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50장. 성역할의 개념과 발달

728x90
반응형

50장. 성역할의 개념과 발달

1) 성역할의 개념
성역할이란 사회에서 여아와 남아에게 각각 기대하는 신념, 태도, 행동을 망함
◆ 유아는 그가 속한 집단 문화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성에 적합하다고 규정하는 신념, 태도,
행동, 정서 등을 습득하게 됨


(1) 성 정체성
◆ 성 정체성이란 개인의 성에 대해 깨닫게 되는 개념
◆ 자신이 남아인지 여아인지 인식하는 것임
◆ 유아는 2세경부터 자아인식을 하게 되면서 자신과 타인을 구별할 수 있음
◆ 3세가 되면 유아는 성 동일시를 함
◆ 자신의 성을 정확히 명명할 수 있고, 주변 사람들을 남녀로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김
◆ 머리 모양, 옷차림, 하는 일로 성별을 구분함
◆ 유아는 외형이 바뀌더라도 성이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모름


(2) 성 안정성
◆ 성 안정성은 시간이 흘러도 성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것임
◆ 유아는 4세경이면 성 안정성을 인식하기 시작함
◆ 어른이 되어도 지금의 성을 유지하게 된다는 것을 알기에 여아는 나중에 엄마가 될 수 있으
며, 남아는 아빠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앎
◆ 4세가 되면 유아는 성에 대한 선호도가 명확해짐
◆ 따라서 자신과 동일한 성에 대해 호감을 분명하게 표시함


(3) 성 항상성
◆ 성 향상성은 개인이 원한다고 해서 성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임
◆ 5세가 되면 유아는 한번 타고난 성은 개인이 원한다고 하더라고 평생 바뀌지 않고 지속된다
는 사실을 깨달음


(4) 성 일관성
◆ 성 일관성은 시간과 상황이 아무리 변해도 성은 변하지 않는다는 인식임
◆ 한 개인의 성은 외모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개념
◆ 6~7세경이 되면 유아는 성인과 다름없는 성 개념을 가지게 됨
◆ 6세 유아는 머리모양이나 옷이나 행동이 바뀌어도 성은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앎


2) 성역할 고정관념
◆ 성역할 고정관념은 남녀 성별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또는 사회적 특성이 명확한 것
으로 단정 지어버리는 것
◆ 이런 것은 남자의 특성, 저런 것은 여자의 특성으로 획일적으로 규정해 버리는 태도나 신념
을 말함


(1) 성역할 고정관념 발달
◆ 2세 유아도 성역할 고정관념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외모, 말씨, 행동양식, 감정표현 양식
이 성에 따라 다르다고 인식함.
- ex) 자동차는 남자 것, 인형은 여자 것, 파란색은 남자 색, 분홍색은 여자 색으로 구분함
◆ 3세 정도가 되면 더욱 성 고정화되어 유아들은 장난감, 의상, 놀이, 색깔 등을 선택할 때 자
신의 성과 관련시킴
◆ 5~6세가 되면 유아의 고정관념은 현저히 견고해짐
◆ 7~8세가 되면 고정관념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주로 직업, 성격특성, 행동특성, 놀이를 중심으로 형성됨
◆ 남아가 여아보다 더 강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음
◆ 성역할 고정관념이 유아기에 형성됨
◆ 성에 적합한 성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나친 성 역할 고정관념을 가지지 않
도록 가정에서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의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음


(2) 성 유형화된 행동발달
◆ 유아가 동성의 놀이친구를 선호하는 것은 일찍부터 시작됨
◆ 성별로 분리되어 놀이를 하는 경향성은 연령증가에 따라 더욱 강해짐
◆ 성별 분리의 가장 큰 원인은 놀이양식의 차이에 있음
◆ 남아들의 놀이양식은 거칠고 지배적이며 전쟁놀이와 싸움놀이를 많이 함
◆ 여아들의 놀이양식은 정적이고, 학교놀이, 소꿉놀이를 많이 하며, 갈등 시 협상으로 해결하
고자 하는 경향이 있음
◆ 2세 남아는 장난감 선택에서 남성적인 장난감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함
◆ 2세 여아는 여성적인 장난감을 선호하는 경향성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음
◆ 3세경이 되면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동성인 남아들과 놀기를 더 선호하게 됨
◆ 3~5세경 남아들은 성에 적합한 장난감을 선호하려는 경향이 아주 강해짐
◆ 여아는 남아처럼 장난감 선택에 있어서는 성별 구분을 그다지 보이지 않음
◆ 6세 반경이 되면 유아는 이미 반대 성의 또래와 지내는 시간의 10배 이상을 동성 또래와 보냄


