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48장.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728x90
반응형

48장.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유아기는 언어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
  유아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은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달함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물리적·심리적 환경과 올바른 언어
모델을 제공해 줌과 동시에 양질의 상호작용 해 주어야 함


1) 듣기 지도
  듣기는 언어의 기초적인 기능 중 가장 먼저 발달
  부모와 교사는 유아에게 듣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킴
■ 듣기를 강요하기보다 집중하여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
■부모 및 양육자, 교사는 유아의 적절한 듣기 환경을 제공해 듣기 능력을 향상시켜주어야 함
■ 잘 들었을 경우 긍정적 반응과 보상, 강화 등을 제공해줌
■ 부모와 교사는 유아에게 듣기를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이나 자료를 제공해 줌
■ 부모와 유아가 끝말 이어가기, 수수께끼, 다섯 고개 등과 같은 말놀이를 녹음하여 듣기 활동
을 해 볼 수 있음
■ 유아는 동화 듣기를 좋아하므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동화를 선정하여 반복적으로 읽
어줌
■ 부모나 교사는 유아에게 주의 집중하여 듣는 모델이 되어야 함
■ 유아가 말을 할 때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해 줌
- ex) 중간에 끼어들거나 끊지 않고 머리를 끄덕이거나 ‘응’, ‘그렇구나.’ 등의 반응을 해줌


2) 말하기 지도
■ 말하기는 일상생활에서 대화를 통해 자연스럽게 발달함
■ 부모와 교사는 유아에게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줌으로써 유아의 말 하고자 하는 욕구
자극
- ex) 부모와 교사는 유아와 함께 생태 공원, 지역 내 다양한 기관을 방문하여 함께 이야기
나누기
■ 전화기 등과 같은 말하기와 관련한 장난감, 놀잇감을 제공해 줌
■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수준에 적합한 질문을 함으로써 유아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언어
로 표현할 기회 제공
-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유아의 현재 수준, 관심 영역, 분야를 파악하도록 노력해야 함
- 유아에게 질문 시 ‘예’, ‘아니요’로 답하게 하는 폐쇄형 질문보다 ‘왜 그렇게 생각해?’, ‘어
떤 점이 같니?/다르니?’ 등의 개방형 질문을 해야 함
- 부모가 교사는 유아가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말하기를 격려해줌
- 미숙한 문장 표현이나 잘못된 어휘 선택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면 유아는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개방적이고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하게 되어 말하기를 주저하게 될 수 있음

-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언어 습관이나 능력을 인정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말
하기를 즐기도록 해 주어야 함
■ 부모와 교사는 올바르게 말하는 모델이 되어야 함
- 유아의 잘못된 발음을 교정하기보다는 정확한 발음을 직접 들려주면서 유아가 스스로 교
정할 수 있도록 해 줌
- 유아의 불완전한 문장에 대해 완전한 문장으로 반응해 주고 대화하는 사람과 상황에 적합
하게 말함으로써 말하기 모델이 되어 줌


3) 읽기 지도
■ 부모와 교사는 유아에게 읽기를 지도하는 시기와 방법을 알 필요가 있음
■ 유아의 읽기 수준과 능력은 개인차가 크므로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읽기 준비 수준에 따라
지도해야 함
유아가 읽기 준비가 안 된 경우에는 관습적인 읽기보다는 읽기를 위한 기본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왼쪽-오른쪽 등의 방향 감각, 형태 지각을 위한 활동 등을 먼저 제시해 줌으로써 읽
기를 준비시킬 수 있음
■ 부모와 교사는 유아가 읽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자극적이고 다양한 언어 환경을 제공
해 줌
- 유아가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에 맞는 동화책, 잡지, 글자블록이나
게임판 등과 같은 언어적 경험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마련해 줌
- 부모와 교사는 유아가 글자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줌
- 단순히 글자 자체에 대한 읽기 지도보다는 유아가 글자에서 의미를 파악하고 전체적인 문
맥이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함
- 부모와 교사는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읽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함
■ 부모와 교사는 유아가 일상생활과 글자가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고 글을 읽으려는 동기를 갖
도록 지도함
- ex) 길을 가면서 간판을 읽어주기, 장난감 봉투의 글자 일거 주기, 어린이집의 환경판에
있는 글자 읽어 주기 등
■ 부모나 교사는 유아에게 읽기의 모델로서의 역할을 함
■ 유아는 부모나 교사의 읽기 활동을 접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흥미가 생길 수 있음


4) 쓰기 지도
■ 쓰기 지도를 위해서는 유아가 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함
■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쓰기 준비 수준에 따라 지도함
■ 유아의 쓰기 능력은 개인차가 크므로 쓰기 준비가 안 된 경우에는 소근육 운동, 눈과 손의
협응 활동 등과 같은 쓰기를 위한 기본 능력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지도함
■ 부모와 교사는 쓰기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줌
■ 쓰기 자료로는 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 종이, 크레파스나 색연필, 연필 등의 문구류 등이 있음

■ 부모와 교사는 글자 중심의 쓰기 지도보다는 글자의 의미를 강조하는 쓰기 지도를 함
■ 반복적으로 글자의 자음과 모음을 쓰게 하거나 단순히 글자의 형태를 기계적으로 암기하도
록 하는 것보다 유아의 일상생활이나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쓰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
■ 부모와 교사는 유아가 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쓰기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

■ 친구에게 생일 축하카드 쓰기, 가게 놀이에서 사용할 물건 등과 같이 놀이를 통해 쓰기 활동
을 하도록 격려하고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