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발달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9장. 유아기 창의성발달

728x90
반응형

39장. 유아기 창의성발달

 

1)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은 과거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기존의 방식과는 다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나 태
도. 새로운 것을 생산해내는 사고. ‘새롭고, 유용한’ 어떤 것을 생산해내는 행동 또는 정신과정임
□ 창의성의 개념은 길포드가 1950년 미국심리학회 기조 강연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학계에 관심받기 시작함
□ Sternberg (1994)도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새롭고, 문제 상황에 적절한 것을 만들어 낼 수있는 능력’으로 봄

2) 창의성의 구성 요소
□ 창의성의 하위 구성요소는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임
□ 민감성은 주변 환경에 대해 예민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 영역을 넓히려 하는 것을 의미
□ 유창성은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해내는 능력
□ 융통성은 고정적인 사고방식이나 시각 자체를 변화시켜 다양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
□ 독창성은 기존의 것에서 탈피하여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 정교성은 다듬어지지 않은 기존의 아이디어보다 치밀한 것으로 발전시키려는 능력

 

<창의성의 구성요소>

구성 요소 개념
창의적
사고
확산적
사고
유창성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고정적인 사고방식이나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해결책을 모
색하는 능력
독창성 기존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
하는 능력
정교성 생각한 아이디어를 보다 정교하게 만들어 더욱 가치 있는 것
으로 발전시키는 능력
수렴적
사고
비판 및 평가 어떤 것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가려내는 능력
논리 및 추론 경험적 증거나 논리로써 사건의 전후관계가 일치하도록 전개
하는 능력
분석 개념이나 사물의 속성을 요소로 분해하여 이해하는 능력
종합 나열되어 있거나 대립되어 있는 사물의 개념을 통일시켜 하나
의 의미로 정립하는 능력
창의적 성향 개방성 관습이나 고정관념, 편견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하며,
문제나 과제를 열린 태도로 대하는 성향
과제 집착력 특정 주제나 상황에 주의를 집중하고,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끈질기게 노력하는 성향
호기심 의문을 갖고 끊임없이 질문하는 성향
자발성 타인의 요구나 강요 없이 자신의 내적 동기에 의해 필요한 아
이디어를 산출하는 성향
자기 신뢰감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한 가치를 스스로 인정하고 다른 사람의
평가에 대해 구속받지 않는 성향
민감성 일상생활의 문제나 주변 상황에 대해 세심하게 관심을 갖는
성향

 

3) 유아기 창의성발달
□ 유아기에는 창의성이 급격히 발달함. 유아기가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
□ 창의적 상상력은 4세~4세 반 정도에 가장 발달함
□ 하지만 초등학교에 입학하며 조금씩 감소한다고 봄
□ 유아기에 창의성 교육을 받지 못하면 성인이 되어서도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어려움. 뿐만 아
니라 유아기에 창의성 교육을 받은 사람만큼 발달하기 어렵다고 설명
□ 유아는 다양한 놀이와 활동을 통해 신체적으로 혹은 언어적으로 창의성을 표현
□ 창의적인 유아는 상상놀이를 즐겨하고 말하기, 그림 그리기, 노래 부르기, 춤추기, 만들기,
문제 해결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함
□ Santrock는 창의성 개발을 위해 다음을 제안함
- 첫째,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하여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제안하도록 격려함
§ 다른 아이의 아이디어를 비판하지 않도록 하는 기법
§ 문제해결 방법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줌
- 둘째, 창의력을 자극하는 환경을 제공함
§ 유아의 호기심에 대해 항상 긍정적 반응을 보여야 함
§ 호기심과 질문을 무시당하면 감정적 반발이 생김
§ 유아 스스로 독립적으로 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줌
§ 유아의 엉뚱한 행동이나 특이한 대답에 대해 수용적이어야 함
§ 폐쇄적 질문보다 개방적 질문을 많이 해서 유아들의 확산적 사고를 유도해 줌
§ 완성품의 교구나 장난감을 제공하기보다는 미완성 또는 무형의 재료들을 제공하여 다
양한 활동을 유발하도록 도움
§ 유아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해 주어 성취감을 많이 경험하도록 도움
- 셋째, 과잉보호와 과잉통제를 하지 말아야 함
§ 유아에게 지시하고 복종을 요구하게 되면 감정적 충족감도 느끼지 못하고 자발적 판단 능력도 생기지 않음
§ 부모의 강제성을 띤 명령은 유아의 융통성과 창의성 발달을 제지함
§ 유아 자신의 호기심에 스스로 따르도록 함
§ 유아가 즐겁고 행복한 감정을 느끼도록 애정적인 태도와 함께 동감을 많이 해주어야 함
- 넷째, 내적 동기를 유발하도록 해야 함
§ 성의 없는 칭찬은 유아의 창의적인 활동에서 얻는 내적 즐거움을 축소시킴
§ 보상은 유아의 창작 활동에 대한 내적 동기를 소멸시킴.
§ ex) “네가 오늘 성을 멋지게 만들었으니 피자를 사줄게”
§ 유아의 동기는 일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임
§ ex) “네가 만든 종이배는 물 위에서 잘 뜰 것 같구나”, “네가 만든 멋진 성에서 왕자
님이 걸어 나올 것 같아” 등과 같이 유아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인 칭찬을 해주는 것이 좋음
- 다섯째, 창의적인 사람을 소개함

§ 작가, 시인, 음악가 등을 유아에게 소개하는 것은 유아의 창의력을 자극하는 좋은 방법임
§ 공연 관람이나 미술관이나 박물관, 전시관을 찾아서 작품들을 통해 작가과 소통하는 경험 제공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