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이해
1)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의미
-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겪을 수 없는 생명을 위협하는 극심한 사건을 경험한 뒤 심리적 외상을 받아 발
생하는 정신과적 증후군
- 외상적 사건(자연재해, 전투, 공격,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 또는 기타 외상 등의 사건)을 겪거나 목격
한 후에 피해자를 무력하게 만드는 불안장애의 유형
▪ 외상을 경험, 목격, 직면한 후 : 자신이나 타인의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이나 심각한 장애 또는 신체적 안녕에 위험을 가져다주는 사건 ▪ 스트레스 :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과도한 수준의 환경의 변화나 개인의 욕구와 관련된 일련의 반응 ▪ 장애 : 유의미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의 저하 |
②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증상
- 위협적인 사건의 재경험 : 악몽, 기억의 반추(과거의 외상사건이 너무 생생하여 마치 그 사건이 실제
로 지금 다시 일어나고 있다고 뇌가 생각)
- 책임감의 축소 또는 주변에 대한 관심 상실, 회피(외상 관련 생각, 감정, 신체감각을 회피함으로써 고
립감을 느끼거나 좋아했던 주요활동에 대한 흥미 참여 감소)
- 과각성 : 쉽게 자증내거나 화를 내고 이를 통제하는 것에 어려움(불쾌한 기분, 불안, 우울, 공포, 죄책
감 등)
- 수면 및 식습관 장애
- 인지기능의 저하 : 인지와 기분의 부정적 변화로 외상사건의 서술적 기억에 대한 기억력 감퇴(해리성
기억상실증), 자기와 타인 및 세상에 대한 불신과 부정적 인식
- 약물 및 알코올 남용
- 충동적 및 자기파괴적 행동 : 청소년의 경우 기물 파손, 학교폭력 가담, 가출의 지위비행과 만성적으
로는 자포자기 및 좌절감으로 인한 자살이나 자해행동 시도
2) 특성과 역학
① 특성
-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경험됨
- 사건 직후에 나타나기도 하고 수일 혹은 수개월 뒤에 발병하기도 하며, 드물게는 수년의 세월이 흐른
나중에도 발병함
② 역학
- PTSD의 예후 : 30% 완전 회복, 40% 경한 증상, 20% 중등도의 증상이 지속, 10% 변화가 없거나 악화
- 예후가 좋은 경우 : 급격한 증상 발생하고 6개월 이내의 짧은 유병기간, 높은 병전 적응 수준을 지니
고 적절한 지지체계를 구축, 다른 정신질환이나 신체질환이 없는 경우
- 예후가 안 좋은 경우 : 어린 나이 또는 중년 이후에 발병, 지지체계 부족, 다른 질환 동반될 때
3) PTSD의 원인
① 외상사건
- Big T : 전쟁, 가정 사회의 폭력, 강간, 재난, 각종 사고(대구지하철, 세월호, 천안함 등)
- Small T : 대인관계 관련 사건(왕따, 은따, 스트레스, 질병 등)
Terr(1991)의 분류 ▪ Type I : 1회성(강도, 자연재해, 자동차사고), 강간, 전형적인 PTSD 발달을 일으키는 외상 사건 ▪ Type II : 장기간 만성적, 정서 신체 영적 손상, 가정폭력생존자, 성매매, 전쟁포로, 애착외 상(아동학대, 방임, 가정폭력 목격), 관계외상 |
② 신경생리학적 생존반응
- 삼중뇌이론 : 변연계와 대뇌피질 사이의 연결성이 끊어지고 변연계(특히, 편도체)가 과다 활성화되어
일어나는 반응
- 스트레스 상황에서 교감신경계는 비상사태와 위협에 대비하여 각성상태를 유지하는데 이것이 과각성
반응을 유발
- 브로카영역과 베로니카영역의 활성화 수준이 떨어지면 외상사건에 대한 언어적 이해와 표현력이 떨어짐
③ 기타요인
- 회복탄력성, 발달단계, 외상사건의 종류 및 심각성, 사건의 반복성과 지속성 여부, 사회적 지지체제의
유무, 애착유형(예민/불안정기질), 외상 경험중에 느낀 통제감 등
- PTSD 취약 환경 : 사건의 물리적 근접성, 외상반응의 심각수준, 사건후 받은 외부의 도움과지지, 여
성, 낮은 교육수준, 낮은 연령층, 이전의 충격적 사건 경험 유무, 정신의학적 문제, 가족 친구의지지
부족,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 등
'특수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9. 분리불안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26) | 2023.08.31 |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8. 틱장애를 위한 개입과 상담 (44) | 2023.08.30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6. 선택적 함묵증의 이해(무언증, 언어적 동면) (42) | 2023.08.28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5.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의 이해 (38) | 2023.08.27 |
유아 교육학과, 유치원 교사, 상담심리 등 특수아 상담 요점 정리 34. 틱장애(tic disorder)의 이해 (49) | 202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