3) 성역할 발달의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 생물학적 관점에 의하면 성역할 발달과 성유형화는 남녀 간 유전적, 해부학적, 호르몬의 차
이에 기인함
◆ 생물학적으로 남아는 골격과 근육이 많으며 활동적이고, 여아는 남아에 비해 작고 부드러움
◆ 이런 남녀의 유전적인 신체 구조적 차이가 성역할과 일치하는 특정 활동을 하도록 결정함


(2) 정신분석 이론
◆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에 의하면, 성역할 발달은 심리성적 발달단계의 세 번째 단계인 남근
기에서 시작됨
◆ 남근기의 동일시 과정을 통해 성역할을 배우게 됨
남근기의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여아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경험하게 됨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성역할 동일시를 하게 됨


(3) 학습 이론
◆ 학습 이론에서는 성역할은 강화와 벌을 통한 직접학습과 관찰을 통한 간접학습에 의해 발달
한다고 봄
◆ 부모와 교사 그리고 또래는 유아가 성에 적합한 행동을 하고, 옷을 입고, 놀이를 할 때 강화
를 함
◆ 성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하거나 놀이를 하게 되면 비웃거나 놀림
◆ 유아는 부모, 또래, 교사, 미디어 등장인물 등을 관찰하여 성역할을 학습함
◆ 유아는 자신과 같은 성의 모델에 주의 집중하게 됨
◆ 성 동일시를 확고히 형성하면 동성의 모델이 자신과 유사하다고 지각하기 때문에 더 관심을
가지고 관찰


(4) 인지발달 이론
◆ Kohlberg(1966)는 성역할 동일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유아 자신에 대한 인지판단이라
고 함
◆ 성역할 동일시에는 자신이 남자 또는 여자라는 성에 대한 인식이 선행요소라고 주장함
◆ 유아는 성 동일시, 성 안정성, 성 항상성의 세 단계를 가치면서 성에 대해 이해하고 성이 의
미하는 바를 알게 됨


(5) 성도식 이론
◆ 성도식 이론은 성역할 개념의 습득과정을 설명하는 정보처리이론임
◆ 성유형화는 인지발달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동시에 성도식화 과정을 통해 형
성됨
◆ 성도식은 성에 따라 형성되는 행동양식, 역할, 태도, 그리고 남녀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기
대나 믿음의 총체를 말함
◆ 유아는 우선 사물, 행동, 역할이 남성에 적합한지 여성에 적합한지 분류해서 성도식을 구성 함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 도식에 일치하는 새로운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호하고 기억하며 일치
하지 않은 정보는 회피함
◆ 유아는 자신의 성도식에 근거하여 자신이 인지한 성과 부합되는 성역할을 습득하여 발달시켜 나감


4) 성역할 발달과 영향요인
(1) 생물학적 요인
◆ 성역할 발달은 염색체나 호르몬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받음
◆ 23번째 성 염색체가 XX이면 여아가 되고, XY면 남아가 됨
◆ 태아의 고환과 난소가 형성되면 고환과 난소에서 배출되는 호르몬에 의해 남녀 성차가 발생
하게 됨


(2) 가정적 요인
◆ 부모는 성역할 발달을 위한 훈육을 담당하지만, 성역할 모델로서도 중요한 존재
◆ 부모 스스로 성에 적합한 행동을 보여주어 자녀의 성역할 모델링이 되기도 함
◆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녀들은 성역할 고정관념을 덜 가짐
◆ 취업모의 영향은 남아보다 여아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남
◆ 직장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의 아들보다 딸의 경우가 보다 활동적이며 리더십이 있고 성에
대한 고정관념도 덜 가짐

◆ 아버지의 역할도 중요하며 아버지 부재는 자녀의 성역할 발달에 영향을 미침
◆ 유아기 동안 아버지와 떨어져 자란 남아는 일반 가정의 남아보다 정서적으로 의존적이고, 덜
공격적이고, 성취 지향적이지 않고, 여성적인 놀이를 좋아함
◆ 형제자매 역시 성역할 발달에 영향을 미침
◆ 남자 형제를 가진 여아는 자매만 있는 경우보다 더 남성적임
◆ 동성의 형제자매만 있는 경우 성역할 발달이 빨리 이루어짐
◆ 같은 성끼리 있으면 성에 적합한 행동을 빨리 습득할 수 있기 때문임


(3) 또래와 교사
◆ 또래는 성역할 발달에 모델로서뿐 아니라 강화자로서 또는 처벌자로서 역할을 함
◆ 또래의 영향은 특히 유아기에 두드러짐
◆ 남아가 성에 적합하지 않는 놀이를 했을 때 또래들로부터 더 거칠게 놀림을 당하거나 무시를 당함
◆ 많은 교사들은 남녀 유아 모두에게 여성적인 특성을 강요하는 경향 있음
◆ 이유는 여성적 특성을 강화하는 것이 유아들을 통제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기 때문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