 동기 : 기본적 행동동기
- 자기실현의 과정은 자신을 창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인간은 삶의 의미를 찾고 주관적인 자유를
실천해 감으로써 점진적으로 완성되어 감
④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fully functioning person)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최적의 심리적 적응, 최적의 심리적 성숙, 완전한 일치, 경험 에 대한 완전한 개방을 갖춘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의 특성은 정적이지 않고 과정 지향 적이다. 즉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사람으로 과정 중에 있는 사람 이다.” Rogers(1959) |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경험에 개방적이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실존적 삶, 즉 매순간에 충실한 삶을 영위한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자신의 유기체를 신뢰한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창조적이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제역 혹은 억제 없이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은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3) 인간중심 상담
(비지시적 상담 → 내담자 중심 상담 → 인간중심 상담)
① 심리적 부적응(문제)의 발생
- 유기체적 존재로서 인간은 긍정적 존중에 대한 욕구와 사랑받고자 하는 욕구 지님
- 자신의 경험을 무시하고 타인의 반응을 민감하게 받아들임
-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의 가치체계를 그대로 받아들이게 되고,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기초로 사용(→ 가
치의 조건화)
가치의 조건화 : 가치가 있고 없음을 규정짓는 외부적인 조건들을 말하는 것으로 외적으 로 규정된 조건들에 들어맞을 때 가치가 있는 것이며, 외부적 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가치가 없는 것으로 인식 |
- 심리적 부적응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타고난 가능성과 잠재력을 발견하지 못하고 외적으로 부여된 가
치 조건들에 맞춰 살려고 할 때 생겨남
내면화 : 외적으로 규정된 조건들에 맞추어 성장하기보다는 자신 고유의 모습과 일치되 는 경험들을 하게 되어 가치들을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면서 실 현시키는 자원으로 활용 |
② 상담의 목표
- 내담자의 자기개념과 유기체적 경험간의 불일치를 제거하여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는 것
→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기실현방향으로 나아가게 함
- 상담의 초점 :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자체에 두어야 함
→ 내담자가 가진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내담자의 성장과정을 도와 앞으로의 문제까지
잘 다룰 수 있도록 돕기
- 조건 : 내담자가 불안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신뢰할 만한 분위기 조성
내담자가 자기를 거리낌 없이 자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조장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조력
③ 상담과정
- 비자발적인 내방, 피상적이고 경직된 대화
- 가끔 감정의 표현, 과거의 객관적인 경험의 하나로 묘사, 마치 다른 사람의 문제처럼
- 많은 감정의 사적인 표현, 아직 지금 여기의 감정이나 경험이 아니고 하나의 객체로서 자기와 관련된
경험들의 표현, 문제소재의 내면적 귀인
-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 의식하기를 부인했던 감정의 표현, 그러나 극렬한 감정의 적나라한 표현은 없음
- 유기체적 유동성의 증가, 지금 여기서의 느낌 상태대로 감정의 표현, 감정의 수용, 부인되었던 감정들
이 의식상으로 부상, 진실된 나가 되려는 바램, 자신의 문제에 대한 책임감 증대
- 극적인 발전, 전에 부인했던 감정들을 즉각적으로 현재의 경험들로 수용, 객체로서의 자아가 사라지고
자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대처
- 상담자의 도움 필요성 사라짐, 상담관계에서나 상담 장면이 바깥에서도 개인은 새로운 감정들을 즉시
그리고 충분히 느긋하게 경험, 자아와 유기체의 경험들 간의 불일치성은 최소화되거나 일시적.
