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장. 유아기 사고발달
□ 감각운동기의 영아가 감각과 운동적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했다면, 전조작기의 유아는 상
징과 심상을 사용하는 정신적 표상을 통해 사고할 수 있음
1) 상징적 사고
□ 특정 대상이나 경험을 내적으로 표상하기 위해 상징을 사용하는 능력.
□ 유아는 이야기하기, 가상놀이, 그림 그리기 등의 과정에서 그림, 단어, 몸짓 등의 다양한 상
징을 사용
□ 다양한 상징을 사용하여 실제의 사물이나 사건 혹은 상황을 표현할 수 있음
□ 유아는 감각운동기 말에 표상을 형성하기 시작하면서 언어(상징)를 통해 자신이 표상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함
□ 가상 놀이(pretend play)는 가상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으로 상징화하는 놀이
- ex) 엄마의 목소리와 억양을 흉내 내며 엄마인 척하기, 모래와 물로 음식을 만들어 마치
실제 음식인 것처럼 먹는 시늉하기, ‘베개’를 안고 아기 재우기 행동하기 등. 유아는 베개
라는 상징물을 통해 아기 재우는 상황에 대한 표상을 재현하는 것임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가상놀이는 혼자 하는 것에서 점차 두 명 이상이 역할을 맡아서 표상
하는 사회극 놀이로 변해감
□ 가상놀이를 통해 유아는 현실의 상황이나 물건을 상상하여 시도하고 재현해 봄으로써 세상
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고 문제해결력을 키우며 역할에 적합한 행동을 배움
2) 중심화
□ 전조작기 유아는 사물이나 사건을 두 가지 이상의 측면에서 동시에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사
고하지 못함
□ 피아제는 이를 중심화(centration)라고 명명하고 전조작기 사고의 한계라고 주장함
□ 중심화의 대표적인 예, 유아의 자기중심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임
(1) 자기중심적 사고(egocentric thinking)
□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이나 사건을 고려하지 못하고 자신의 관점에서만 사고하는 것
□ 전조작기 유아는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다른 사람도 생각하고 자신이 느끼는 대로 다른 사
람도 느낀다고 여기기 때문에 타인의 관점이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함
□ 유아의 자기중심적 사고를 알아보기 위해 피아제와 인헬더(Piaget & Inhelder, 1969)는 ‘세
산 실험(three mountains experiment)’을 고안함
- 세 산 실험은 크기가 다른 세 개의 산 모형을 탁자 위에 놓고 한 쪽에 유아를 다른 한 쪽
에 인형을 앉힘. 유아에게 인형이 보는 산의 모습이 그려진 카드를 고르라고 함
- 전조작기 유아는 인형의 위치와 관계없이 자신의 위치에서 본 그림을 선택함
- 유아가 7~8세가 되면 인형의 위치에서 본 산의 모습을 정확히 고르는 것이 가능
- 이는 유아가 탈중심화(decentration), 즉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 사고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
- 유아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 자기중심적 사고를 보이지만 친숙하거나
경험해 본 상황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음
(2) 직관적 사고(intuitive thinking)
□ 사물이나 사건의 한 가지 지각적 속성에 주의를 집중하여 판단하는 사고
□ 보존(conservation)개념은 어떤 대상의 외형이 바뀌어도 그 속성이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임
□ 피아제는 전조작기 유아가 보존 개념을 형성하지 못한다고 봄(무게, 양, 부피, 길이 등에 관
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함)
□ 수 보존 개념은 5~6세경에, 길이 보존 개념을 6~7세경에 획득함
□ 양, 무게, 면적 보존개념을 7~8세경에, 부피 보존 개념을 11~12세경에 획득함
□ 피아제는 전조작기 유아가 가역성(reversibility)이나 탈중심화(decentrtion)와 같은 인지적
조작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보존 개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이들에게 보존 개념을
가르칠 수도 없다고 주장
□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보존 개념이 없는 4세 유아도 훈련을 통해 보존 개념을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함
<피아제의 보존개념 실험>
보존과제 | 초기 제시 | 변형 |
수 | 두 줄의 구슬을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 하여 제시한다. ![]() |
한 줄의 구슬은 그대로 두고, 다른 한 줄의 구슬 간격을 넓혀 제시한다. ![]() |
길이 | 길이가 같은 두 개의 막대를 평행하게 제시한다. ![]() |
한 개의 막대는 그대로 두고, 다른 하 나의 막대를 오른쪽으로 옮겨 제시한 다. ![]() |
양 | 같은 크기의 컵에 동일한 양의 물을 부어 제시한다. ![]() |
한 개의 컵의 물은 그대로 두고, 다른 한 개의 컵의 물을 긴 컵에 옮겨 제시한다. ![]() |
질량 | 같은 양의 찰흙을 동그란 공 모양으로 만들어 제시한다. ![]() |
공 모양의 찰흙 중 하나를 소시지 모양 으로 길게 만들어 제시한다. ![]() |
3) 개념발달
