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0. 선택적 함묵증을 위한 개입과 상담

728x90
반응형

40. 선택적 함묵증을 위한 개입과 상담

1) 선택적 함묵증의 진단 및 평가
① DSM-V 진단기준
-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다.
-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한다.
- 이러한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된다.
-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 장애가 의사소통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또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② 언어장애와 구분하여 진단
- 음성학적 장애, 표현성 언어장애, 혼재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말더듬기 등의 의사소통 및 언어장애와
는 감별되어야 함


2) 선택적 함묵증 개입
- 단기간 : 따뜻하게 격려하면서 지켜보기
- 장기간 : 학교 부적응이나 사회성 발달의 문제, 학습장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과 치료 개입 필요
① 부모교육 및 가족치료
- 심한 정신질환 유발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교육 필요 : 일방적 강요 및 심한 체벌의 방식은 건강한 성
격형성 파괴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 유발
- 낯선 치료과정을 싫어하거나 거부하므로 오랜 시간 상담 필요 : 성급하게 중단하지 않기

벌을 주거나 말하도록 하여 보상을 주는 것은 침묵을 유지시키므로 가급적 피하기
편하게 느끼는 상황에서 독서, 이야기 꾸미기 등의 활동 격려하기
부모와의 비언어적 활동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격려하기
말할 기회는 제공하되 강요하지 않기

② 놀이치료
- 다양한 간접적 대화패턴을 활용하여 점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 놀이치료가 유용하나 치료기간이 길다는 점(6개월 ~ 1년정도) 인식하여 참여하기
- 말하도록 강요하기보다는 놀이에 표현된 의미에 주목하기
- 말하기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말하도록 하기
-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집단활동에 참여시키기
③ 약물치료
- 말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라기보다 말을 하고 싶어도 못한다는 관점의 사회공포증으로 보는 경우 사회
공포증치료약물을 병행하기도 함

④ 상담 : 애착과 자존감의 재형성
- 말을 하지 않게 되면 학업이나 또래관계 등 사회적 어려움 동반하여 2차적 문제로 연결되는 경우 우
울과 불안 및 대인공포증(대인기피증, 사회공포증)으로 연결
- 뇌 기능 이상이나 발달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보다는 심리 상담으로 접근
- 말을 하라고 유도하기보다는 꾸준히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와지지
- 애착 재형성하기 :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적절한 반응하기
- 자존감 올려주기 : 조언과 지시하기 보다는 들어주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