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선택적 함묵증을 위한 개입과 상담
1) 선택적 함묵증의 진단 및 평가
① DSM-V 진단기준
-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다.
-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한다.
- 이러한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된다.
-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 장애가 의사소통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또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② 언어장애와 구분하여 진단
- 음성학적 장애, 표현성 언어장애, 혼재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말더듬기 등의 의사소통 및 언어장애와
는 감별되어야 함
2) 선택적 함묵증 개입
- 단기간 : 따뜻하게 격려하면서 지켜보기
- 장기간 : 학교 부적응이나 사회성 발달의 문제, 학습장애 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과 치료 개입 필요
① 부모교육 및 가족치료
- 심한 정신질환 유발 예방하기 위해서 부모교육 필요 : 일방적 강요 및 심한 체벌의 방식은 건강한 성
격형성 파괴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 유발
- 낯선 치료과정을 싫어하거나 거부하므로 오랜 시간 상담 필요 : 성급하게 중단하지 않기
▪ 벌을 주거나 말하도록 하여 보상을 주는 것은 침묵을 유지시키므로 가급적 피하기 ▪ 편하게 느끼는 상황에서 독서, 이야기 꾸미기 등의 활동 격려하기 ▪ 부모와의 비언어적 활동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격려하기 ▪ 말할 기회는 제공하되 강요하지 않기 |
② 놀이치료
- 다양한 간접적 대화패턴을 활용하여 점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 놀이치료가 유용하나 치료기간이 길다는 점(6개월 ~ 1년정도) 인식하여 참여하기
- 말하도록 강요하기보다는 놀이에 표현된 의미에 주목하기
- 말하기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말하도록 하기
-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집단활동에 참여시키기
③ 약물치료
- 말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라기보다 말을 하고 싶어도 못한다는 관점의 사회공포증으로 보는 경우 사회
공포증치료약물을 병행하기도 함
④ 상담 : 애착과 자존감의 재형성
- 말을 하지 않게 되면 학업이나 또래관계 등 사회적 어려움 동반하여 2차적 문제로 연결되는 경우 우
울과 불안 및 대인공포증(대인기피증, 사회공포증)으로 연결
- 뇌 기능 이상이나 발달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보다는 심리 상담으로 접근
- 말을 하라고 유도하기보다는 꾸준히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와지지
- 애착 재형성하기 :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적절한 반응하기
- 자존감 올려주기 : 조언과 지시하기 보다는 들어주기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2. 영재아의 정의와 출현율 (35) | 2023.09.02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41.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24) | 2023.09.01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9. 분리불안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26) | 2023.08.31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8. 틱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44) | 2023.08.30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이해 (44)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