- 자아에 대한 신뢰,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성장
④ 상담자의 역할
-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해결을 돕는 것만이 아니라 내담자의 내적 자원을 개발하도록 돕는 촉진
자의 역할
- 내담자 스스로 상담회기를 이끌어 갈 능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상담자의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개입
없이도 내담자가 자신의 심리적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고 간주
- 상담자는 진단이나 해석하지 않으며 지시하지 않고 내담자 자체에 초점을 맞춤
4) 공감, 수용, 진실성
“상당히 많은 상담자들의 견해에 반해, 나는 상담의 성공을 결정짓는 요인은 기술적인 방법 혹은 상담자의 훈련, 예를 들면, 능숙하게 꿈을 해석한다거나, 섬세하게 감정을 반영한다거나, 전이를 다루는 것, 또는 미묘한 방식으로 긍정적 강화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생 각을 오랫동안 유지해 왔다. 대신에 나는 심리치료의 성공에 영향을 주는 것은 내담자에게 전 달되고, 내담자에 의해 지각된 상담자의 어떤 태도라고 믿는다.” (Rogers, 1966) |
① 진실성(가장 중요한 태도로 강조)
“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보았을 때, 내 자신이 아닌 모습으로 행동하는 것은 도움이 되 지 않음을 알았다. 사실 나는 판단을 내리고 평가를 하면서도 비판적이고 비평가적인 태도 를 지닌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은 제한을 두고 싶으면 서도 마치 허용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르면 서 아는 것처럼 보이고자 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실은 적대적이면서 사랑스러운 것처럼 보이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나의 내부에서는 꽤 다르게 느끼고 있으면서 표면에서는 그것과 다르게 행동하는 것, 즉 겉모습만을 유지하려고 하는 것은 관 계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Rogers, 1993) |
- 상담자가 내담자를 만나는 동안에 상담자의 ‘ 실제의 자기’ (actual self) 모습이 되는 것을 의미함 →
가식 없이 개방적으로 그 순간에 자신에게 흐르는 감정과 태도를 가지는 것
- 상담관계 속에서 진실성 : 가식적이고자 하는 유혹이나 전문성이라는 가면 즉, 전문가적인 태도 뒤에
숨고자하는 유혹을 피하는 것을 의미함
- 내담자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면서도 관심과 걱정 그리고 내담자를 좋아한다는 태도 속에 감
추지 않기
②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수용)
- 인간의 이야기에 대한 관점 : 이해 < 평가(판단)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해서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느낀다. 이는 솔직한 그리고 평가 하지 않는 긍정적인 감정이다. 이는 판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내담자들이 고통스 러움이나 적개심, 방어성, 이상한 감정들을 표현할 때나, 좋고 긍정적이며 성숙한 감정들 을 표현할 때에나 똑같이 수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난 네가 이렇게 이렇게 행동하는 것이 싫단다. 네가 좀 더 어른스럽게 행동하면 너에게 더 관심을 가져줄게. 라는 식의 조건화 는 그 사람을 자기 본연의 모습에서 멀어지게 만들뿐이다.” (Rogers, 1966). |
- 내담자는 인간의 잠재력을 가진 한 사람임이라는 확신
- 내담자의 생각, 감정, 그리고 행동의 평가에 의해 좌우하지 않는 보살핌과 깊이 있고 진정한 보살핌으
로 의사소통 하는 것을 의미
- 평가하지 않고, 판단하지 않고, 상대방을 특정 진단명을 가진 규정된 존재로서 보는 것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 보고, 그 인격을 무조건적으로 동등하게 존중하고 대함을 의미
③ 공감적 이해
“정확한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가 완전하게 내담자의 세계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것은 지금 여기에서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감정들에 대해서 순간 순간 민감함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상다마가 내담자의 사적인 의미의 세계 속에서 느끼는 것을 말한다(Rogers, 1966). 공감이 잘 일어났을 때 상담자는 내담자가 인식하고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인식 아 래 수준의 의미까지도 명확히 할 수 있는 내담자의 사적인 세계에 더욱 더 깊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민감하고 적극적인 경청은 우리들의 일상 생활속에서는 드문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잘 듣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진실로 이해하고 진실한 공감을 하면서 듣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특별한 경청은 변화를 위한 가장 잠재적인 힘들 중의 하나이다,” (Rogers, 1980) |
- 내담자가 경험하고 있는 감정들과 개인적인 의미들을 상담자가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을 의미함
- 내담자의 내적 참조체계를 통해서 내담자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어떠한 평가도 판단도 내
리지 않고 수용하는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이 필요
상담자의 가식 없이 순수하게 안과 밖의 일치라는 진실성을 필요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2. 행동주의 학습이론 (30) | 2023.09.13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51. REBT와 인간의 행동 (34) | 2023.09.12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9. 대상관계와 인간의 행동 (27) | 2023.09.10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8. 정신분석과 인간의 행동 (20) | 2023.09.08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7.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과 상담 (24)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