(1) 분류
□ 분류란 사물을 유목이나 범주로 나누거나 모으는 것
□ 분류를 하려면 사물 간의 공통성을 추론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준거가 되는 모양이나 색깔
등을 다른 사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함
□ 2~4세 유아는 ‘이것은 비슷해 보이니까 함께 놓아야 해’하며 물체의 유사성에 따라 직관적
으로 분류함
□ 4~6세 유아는 분류를 하긴 하지만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시시각각 변함
□ 7~8세 유아는 모양이나 색깔 등의 일관성 있는 분류 기준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음
□ 사물이나 사건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 (2) 서열화
□ 길이나 부피 등과 같은 속성에 따라 사물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
□ 길이가 다른 여러 개의 막대기를 주고 길이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라고 하면 3~4세 유아
는 길이에 관계없이 늘어놓음
□ 5~6세 유아는 일부는 순서대로 배열하지만 전체를 정확하게 배열하지는 못함
□ 6~7세 유아는 막대의 길이에 따라 순서대로 정확히 늘어놓음
(3) 인과관계
□ 인과관계는 어떤 현상의 원인과 결과 간의 관계를 아는 것
□ 전조작기 유아는 사물이나 사건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추론하지 못함
□ 목적론은 세상의 모든 사물이나 자연 현상이 사람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는 것
- ex) 유아가 사람을 시원하게 해 주기 위해 바람이 불고, 사람에게 아름다움을 주기 위해
단풍이 물든다고 생각하는 것. 유아가 ‘바닷물은 왜 파래요?’라고 질문할 때 유아는 이에
대한 과학적인 대답을 듣고자 하는 것일 수 있지만 사람이 바닷물의 색을 파랗게 만들었
는데 왜 파란색으로 만들었는지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일 수 있음
□ 인공론(artificialism)은 인간이 사물이나 자연 현상을 만들었다고 믿는 것
□ 전환적 추론(transductive inference)은 두 사건이 비슷한 시간에 일어나거나 동시에 일어나
면 직접 관련이 없어도 이 두 사건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 ex) 항상 낮에 낮잠을 자던 여아가 낮잠을 자지 않고 “나는 낮잠을 안 잤어요. 그래서 낮
이 아니에요.”라고 말하는 것. 유아는 ‘낮’과 ‘낮잠’이 평상시에는 비슷한 시간에 일어났기
때문에 ‘낮잠’이 ‘낮’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추론
- 그러나 유아가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물리적으로 익숙한 사건인 경우 유아는 원인과
결과를 정확하게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음
(4) 실재론
□ 실재론(realism)은 마음속에 생각한 것이 실제로도 존재한다고 믿는 것
□ 전조작기 유아는 자신이 꾼 꿈이 실제 일어난 것이라고 믿음
- ex) 유아는 아버지가 도깨비를 쫓아가는 꿈을 꾸면 깨어나서도 그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
이며 아버지도 그 내용을 알고 있다고 생각함
□ 실재론적 사고는 유아의 도덕적 사고에서도 나타남
□ 도덕성을 판단할 때 유아는 행위자의 의도보다는 결과를 가지고 판단함
- ex) 유아는 일부러 돌을 던져 한 개의 컵을 깬 경우와 식탁에서 밥을 먹다가 실수로 세
개의 컵을 깬 경우 중에서 실수로 세 개의 컵을 깬 경우가 더 나쁘다고 생각함
(5) 물활론
□ 물활론(animism)은 생명이 없는 사물도 생명과 감정이 있다고 믿는 것. 모든 물체가 사람처
럼 숨쉬고, 느끼고, 생각한다고 믿음
- ex) 유아는 장난감 자동차를 던지면 장난감 자동차가 아프고, 시계가 멈추면 배가 고프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 4~6세 유아는 보이는 모든 대상이 살아 있다고 생각함
□ 6~8세 유아는 움직이는 것에만 생명을 부여함
□ 그러나 유아도 친숙한 사물에 대해서는 생물과 무생물을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다는 지적
도 있음
□ 유아가 친숙한 사물보다 친숙하지 않은 사물에 대해 좀 더 물활론적으로 사고하는 이유는
피아제의 주장처럼 무생물이 살아있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여서 살아 있는 것으로 추측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음
'유아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9장. 유아기 창의성발달 (41) | 2023.05.22 |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8장. 유아기 기억발달 (42) | 2023.05.22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6장. 안전사고의 예방 방법 (35) | 2023.05.21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5장. 신체발달을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역할 (43) | 2023.05.20 |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사, 보육교사, 유치원 필수과목 유아발달 핵심 요점 정리 34장. 유아기 신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3) | 2023.05.20 |