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장. 자아의 개념과 발달
1) 자아 개념
◇ 자아개념은 다른 사람과 자기 존재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발달함
◇ 처음에는 자기 모습이 남과 다르다는 것을 깨달음
◇ 2세가 되면 자기 속성이나 자기의 행동을 말로 표현하게 됨
◇ 그 후 겉모습과 단편적인 행동 면에서 자기를 묘사하다가 점차 세부적이고 심리학적인 면으로 옮겨감
◇ 유아기의 자가 개념 발달은 대략 두 단계를 거침
(1) 1단계
◇ 3, 4경 유아는 겉으로 보이는 신체 특징 또는 좋아하는 것, 소유물로 자신을 묘사함
◇ 신체 특징의 예로, “나는 얼굴이 동그라미야”가 있음
◇ 좋아하는 것의 예로, “나는 피자를 좋아해”, “나는 수영을 좋아해”등이 있음
◇ 소유물의 예로, “나는 고양이가 있어”, “나는 오빠가 있어” 등이 있음
◇ 자기 능력에 대해서 과대평가함
(2) 2단계
◇ 5~7세 유아는 주로 능력 면에서 자신을 묘사함.
- ex) “나는 달리기를 잘하고, 공부를 잘해”라는 식으로 몇 가지 영역을 나누어 잘하는 것을 나열함
◇ 하지만 ‘잘한다’, ‘못한다’, ‘똑똑하다’, ‘똑똑하지 않다’ 등과 같이 반대 개념을 가지고 판단하지 않음
◇ 전적으로 잘하든지 전적으로 못하든지 둘 중 한 가지만으로 판단함
2) 자아존중감
◇ 자아존중감(self-esteem) 또는 자기 가치감은 자아에 대한 스스로의 결과임
◇ ‘내가 얼마나 괜찮은 사람인가’에 대한 주관적 대답임
◇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은 서로 관련되어 있음
◇ 자신의 부정적 특성에 초점을 두는 사람들은 자아존중감이 낮음
◇ 자신의 특성 중 좋은 점에 더 무게를 두는 사람들은 자아존중감이 높음
◇ 에릭슨(Erikson)은 ‘주도성’을 경험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도움이 됨. 그러나 유
아가 주도성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비판받는 경우가 많으면 유아는 점점 스스로 시도하는 것
을 중단하고 사소한 일에도 성인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발달시키게 됨
◇ 유아는 자아존중감이 높을 때 성취하고자 하는 마음이 더 생김
◇ 성공 여부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좌우되는 유아는 실패할 때 의기소침해짐. 이런 경우 유아는 자기가 무엇인가를 제대로 못 해내거나 친구 사이에서 거부 되면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 보
기보다는 그대로 계속 같은 방법을 반복하다가 포기해버림
◇ ‘학습된 무기력’은 아동은 자기가 못 할 거라고 미리 생각하기 때문에 노력도 하지 않음
◇ 아동기에는 실패에 대해 자기가 ‘멍청하다’는 식으로 생각할 수 있고, 유아기에는 ‘나쁜 아
이’라는 식으로 해석하기도 함
◇ 이런 나쁜 사람인 것 같은 생각은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될 수 있음
◇ 자아존중감이 성공에 좌우되지 않고, 자기가 기울인 노력과 과정에 자부심을 갖는 유아는 실
패나 실망감의 원인을 외부 요인으로 돌리거나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생각함
3) 가족과 사회 환경의 영향
◇ 부모나 교사는 유아에 대해 묘사하거나 유아의 행동을 평가함으로써 유아의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줌
◇ 묘사하는 것의 예로, “너는 멋있는 여자애야”, “너는 매우 똑똑한 남자야” 등
◇ 평가하는 것의 예로, “네가 잘못했어. 오빠가 동생 장난감을 뺏으면 안 되지” 등
◇ 부모가 애정을 가지고 자녀의 마음을 받아주고 자녀와 함께 많은 활동을 하고, 규칙은 분명하며 일관성 있게 지키고, 윽박지르지 않고, 가족의 일을 결정할 때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경우 초등학교 또는 청년기에 자아존중감이 더 높음
◇ 문화가 아동의 자아 개념에 영향을 줌. 개인주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회는 유아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내면에 있는 동기나 감정에 초점을 두도록 가르침. 집단주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회는 유아로 하여금 자기 가족이나 소속 사회가 이룬 성취에 자부심을 갖도록 가르침
◇ 유아가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분명한 자기 가치감을 갖도록 격려함
'유아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51장. 친사회적 행동의 특성 (17) | 2023.05.28 |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50장. 성역할의 개념과 발달 (14) | 2023.05.28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48장. 언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22) | 2023.05.27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47장.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 2023.05.26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46장. 유아기 문어발달의 특징 (32)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