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수아상담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9. 분리불안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728x90
반응형

39. 분리불안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1) 분리불안장애의 진단 및 평가
① DSM-V 진단기준 
-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대한 공포나 불안이 발달수준에 비추어 볼 때 부적절하고 지니친 정도로 발생한다.

집 또는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심한 고통을 반복적으로 겪음
주 애착 대상을 잃거나 질병이나 부상, 재앙 또는 죽음 같은 해로운 일들이 그에게 일어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곤란한 일이 발생하여 주 애착 대상과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분리에 대한 공포 때문에 집을 떠나 학교, 직장 혹은 다른 장소로 외출하는 것에 대해 지속
적으로 거부하거나 거절함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주 애착 대상 없이 있거나 혼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하
게 두려워하거나 거부함
집에서 떠나 잠을 자는 것이나 주 애착 대상 곁이 아닌 곳에서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과
도하게 거부하거나 거절함
분리 주제와 연관된 반복적인 악몽을 꿈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반복적인 신체 증상을 호소함

- 공포, 불안, 회피 반응이 아동 청소년에서는 최소한 4주 이상, 성인에게서는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② 부모자녀간의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관찰하여 평가 : 자녀의 불안에 대처하는 부모의 영향 및 방법 평가


2) 분리불안장애의 개입
① 가족상담
- 부모의 불안을 함께 조절하고, 분리를 시도하고 훈련하는 인지행동상담 필요
- 밀착된 가족관계에 대한 분리
② 부모자녀 상호작용 요법
- 1단계 : 자녀중심 상호작용(부모 자녀 관계의 질 향상을 목표로 포근하게 하기, 주의 기울이기, 칭찬하
기 기법 활용하여 자녀의 안전감 강화)
- 2단계 : 용기중심 상호작용(자녀가 불안을 느끼는지에 대한 부모교육, 불안감을 일으키는 상황과 관련
하여 능동적인 반응에 대한 보상체계 수립)
- 3단계 : 부모중심 상호작용(자녀와 명확하게 소통하는 방법 교육, 아동의 불량한 행동 관리)
③ 학교환경 : 성공적인 치료에 필요한 열쇠
- 집을 떠나 학교에 있어야 하는 경우 응급시 부모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 제공
- 또래 집단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원체계 구축
④ 놀이치료

- 양육자에 대한 신뢰감과 안정감을 가지도록 재경험 유도
- 아동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 제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