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1.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728x90
반응형

41.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1)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진단 및 평가


① DSM-V 진단기준
- PTSD의 하위 분류 : 충격적인 외상사건이나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한 후 부적응증상을 나타내는 다양
한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1개월 이상 지속)/ 급성 스트레스 장애(멍함, 극심한 공포, 막연한 불안
감, 회피, 과잉반응, 우울감 증상이 4주 이내 치유 및 회복)
-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장애/ 적응장애
- 증상 : 침습, 회피, 인지와 기분의 부정적 변화, 과각성
② 심리검사
- Foa(1997)의 외상후진단척도(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PDS)

1장 : 외상사건 12가지 제시하여 경험한 외상사건을 표시하고 간략하게 기술
2장 : 응답한 사건 중 현재 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표시
3장 : 지난 1개월 동안 증상을 경험한 빈도 보고
4장 : 증상으로 인한 장해 정도 측정

 

2) PTSD를 위한 개입
① 매뉴얼화된 개입전략
- 안전단계 : 정확한 정보제공과 심리교육을 통해 안전과 치료동맹을 구축 / 정서적 안전감을 획득하고
통제하는 기초적 방법 가르치기(호흡과 이완훈련, 그라운딩 등) / 외상의 신경생리학적 기초 지식을
이해하고 외상자에게 사건과 반응을 구분하도록 심리교육
- 기억과 애도작업 단계 : 신체자각과 마음챙김, 안정화 각성상태의 조절, 인지재구조화, 애도반응 등의 활동

신체자각과 마음챙김 : 신체에서 보내는 다양한 신호를 관찰하여 외상자가 자각할 수 있
도록 반영
안정화 각성상태의 조절 : 너무 많이 각성되어 과각성으로 재외상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휴식, 중단, 회복을 조절하기
인지재구조화 : 실제나 상상노출, 점진적 노출을 사용하여 외상에 대한 인식을 재구성화
애도반응 : 트라우마 치료의 마지막 신호인 애도적인 슬픔이 올라오도록 하기

- 일상으로의 복귀단계 : 조언 및 과제주기(창의적 복귀), 사회적 의식, 의미체계 구축과 외상후 성장

 창의적 복귀 : 외상경험을 극복하고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기 위한 무언가를 창
조하기
 사회적 의식 : 사회적으로 함께하는 의식에 참여하기
 의미체계 구축과 외상후 성장 : 외상사건 이후 기존 세상에 가정, 신념, 신뢰 등의 변화

② 상담
- 지금 여기에서의 자신의 심리상태 알아차리기
-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 감정의 의미와 중요성 깨닫고, 다양한 감정과 욕구 찾고 바라보기
- 핵심감정을 찾고 이름 붙여서 표현하고 전달하기
- 자신의 힘 알아차리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